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부체온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목부착형 센서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소 심부체온 예측방안 (Estimation of Body Core Temperature of Cow using Neck Sensor based on Machine Learning)

  • 이웅섭;류종열;반태원;김성환;강상기;함영화;이현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611-1617
    • /
    • 2018
  • 체온은 가축의 건강상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있어서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체온이 즉각 변화한다. 따라서 정확한 체온 측정은 스마트 축사 관리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표피 부착형 센서의 경우 외기 및 센서의 부착상태에 따라 측정되는 체온 값이 크게 변화하고, 측정되는 체온이 가축의 실제 심부체온과 다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목 부착형 센서를 이용하여 소의 심부체온을 예측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특히 심부체온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회귀방안과 특정온도 이상으로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는 분류방안을 다양한 기계학습방안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높은 정확도로 소의 심부체온 이상여부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 방안을 통해서 소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축사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돈의 일중 체온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Body Temperature of Piglets in a Day)

  • 이원현;정왕용;이상철;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1-9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자돈을 대상으로 비정상 체온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할 정상상황에서의 표피 (귀, 목, 머리) 및 심부 체온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평균체중 46kg의 자돈 5두를 공시하여 $22.5{\pm}2.0^{\circ}C$로 설정된 이유 자돈사에 설치한 개별 케이지에 2주간 적응시킨 후, 귀, 목 및 머리의 피부온도와 심부 (피하지방) 체온, 그리고 돈사내 온도를 1 mm k-type 열전대와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Austin, Texas, USA)의 장치 (cDAQ-9174, NI-9214, 9214TB)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17일간 연속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체온 data는 24시간 단위로 통합하여 매 시간대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모든 측정 site의 하루 중 체온의 변화는 오전 6시에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점점 증가하다가 14시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그 후 익일 오전 6시까지 서서히 떨어졌다. 이런 변화 pattern은 외부온도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심부의 체온은 $35{\sim}39^{\circ}C$의 범위로 변화가 적은 반면에 목과 머리는 각각 $32{\sim}36^{\circ}C$, $30{\sim}36^{\circ}C$이고, 귀는 $29{\sim}36^{\circ}C$로 변화 폭이 컸다. 귀의 경우 가장 낮은 값은 자돈의 활동이 가장 적은 새벽시간이었으며, 새벽시간대를 제외한다면 귀, 목, 머리의 체온은 대체적으로 같은 범위의 온도 값을, 심부는 체온의 가장 근접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자돈의 표피 (귀, 목, 머리)와 심부 체온의 databse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를 이용한 동물의 비정상 체온의 전자적 감지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리주기가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preferred clothing and preferred ambient temperature)

  • Jeong, Woon-Se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55-1660
    • /
    • 2001
  • 여성의 생리주기가 행동성 체온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건강한 여자대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2.5$^{\circ}C$와 55%RH의 환경에서 피험자 스스로가 의복을 선택하는 쾌적의복선택 실험과 피험자 스스로가 온도를 선택하는 쾌적 온도선택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평균피부온은 생리주기에 관계없이 쾌적온도선택 실험보다 쾌적의복선택 실험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생리주기에 따른 쾌적착의량과 쾌적온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6명의 피험자 중 4명의 피험자가 선택하여 착용한 착의량은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더 많았고 (p<0.05), 5명의 피험자가 선택한 쾌적온도 역시 황체기보다 여포기에 평균 1.4$^{\circ}C$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이러한 결과는, 피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여포기보다 황체기에 심부체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행동성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나, 보다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다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야 할 것이다.

  • PDF

소의 일중 체온변화 Data Base 구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Data Base for Body Temperature Change in Cattle)

  • 정왕용;이원현;이상철;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98
    • /
    • 2012
  •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식별 기술을 이용하여 가축의 건강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 하기위한 기술에 활용하기 위하여 정상시 소의 체온 data base를 구축하였다. 체온측정을 위해 거세한 홀스타인 수소 3두를 공시하였다. 동물들은 stanchion barn에서 2주간 적응시킨 후 열전대와 recorder 장치를 이용하여 귀, 목, 머리와 심부 4부위의 온도를 9일간 연속 측정하였다. 측정한 체온의 모든 부위는 하루 중 낮 시간에는 체온이 올라가고 다시 저녁시간에는 체온이 떨어지는 패턴을 보였다. 하루중 심부체온은 $36.1^{\circ}C$에서 $38.2^{\circ}C$의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각 피부 온도는 환경온도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귀, 목, 머리 온도의 하루중 변화는 각각 $28.5{\sim}36.3^{\circ}C$, $28.0{\sim}36.1^{\circ}C$, $28.2{\sim}35.0^{\circ}C$를 나타내었다.

중이염과 귀지가 고막 체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titis Media and Cerumen Occlusion on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rmometers)

  • 정성남;김은성;유주희;조형민;유은정;김은영;김경심;김용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2호
    • /
    • pp.114-121
    • /
    • 2010
  • 목적 : 고막체온계는 신체내의 점막과 접촉 없이 고막을 통해 심부체온을 신속히 간편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어 영아와 소아들에서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쪽에만 중이염, 귀지가 있는 경우 양쪽 고막체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방법 : 2008년 6월부터 9월까지, 2010년 1월부터 5월까지 본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내원한 소아 중 비디오 이경을 통해 중이염과 귀지가 없는 정상군 50명, 한쪽에만 고막이 안보이게 귀지가 가득 있는 군 50명, 한쪽에만 중이염을 가진 군 186명의 3개 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막체온은 Braun Thermoscan을 이용해 양쪽 귀에서 2초간 측정하였고, 15분 뒤 다시 측정하였다. 중이염을 가진 군은 비디오 이경으로 확인하여 염증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2.0을 사용하였고 paired T-test와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정상 군과 한쪽에만 귀지가 있는 군에서는 양쪽 고막체온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쪽에만 중이염이 있는 군에서는 중이염이 있는 쪽의 고막이 평균 $0.13{\pm}0.20^{\circ}C$ 높았고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36.99{\pm}0.54^{\circ}C$ vs $36.86{\pm}0.52^{\circ}C$ P<0.001). 중이염의 단계에 따른 양쪽 고막의 체온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고막체온계는 스트레스 없이 쉽고 빠르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적절한 방법으로 측정한다면 양측 고막체온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나, 중이염이 있을 때엔 양쪽 고막체온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주의 해야겠다.

어깨와 대퇴부위에 건열과 습열 적용이 피부온도와 심부체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herapy to Superficial and Deep Body Temperatures according to Applying Dry and Moist Heats on Shoulder and Thigh)

  • 임난영;정현철;이승원;김우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69-27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preparing the evidence-based data for the manual of heat applications by finding the differences of superficial and core temperatures after applying dry and moist heats on shoulder and thigh. Methods: Moist and dry heats were alternately applied on the 33 subjects a day apart from May 15, 2010 through June 9, 2010.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3^{\circ}C$ to $25^{\circ}C$ room temperature and 50% to 66% of moisture from 2 to 6 p.m. After heat was applied on the shoulder of the subjects wearing shorts and gowns for 30 minutes, their superficial and core temperatures were measured. The same method was used on the thigh after two hours. Results: Both superficial and core temperatures on the shoulder and thigh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heat therap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applying methods and region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that a dry heat is a conven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hypothermic patients.

수면과 온도 (Sleep and Temperature)

  • 김혜금;서완석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47-52
    • /
    • 2016
  • Changes in core body temperature are closely related to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sleep, and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clothing, human activities, and medications. The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sleep fragments, insomnia and other sleep disorders. Understanding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related to human surroundings on the core body temperature and sleep, will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physiology of sleep and to treat sleep disorders.

전정맥 전신마취하(下) 복강경 수술환자의 부위별 심부체온의 변화 평가 (Core Temperature Evaluation in Different Body Parts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e Surgery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 함태수;김원호;김남초;유제복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9-386
    • /
    • 2015
  • Purpose: The trend of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nd the most adequate site for monitoring temperature measurements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oroughly. In this study body temperature chang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was measured and measurements of the tympanic, esophageal, and nasopharyngeal core temperatures in surgical patients with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were compared. Methods: From February to October 2013, 28 laparoscopic surgical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The patients' core temperature was measured 12 times at ten minute intervals from ten 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endotracheal intubation. Results: Repeated measure of core temperature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ody part (p=.033), time of measure (p<.001) and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body part and time of measure (p<.027). The core temperatures were highest at tympany location, lowest at nasopharynx.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was least for the esophagus ($36.10{\sim}36.33^{\circ}C$), followed by nasopharynx and tympany. Conclusion: The esophageal core temperature showed the highest stability followed by nasopharyngeal and tympanic temperature. Therefore, close observations are required between 10~20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30분의 수술전 가온이 고관절 전치환술 노인 환자의 수술중 심부체온, 수축기압, 심박동수, 수술후 전율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30-Minutes of Pre-Warming on Core Body Temperature, Systolic Blood Pressure, Heart Rate, Postoperative Shivering, and Inflammation Response in Elderly Patients with Total Hip Replacement under Spinal Anesthesia: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 천유미;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56-46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warming on core body temperature (CBT) and hemodynamics from the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until 30 min postoperatively in surgical patients who undergo total hip replacement under spinal anesthesia. Our goal was to assess postoperative shivering and inflammatory response. Methods: Sixty-two surgical patients were recruited by informed notic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at a 1,300-bed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South Korea from January 15 through November 15, 2013. Data on CBT, systemic blood pressure (SBP),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from arrival in the pre-anesthesia room to 3 hours after the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Shivering was measured for 30 minutes post-operatively. C-reactive protein (CRP)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1 and 2 days postoperatively. The 62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EG), which underwent pre-warming for 30 minutes, or a control group (CG), which did not undergo pre-warming. Results: Analysis of CBT from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to 3 hours after induction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F=3.85, p=.008).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shivering in the EG was lower than that in the CG ($x^2=6.15$, p=.013). However, analyses of SBP, heart rate, CRP, and ESR did not reveal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 Conclusion: Pre-warming for 30 minutes is effective in increasing CBT 2 and 3 hours after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In addition, pre-warming is effective in decreasing post-operative shivering.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남자 피부온에 관한 연구

  • 심부자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50-251
    • /
    • 1996
  • 인간의 온열환경에 대한 적응은 인간-의복-환경 System사이의 산열과 방열의 열교 환을 통해 보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체온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체와 의 관계와의 열교환은 주로 피부표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피부온은 외계로의 방열을 예측 하여 인간의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내며, 온열감각을 좌우하는 인자로 의복의 온열생리, 의 복의 보온력, 쾌적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생리적인 지표가 되어 착의의 적부를 검토하는 데 의미를 지니면서 의복설게의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기후 및 변화된 온열환경에 적응된 인체의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피부온을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장시간의 노출에 의한 변동을 파악하여 쾌적 착의의 관점에서 인체와 환경사이에 존재하는 의복에 있어서 설계의 기초가 되는 피부온의 의의를 재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