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박동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1초

심박동 수를 활용한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검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CT Angiography in the Lower Extremity using Heart Rate)

  • 김성식;박호성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3-62
    • /
    • 2023
  •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검사 시 환자의 심박동 수(HR)에 따라 하지 혈관의 조영증강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영상 기법을 찾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2022년 1월부터 22년 8월까지 아주대 병원을 내원하여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검사를 진행한 외래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박동 수(HR)에 따라 A 그룹(HR ≤65), B 그룹(65<HR<80), C 그룹(80≤ HR)으로 나누었다. 추가로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D 그룹(HR ≤65), E 그룹(65<HR<80), F 그룹(80≤ HR) 으로 나누어 조영제 도달시간과 조영증강 평균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심박동 수(HR)의 차이는 하지 혈관 조영증강 강도에 영향을 주었고, 그룹별 정량적 평가 결과 Heart Rate가 65회 이상인 B, C 그룹은 A 그룹에 비해 슬와 동맥의 HU 값이 우수하였다(p<0.001***). 지연시간을 적용한 D 그룹은 A 그룹에 비하여 하지 동맥의 조영증강 효과가 개선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01***), 다른 그룹과의 비교한 분석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심박동 수(HR) 활용한 Lower extremity CTA 검사 방법은 유의미 하였고, 특히 심박동 수(HR)가 65이하로 낮은 경우에는 환자에게 적절한 지연시간을 적용하여 검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소아 치과치료시 심박동과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변화 (PULSE RATE AND OXYGEN SATURATION IN CHILDREN DURING ROUTINE RESTORATIVE DENTISTRY)

  • 김하나;백병주;김재곤;양연미;박정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5-72
    • /
    • 2008
  • 소아환자의 진정법시 사용되는 환자감시 기구 중 하나인 pulse oximeter는 산소포화도를 감시하여 조기에 저산소혈증을 발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진정법을 시행하지 않은 소아환자에서 pulse oximeter(pulse oximeter7845, Kontron Instrument Ltd., England)를 이용하여 일상적인 수복치료시 치료단계에 따른 심박동과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전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3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치료전 3분과 치료후 3분을 포함하여 수복치료 단계별로 심박동과 동맥혈 산소포화도가 기록되었고, 기록된 수치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비마취군에서 상, 하악 치료군 간 심박동 변화를 비교시 상악의 경우 러버댐 장착시 심박동이 급격히 증가한데 비해 하악치료군에서는 와동 형성시 심박동이 크게 증가하였다. 2. 마취군에서 상, 하악 심박동 변화를 비교시 상악치료군에서는 러버댐 장착을 기점으로 심박동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인 반면, 하악 치료군은 와동형성시점부터 심박동이 감소되었다. 3. 비마취군에서 상, 하악 치료군 간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비교하였을 때 상악 치료군은 치료 전부터 치료 후까지 비교적 일정한 값을 나타내며 모든 단계에서 하악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인 반면, 하악 치료군은 러버댐 장착시 증가하여 유지되다가 치료 후 다시 치료 전 수준과 유사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4. 마취군에서는 모든 단계에서 동맥혈 산소포화도 값이 99%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상악과 하악 치료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p>0.05).

  • PDF

하모닉 신호와 적응 필터를 이용한 휴대형 심박수 측정 장치 설계 (Design of 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Heart Rate Using Harmonic Signal and Adaptive Filter)

  • 이주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23-728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의 간호 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간호 업무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PPG 신호를 이용한 휴대형 심박수 측정 장치의 설계 방법과 환자의 움직임인 동잡음에서도 신뢰성이 높은 심박수 측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심박수 측정방법은 생체 신호의 하모닉 특성을 기반한 적응필터로 동잡음을 제거하고 심박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기법으로 구현된 심박수 측정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손가락 떨림, 손목 움직임 등의 동잡음을 발생시켜 실험하고, 일반적인 방법인 이동평균 필터의 성능과 비교 평가 하였다. 이 실험 결과에서 제안된 기법의 성능이 이동평균 필터의 성능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휴대형 심박수 측정기를 간호업무에 도입한다면, 간호 업무 개선과 보다 선뢰성이 높은 심박수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 인증을 위한 PPG 신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PPG signal for individual verification)

  • 김신자;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8-440
    • /
    • 2009
  • 사람의 심박동은 심장 상태와 구조, 나이 등의 여러 요소에 의하여 고유한 특성을 갖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개인 인증에 심박동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방법을 대신하여 빛을 이용한 광전용적맥파(PPG, Photo Plethysmogram)를 측정, 신호를 분석하였다.

  • PDF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전탕액(煎湯液)이 배양(培養) 심근세포(心筋細胞)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Chungsimyonjatang water Extract on the Rat Myocardial Cells in Cultures)

  • 한병삼;류도곤;이시우;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0-78
    • /
    • 2001
  • ADR유발성 심근독성에 대한 심근세포의 손상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ADR의 독성을 MTT정량, NR정량, LDH활성도 및 심박동을 측정하였다. 배양된 심근세포에서 청심연자탕 전탕액의 심근세포 보호효과는 LDH활성도 측정과 심박동 측정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ADR은 배양심근세포에서 세포의 생존능력을 떨어뜨렸고, LDH의 활성도를 높였으며, 심박동수를 감소시켰다. 2. 청심연자탕 전탕액은 배양심근세포에서 ADR에 의해 증가된 LDH 활성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3. 청심연자탕 전탕액은 배양심근세포에서 ADR에 의해 감소된 심박동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DR은 신생 마우스에서 적출해낸 배양 심근세포에서 독성효과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청심연자탕 전탕액은 ADR에 의해 유발된 심근세포독성에 매우 효과적으로 방어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토의 ouabain 유발 부정맥에 미치는 acebuolol 및 carbamazepine의 영향 (The Effects of Acebutolol and Carbamazepine on the Ouabain-Induced Arrhythmias in Rabbits)

  • 김원준;하정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4
    • /
    • 1987
  • Adrenergic beta 1 수용체 봉쇄 약물인 acebutolol과 항 경련제로 사용되고 있는 carbamazepine은 실험적으로 ouabain유발 부정맥을 정상 심박동으로 환원시키는데 유효하다고 보고되었으나 그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가토에 ouabain 투여로 부정맥을 유발시킨 후 acebutolol과 carbamazepine을 단독 혹은 병용 투여하여 이 두 약물이 ouabain 유발 부정맥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호 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ouabain 유발 부정맥은 acebutolol 혹은 carbamazepine 단독 투여로 정상 심박동으로 환원되었으며 용량이 감소함에 따라 정상 심박동으로 회복하는데 요하는 시간이 연장되었다. 또 단독 투여시 항 부정맥 효과를 볼 수 없었던 용량을 병용 투여하였을 때 ouabain 유발 부정맥은 즉시 정상 심박동으로 환원되었으며 상기 용량의 두 약물을 병용하여 전처치함으로써 ouabain의 부정맥 유발 용량이 의의있게 증가되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 acebutolol과 carbamazepine은 ouabain 유발 부정맥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시키며 상협적인 상호작용(synergistic interaction)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 PDF

무구속 심탄도 모니터링을 통한 스트레스지수 분석 (Analysis of the Stress Index through Unconstraind BCG Monitoring)

  • 노윤홍;정도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9-352
    • /
    • 2009
  • 최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가 부각됨에 따라 심장의 활동상태를 보다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강조한 심전도 계측 시스템 및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심전도 계측은 전극의 부착 및 계측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리드선의 사용으로 인해 활동의 불편함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 연구 수행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무구속적인(unconstrained) 방법으로 지속적인 심장의 활동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구속 의자형 심탄도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무구속적인 방법으로 심탄도 신호를 계측하고 심탄도신호로부터 심박동변이율을 추출함으로써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통한 스트레스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평가하기위하여 안정상태의 심박동변이율과 인위적인 신체적 스트레스인 Valsalva 조작를 유도한 후 심박동 변이율을 비교평가 하였다. 건강한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한 결과 안정 상태와 육체적 스트레스 인가 후 심박동 변이율의 변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무구속적인 방법에 의해 스트레스의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VVI 단극유도의 심박조율치를 가진 환자의 개심술 -1례 치험- (Cardiac Surgery for the Patient with VVI Unipolar Pacing System -One Case-)

  • 정해동;최종범;최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98-401
    • /
    • 1998
  • 단극유도의 심박조율기를 가진 56세 여자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로술과 승모판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단극유도 심박조율기는 심근 외의 전자기의 간섭에 대한 감수성이 높으므로 개심술시 전기소작기의 전기파에 의해 심박조율기의 조율기능이 억제될 수 있으며, 수술후 제세동기 사용할 때 영구 심박조율기에 전기 충격이 갈 수 있다. 따라서 대동맥 차단 감자를 해제한 후 심실세동없이 정상 심박동을 유도해야 한다. 본 환자에서 임시형 심방실 유도를 거치하고 임시형 심박조율기로 조율하여 심장리듬과 심기능을 유지시키면서 전기소작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대동맥 차단 중 전행성 및 역행성으로 혈성심정지액을 투여하고 대동맥 차단감자를 해제하기 직전에는 온혈심정지액과 온혈의 순차적인 역행성 주입으로 자연적인 심장리듬을 회복시킴으로써 제세동기 사용을 배제할 수 있었다.

  • PDF

독립성분 분석법과 필터뱅크를 기반한 PPG 신호의 동잡음제거 필터 설계 (Design of Filter to Remove Motionartifacts of Photoplethysmography Based on Indepenent Components Analysis and Filter Banks)

  • 이주원;이병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431-1437
    • /
    • 2016
  • 모바일 헬스 장치에서 PPG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함에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인 동잡음에 따라 그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이의 원인은 PPG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동잡음의 주파수 대역이 겹쳐있기 때문이고, 일반적인 대역필터로는 동잡음을 제거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필터뱅크와 ICA를 이용하여 PPG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동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다양한 동잡음을 가하여 기존의 이동평균필터법과 ICA법의 심박수 변화를 비교 평가를 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에서 제안된 기법은 동잡음 환경에서도 기존의 이동평균필터와 ICA 보다 심박수 오차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제안된 방법을 헬스케어 단말기 설계에 적용한다면, 보다 안정적인 심박수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체외순환 및 비체외순환하에서의 관상동맥우회로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with Cardiopulmonary Bypass Versus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 박찬범;권종범;박건;원용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591-596
    • /
    • 2001
  • 체외순환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로술은 수술적인 관상동맥 재관류 기법에서 보편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체외순환후 발생되는 전신적인 염증반응이나 혈액성분의 기계적 손상, 혈액응고장애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있어, 이러한 합병증들을 피하기 위하여 체외순환을 이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로술이 점차로 보편화되고 있어 체외순환 및 비체외순환하에서의 관상동맥후회로술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0년 9월까지 비체외순환하에서 관상동맥우회로술 14례, 체외순환하에서 관상동맥후회로술 21례를 시행하였으며, 양군에서의 평균수술시간, 술후 기관삽관기간, 평균중환자실 재원기간, 평균재원기간, 수혈량, 술후 강심제의 사용, 술후 심근효소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수술시간은 심박동하 수술군에서 280$\pm$93.1분,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392.4$\pm$80.4분으로 심박동하 수술군에서 짧았으나 문합혈과 개수의 차이를 고려하면 양군에서의 수술시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술후 기관삽관 시간은 심박동하 수술군에서 2.4$\pm$2.0hr,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는 6.9$\pm$4.9hr으로 역시 심박동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p<0.05). 중환자실 평균재원기간은 심박동하 수술군에서 $1.5\pm$0.7일,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2.3$\pm$3.7day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12.0$\pm$4.0day로서 별다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후 양군에서의 수혈량을 관찰하면 자기수혈량이 심박동하 수술군에서 113.6$\pm$173.1ml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478.6$\pm$310.9ml로서 심박동하 수술군에서의 수혈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수술후 Dopamine, Dobutamine, Epinephrine의 사용량은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심박동하 수술군에서 적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수술후 심근효소수치는 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결론: 비체외순환하 수술군에서 술후 기관 삽관기간, 평균 중환자실 재원기간이 짧으며, 수혈량 및 술후 강심베의 사용이 적으며, 심근보호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생각되나,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