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미추구적 소비 행동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onsumption Behavior of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r Imported Famous Brand Products (20, 30대 여성의 수입유명브랜드 제품 소비행동)

  • 유미현;이승신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33-46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lan to activate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research using a questionnaire investigating the consumption behavior of imported famous brand products and conducted a case study in order to supplement the qualitative sen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48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interview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0 consumers in the case study.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1. Women consum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picuous consumption behavior i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imported famous brand products. 2.The educational level of consumers and friends showed the grea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nspicuous consumption behavior. Both the perception on the openness of imports and the frequency of travel abroad had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pursuit consumption behavior, while age and marital status had the greatest effect on aesthetic-pursuit consumption behavior.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최윤영;이선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1-41
    • /
    • 2003
  • 하루가 다르게 점차 빨라지고 있는 유행주기와 동조성의 거부 즉 개성화추구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서 패션상품 및 화장품 구매행동도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시각각 변화고 있는 소비자들의 소비태도와 유행추세에 따라 화장품 회사들의 다양한 판매촉진 전략 중에서 화장품 기획세트를 중심으로 심미적 가치관이 높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대 유행선도자들의 화장품 기획세트 구매동기와 구매태도, 구매반응, 구매실태를 알아본 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 기획세트 판매촉진의 효율적인 개발과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on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nimation Audiences (애니메이션 수용자의 인식유형과 취향에 관한 주관성연구)

  • Hyun, Seung-Ho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26
    • /
    • pp.31-56
    • /
    • 2012
  • This is a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on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nimation audience. Therefore, Q-methodology was used as a methodology of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audience on animation genres. The features of each typ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First was an artistic and literary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storytelling and descriptive value. Second was a pictorial and aesthetic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visual beauty such as characters and Mise en scene. Third was a visual and entertainment value-oriented type that explored entertainment factors and attractions. Thu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reference types, it was inferred that digital image generation audience with an active preference that can create and consume images have developed a tendency that independently consumed their preferences based on thoroughly personal or subjective preferences rather than classified and accepted their preferred culture as their symbolic expressions of hierarchical position. In this aspect, Q-methodological consideration that is useful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audience could be a significant work. Nevertheless, this study alone could not reveal various generative contexts of specific preferences. It seems to have more significant results by applying various qualitative or quantitative methodologies together with this study and analyzing recognition types and preferences of aud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