• 제목/요약/키워드: 심장 정지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1초

원위부에 스텐트가 포함된 인조혈관 (Frozen Elephant Trunk)을 이용한 대동맥궁 동맥류 수술 (Aortic Arch Aneurysm Repair using a Prosthetic Graft with a Pre-mounted Distal Stent (Frozen Elephant Trunk))

  • 장형우;정의석;최진호;임청;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75-379
    • /
    • 2009
  • 원위부 대동맥궁에 발생한 대동맥류에 대한 수술을 위해서는 정중흉골 절개술 또는 측방개흉을 통한 수술방법이 있으나 문합 부위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자주 있다. 수술 대신 중재시술로 스텐트 그라프트를 삽입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지만 동맥류보다 근위부에 충분한 고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대동맥궁 분지 일부를 결찰하고 우회로를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이 있다. 저자들은 이들 방법의 장점을 취하고자 정중흉골절개술 후 완전 순환 정지 상태에서 대동맥궁을 치환하는 수술 중 외과적 문합 대신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하여 인조혈관 원위부를 고정하는 방법을 취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은 경험을 보고한다.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 수술의 장기 결과 (Long-Term Results of Atrial Fibrillation Surgery with Mitral Valvular Disease)

  • 장병철;맹대현;강정한;조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881-885
    • /
    • 2000
  • 배경: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의 경우 그 기간이 길면 승모판막 질환을 수술하여도 동성 율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에 대한 변형 Maze 수술후 장기 결과와 심방세도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으로 외과적 요법을 시행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방세동의 평균 유병기간은 평균 7.7$\pm$4.5년이었고 수술은 승모판막 대치술 34례(재수술 3례)와 승모판막 성형술 1례를 시행하였고 승모판 질환 수술 외에 동반 수술로는 삼첨판륜 성형술 4례, 삼첨판막 대치술 3례 였다. 심 방세동에 대한 수술은 좌측 폐정맥 부위는 격리하지 않는 변형 Maze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동성 율동으로 회복여부,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과 장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2례를 제외한 33례(93.9%)에서 동성율동으로 돌아왔으나 수술 후 퇴원 전에 12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수술환자중 1례에서 수술 후 3일에 동성 정지에 따른 심정지가 발생하여 소생되었으나 뇌손상으로 수술 후 15일에 사망하였다. 심방세동이 재발된 경우 수술 후 약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항부정맥 약물(mquinidine)과 전기적 제세동으로 치료하여 12례중 10례에서 동성 율동으로 돌아온 환자는 항부정맥 약물을 모두 중단하 였으며, 수술 후 3년에서 9년(평균 71.1$\pm$17.5개월) 추적 관찰 중 9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어 장기간 동성 율동이 유지된 환자는 34명중 25명으로 73.5%이었다. 승모판 질환이 있던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수술전 심방세동의 기간(동성율동 유지군 : 재발군=6.3년 : 10.3년, P=0.008)과 수술 전 단순 흉부 X선상 심흉비율(0.58 : 0.72, p=0.009)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직경(57.2mm : 77.4mm, p=0.106)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 질환 수술시 병행하여 수술한다면 정상 동성 율동으로 회복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술후 재발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술기의 변형에 대한 연구와 약물요법의 병행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lagille 증후군에서 Jagged1 돌연변이 (Jagged1 mutation analysis in Alagille syndrome patients)

  • 고재성;양혜란;김경모;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19-522
    • /
    • 2006
  • 목 적 : Alagille 증후군은 간, 심장, 눈, 척추, 얼굴 모양 등 여러 장기에 이상을 일으키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이다. Alagille 증후군의 유전자인 JAG1은 Notch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를 만든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Alagille 증후군 환자에서 JAG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찾아내는 것이다. 방 법 : Alagille 증후군으로 확진 받은 6명의 말초혈액 백혈구에서 DNA를 추출하여 JAG1 유전자에 대하여 중합효소연쇄 반응 및 정제 후 직접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결 과 : 2개의 새로운 frameshift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4세에 간세포암이 발생한 환자에서 엑손 2에서 118delC이 발견되었다. 한 환자에서는 엑손 7에서 999-1000delTG이 발견되었는데, 2개 돌연변이들은 정지코돈을 만들었다. 결 론 : 우리나라 Alagille 증후군 환자에서 단백이 잘라져 기능을 못하는 frameshift 돌연변이를 찾아내었다.

아버지로부터 유래된 9번 염색체 장완의 부분 세염색체 1례 (Case of Partial Trisomy 9q Derived from Paternal Chromosome)

  • 정지은;송은정;박혜진;이계향;이경훈;최은진;김진경;정혜리;서억수;김우택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71-75
    • /
    • 2009
  • 9번 염색체 장완의 중복은 거의 드문 형태의 염색체 이상이며, 특징적인 얼굴형태와 손가락 형태, 정신지체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굴 형태는 정상이었으나 선천성 심장기형과 수신증, 음낭 탈장이 동반된 미숙아에게서 46,X,Y,dup(9)(q21.2q22.1)를 확인하였고, 표현형이 정상인 환아의 아버지에게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어진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 연령군에서의 냉각-산소화-희석-혈심정지액을 이용한 심근 보호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Trial of Myocardial Protection using Cold Oxygenated Diluted Blood Cardioplegia in Child Age)

  • 이정렬;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3호
    • /
    • pp.211-219
    • /
    • 1992
  • Hypothermic cardioplegia is a well established method to optimize myocardial preservation during ischemic arrest, an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oxygenation of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s markedly enhances myocardial protection, The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red blood cells to a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s improves capillary perfus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changed our cardioplegic solution from cold oxygenated crystalloid[Group 2] to cold oxygenated diluted blood[Group 1]. In this investiga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two hypothermic potassium cardioplegic solutions on myocardial preservation in 50 patients[30 of Group 1 and 20 of Group 2] of child age group. Factors considered preoperatively included age, sex, body weight, preoperative diagnosis, and they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traoperative factors considered included dur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duration of aortic occlusion, operative mortality, which also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 measured the serum levels of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nd CPK [creatine phosphokinase] during the first two days postoperatively, which, i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until postoperative 1 day, and decreasing tendancy thereafter, however we failed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regarding the serum levels of those enzymes each day. Time for extubation and use of inotropics als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fibrillation was needed less in Group 1 than in Group 2[p<0.05], and one case of supraventricular tachyarrhythmia occured in Group l. We conclude that cold oxygenated diluted blood cardioplegia provides no less preservation than does an oxygenated crystalloid cardioplegic solution in child age group.

  • PDF

흉부 압박손상에 의한 대동맥궁 파열 - 1예 보고 - (Aortic Arch Rupture due to Compression Injury of the Thorax - A case report -)

  • 이건;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100-103
    • /
    • 2009
  • 흉부 대동맥의 외상성 파열은 두부 손상 다음으로 흔한 교통사고의 사망원인으로 약 85%의 환자가 병원 도착 전에 사망한다. 가장 흔한 기전은 고속의 차량이 충돌 등으로 인한 급작스런 감속에 의해 발생되며 대동맥 협부가 전체 대동맥 손상의 95%에 해당된다. 또 다른 기전으로는 흉부 압박 손상에 의해 골절되어 전위된 흉골병과 흉부 척추 사이에 대동맥이 끼이면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흔하지 않은 위치의 대동맥벽의 내막이 파열된다. 저자들은 감속사고가 아닌 흉부 압박에 의해 대동맥궁이 파열되어 박리된 증례에 대해 집중적인 내과 치료 후에 지연 수술로 완전 순환정지 하에 뇌보호를 시행하면서 상행 대동맥의 일부와 대동맥궁을 인조혈관으로 치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Bupivacaine에 의해 억제된 심근수축력에 대한 대사기질의 영향 (The Effects of Metabolic Substrates on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Atria Depressed with Bupivacaine)

  • 박승준;정주호;정지창;고계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1-48
    • /
    • 1992
  • 국소마취제인 bupivacaine의 심근억제작용에 관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bupivacaine에 의해 수축력이 감소된 흰쥐 적출심장에 대한 각종 대사기질의 영향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rebs-Ringer glucose medium에 현수한 적출심방의 수축력은 0.01% bupivacaine에 의해 약 50% 감소되었다. 2. Pyruvate, acetate 및 fructose는 bupivacaine 억제심방의 수축력을 증가시켰으나, 정상 Krebs-Ringer medium에서의 수축력에는 현저한 영향이 없었다. 3. Glucose는 bupivacaine 억제심방의 수축력에는 별 영향이 없었으나, 정상 Krebs-Ringer medium에서의 수축력은 증가시켰다. 4. Pyruvate, acetate 및 fructose는 hypertonic medium에 의해 억제된 심방의 수축력에 영향이 없었으나, glucose는 약간의 수축력 증가를 보였다. 5. 각종 대사기질중 pyruvate가 bupivacaine 억제심방의 수축력을 최대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bupivacaine이 심근의 glucose 섭취를 억제하거나, 해당과정을 통한 glucose의 이용을 억제하였음을 시사한다. 나아가서, bupivacaine에 의한 대사억제는 심근의 해당과정에서의 phosphofructokinase step이전의 단계에서 작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한국 집고양이의 문맥전신션트 한 증례 (A Case of Portosystemic Shunt in a Domestic Shorthair Cat)

  • 조은광;정예찬;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6-318
    • /
    • 2014
  • 3년령 한국 집고양이가 갑작스럽게 발병한 간헐적 경련 증상을 주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상 구리 빛 홍채가 관찰되었고, 양안에서 위협반사 소실이 관찰되었다. 혈액학 검사와 혈청 화학 검사에서 경증의 적혈구 증가증과 심한 소적혈구증, 증가된 ALT 활성도가 확인되었으며, 추가로 실시한 간기능 평가에서는 담즙산염 농도와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간 내 다수의 결절이 관찰되었고, 간외성 션트 혈관을 발견하였으며, 추가로 실시한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복합 간외션트를 확인하였다. 고양이는 션트 혈관에 대한 외과적 처치술을 받기 위해 증상 완화를 위한 디아제팜과 락툴로즈를 투여하였으나 경련이 심화되었고, 심장 정지가 와서 폐사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dental hygienists)

  • 천혜원;전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25-13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융복합적 지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전북지역 치과병의원의 치과위생사 2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지식과 태도, 교육을 포함한 태도와 지식, 지식과 수행자신감의 관계가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5, r=.40, r=.19). 치과위생사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기도폐쇄나 심장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확한 지식 및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심폐소생술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Bentall 술식의 조기 성적 (Early Result of Bentall Operation)

  • 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13-117
    • /
    • 1998
  •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0월부터 1997년 4월 사이에 대동맥륜대동맥 확장환자에서 37례의 Bentall술식을 시행하였다. 환자군의 술전 호흡곤란 정도는 NYHA Class I이 4례, Class II가 10례, Class III가 20례, Class IV가 3례였다. 수술은 대동맥박리증이 동반된 경우 초저체온법(식도체온: 11.8$\pm$1.6!), 완전순환정지, 역행성 대뇌관류법을 시행하였다. 37례 모두 병변이 있는 대동맥벽을 대부분 제거하고 복합이식편이나 대동맥 인조혈관 및 인공판막을 이용하여 상행대동맥과 대동맥판막을 치환하였고, 관상동맥편을 인조혈관에 직접 연결하였다. 수술결과는 합병증은 7례 발생하였으며(18%), 수술사망은 없었으나 뇌혈관 발작으로 인한 1례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2.7%). 퇴원후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36개월까지였으며 평균 9.6개월였다. 결론적으로 대동맥륜대동맥 확장의 수술에 있어 Bentall술식은 안전하고 좋은 수술이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