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험.실습법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9초

상호동료 교수학습 기반의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 83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수술전간호, 개인위생, 수술후간호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수술전간호, 수술후간호의 숙련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의 실습만족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은 난이도 '중' 정도의 핵심간호술의 수행자신감과 숙련도에 효과가 있으며 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다양한 실습교과에 확대 적용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의 난이도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근육주사법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kill Competency of Intramuscular Injection)

  • 윤소영;최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12-420
    • /
    • 2016
  • 본 연구는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근육주사법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로 G광역시 소재 일 간호대학의 기본간호학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2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2명이었다. 지식과 자신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행능력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전, 사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과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을 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 학습만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 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의 지식(F=3.59, p=.019)이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실험군의 자신감(F=2.26, p=.016)과 수행능력(F=9.08, p<.001)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근육주사 간호술기에 대한 자신감 및 수행능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간호학생이 자율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디자인계열 전공 실습교육을 위한 증강현실기반 이러닝(AREL: AR based e-Learning) 프레임워크 디자인 (AREL(AR based E-Learning) for PBE(Practice-Based Education) Framework Design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Major)

  • 이기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363-38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미술 디자인계열 전공 실습 교과목의 실습수업을 위한 이러닝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기 위해 기본 틀이 될 프레임워크를 디자인하는 연구이다. 특히 일방향적인 이러닝 교육방식에서 탈피하여 증강현실(AR)의 콘텐츠 재현 과정을 학습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가상적 상황을 현실상황에 증강시켜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환경에 대한 현실감을 높이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프레임워크 구축 과정 및 교수학습법 개발은 이전에 발표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학 e-Learing 실습교육"의 학습효과 실험연구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교육 교수학습법 개발 과정에 관한 논문으로써 시기적으로는 이전 논문의 선행연구임을 밝히며, 기 발표 논문과 본 논문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학습효과 실험에 들어가기 위한 교과과정 개발에 목적을 둔다. 학습방식에 따른 구분은 기본 학습유형에 따라 대면학습(FFL), 블랜디드학습(BL), 완전이러닝(EL), 그리고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AREL) 4개 교수 학습방법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를 위해 FFL, BL, EL의 각 교수학습 프레임을 비교 분석하고 AREL의 교수학습유형과 비교분석 및 종합적 결합을 통해 효과적인 증강현실 기반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구축하였다. 또한 향후 학습효과 실험을 위한 AREL 실습교과목 교수학습 과정 설계 틀을 제시함으로써 연구를 마친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기반의 간호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 효과 (The effects of Pre-briefing Team-bas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71-279
    • /
    • 2020
  •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임상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교육방법으로 간호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나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부담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하면서 불안과 소극적인 실습참여는 실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72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팀 기반 학습을 사전브리핑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중요한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확대 적용 및 사전브리핑 단계를 표준화하여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Smartphone Video Recording on Essential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199-1207
    • /
    • 2018
  • 핵심기본간호술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관찰 방법의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핵심간호술기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P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4명, 대조군 51명이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점수 차이에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수혈간호, 수술전간호의 핵심간호술기 능력과 수행자신감, 실습 만족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촬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켜 술기의 정확성과 숙련성을 갖출 수 있는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전문대학 안경사 양성제도 및 안경광학과 교육과정 개선방안 (Optician Training System at a Professional School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Optical Science)

  • 송용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126
    • /
    • 1997
  • 바람직한 안경사 양성을 위해서 전문대학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안경사 양성기관은 단기방안으로 현행 전문대학 2년제 안경광학과에서 3년제로 연장하고, 장기적으로는 4년제 안경광학과를 설치하여야 한다. 국가시험은 과목별 반영비율을 재조정하고 콘택트렌즈학을 추가해야 하며, 시험형태는 현행 객관식 지필고사에다 필기가공테스트를 추가해서 국가시험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전문대학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은 실험실습이 강화된 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특수안경 조제, 포롭터 검사법 등의 실험실습 과목이 확대되어야 하고 임상실습에는 상품지식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론과 실습비율도 5:5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안경광학과 교수구성은 학생 40명당 2명 이상으로 증원하여야 하며 안경광학 전공교수, 보건의학 전공교수, 안경사 출신교수 등으로 교수진을 구성해서 비전공 교수들에 의한 강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실습은 과목을 확대하고 실습시간과 실습장소, 기자재, 실습조교 등의 확보 또는 채용이 필요하다. 임상실습은 실습내용에 상품지식, 경영실무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습평가자의 자격도 전문대 출신 이상의 안경사가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PDF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웹기반 학습과 동료 교수법의 혼합 모델 (A Blended Model of Web-based learning and Peer tutoring for improving the Scholastic achievements)

  • 이윤경;김주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27
    • /
    • 2008
  •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웹기반 학습을 도입하여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많이 있지만 웹기반 학습은 교수자와의 정의적 교류를 통한 인간적 피드백의 부족과 웹기반 학습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습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준별 학습을 위해 웹기반 학습을 도입하고, 웹기반 학습의 문제점 보완과 학자자간 학업성취도 격차를 좁히기 위해 동료교수법을 결합한 혼합학습의 효과를 밝혔다. 실험적인 목적을 위해 고등학교 학습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고, 엑셀 교수-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두 그룹 모두에 적용해 웹기반 수준별 기본학습을 선행하도록 하였다. 선행학습 후 실습문제 해결을 위해 웹기반 학습과 동료교수법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적용하였다. SPSS에 의해 분석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웹기반 선행학습과 동료교수법을 결합한 혼합학습이 하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혼합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중 하위권 학습자들이 학업성취도에 있어 많은 향상을 보이며 상위권 학습자들과 격차를 좁힌 것이 실험집단의 전체 학업성취도 향상에 주요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가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Practice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 이지현;남정희;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4
    • /
    • 2003
  • 이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 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과학과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방법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로부터 볼 때, 과학성취도의 평균이 동질한 두 집단에서 수행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과학 성취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전 과학성취도가 중, 하위권인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상위권 학생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성적이 약간 향상되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를 보인 반면, 비교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였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에서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자아개념과 학습습관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는 효과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과학성취도가 상 중 하인 집단 별 정의적 영역점수의 향상정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분석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학습에 대한 태도에서 중,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학습습관에 있어서는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과학과에서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실시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적이 중, 하위권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HTML 교수-학습방법의 연구 (A Study on HTML Learning Method Using PBL)

  • 김갑수;이선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7-46
    • /
    • 2006
  •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인 문제중심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 )은 초등학생의 HTML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ning)과 전통적 강의-실습법을 HTML 학습에 적용하는 비교 실험을 통하여 학업 생취도의 차이와 그 효과성을 검중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문제중심학습센터의 IMSA 모형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학업 성취도 평가는 이론 영역과 실기 평가 영역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학업 성취도의 이론 영역의 평가영역에서는 강의법과 문제중심학습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기 평가 영역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유의한 차로 우위의 학업 성취도를 나타냈다. 실험결과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구성주의 학습형태인 문제중심학습이 전통적 학습 방업에 비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 실행 -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 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 (Performing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for a Profess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ought experiment activities by Socratic method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37-5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을 점검하고, 이를 반영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사 연수는 2014년 7월 수학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과정에 참가한 중등 수학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수 과정에서 교사들은 산파법을 적용한 수학 학습 지도 과정을 구상하고, 이를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 양식으로 기록하는 사고 실험 실습을 하였다. 사고 실험 실습 과정은 좋은 수학수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과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수를 통해 교사 교육자와 동료 교사들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의 배움이 확장되고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습 공동체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