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어증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phoric Resolution in Anomia and Wernike Aphasia (실어증에서 나타나는 참조어 정보처리과정의 특성 : 명칭 실어증과 이해성 실어증을 중심으로)

  • Kim, Ga-Young;Hwang, Yu-Mi;Moon, Young-Sun;Park, Yoon;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55-46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어증 화자가 참조어(대명사)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오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참조어에 관한 처리기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와 이해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환자에게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정오판정 과제로 문장, 혹은 문단을 제시하고 사용된 참조어가 옳은지 그른지를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험 2는 채워넣기 과제로 문장, 문단을 제시하고 괄호 안에 들어갈 참조어를 보기에서 고르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된 참조어는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그리고 지시 관형사였다. 인칭 대명사의 경우는 인칭과 수로 나누어 각각 1인칭, 2인칭의 단수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되었으며, 문장 내에서 각각 주격조사 '가', 보조사 '는', 소유격조사 '의'와 결합되어 제시되었다. (나는, 너는, 우리는, 너희는/ 내가, 너가, 우리가, 너희가/ 나의, 너의, 우리의, 너희의) 지시 대명사의 경우는 사물을 나타내는 것과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이것, 그것, 저것/ 이곳, 그곳, 저곳) 지시 관형사의 경우는 '이', '그', '저'가 각각 명사와 결합되어 제시되었는데 지시대명사로 분류하였다. 실험결과는 실험과제간(정오판정, 채워넣기), 실험재료간(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의 차이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내에서도 각각의 재료들 간에 오류반응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참조어 범주간 별개의 처리과정이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적 상황, 대명사의 개념적 거리, 빈도, 사용된 문장의 길이 등 여타의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어휘적 의미가 전혀 활성화되지 않아 정상인과는 다른 언어처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 PDF

A Case of Transcortical Sensory Aphasia Assessed with Analysing the Patient's Speech at the Series of Pictures (이야기배열그림 발화분석을 통해 살펴본 초피질감각실어증환자 치료경과 1례(例))

  • Yoo, Gyung;Kim, Lak-Hyung;Jeong, Eun-Hee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 /
    • v.16 no.2
    • /
    • pp.251-257
    • /
    • 2005
  • In this case study, We treated a transcortical aphasia patient with herbal medicine, acupunture and language therapy. We assessed the progress of the patient with Western Aphaia Battery(K-WAB), Boston Naming Test(BNT) and analysed the patient's speech at the series of pictures. The score of K-WAB and K-BNT was improved, the rate of statement at the theme of the picture was improved and the neologistic and verbal paraphasia was reduced. We think that the analysing the speech of the patient at the series of pictures to evaluate the practical problem of the patient would be useful. Further study is necessary about the utility of this assessment tools.

  • PDF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Language Therapy in Patient with Fluent Aphasia after Stroke : Case Report (한방치료 및 언어치료를 병행한 중풍 유창성 실어증 환자 치험 1례)

  • Yeo, Jin-Ju;Jang, In-Soo;Yoo, Gyung;Jeong, Eun-Hee;Kim, Lak-Hyung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 /
    • v.17 no.1
    • /
    • pp.137-143
    • /
    • 2006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language therapy in a patient with fluent aphasia after stroke. We treated the patient with Jihwangumja, special acupuncture points and Language-Oriented Treatment(LOT). The language abilities of the patient in this study was markedly increased in Korean-Western Aphasia Battery(K-WAB) and Communicative Ability in Daily Living Test(CADLT). Aphasia quotient, fluency, comprehension, repetition and naming score of K-WAB were improved in second and third examination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examination. Each item of CADLT was improved in second examina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examin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Resolving Syntatic Ambiguity in Normals and Aphasic (한국어 구문 중의성 해결과정 : 정상인과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구문정보처리 특성)

  • Kim, Yoon-Jung;Kim, Su-Jung;Jung, Jae-Bum;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70-475
    • /
    • 1999
  •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단어를 이해한 후에 이 단어들이 문장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 그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한국어 정보 처리에 있어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지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실험 재료로는 구문 중의성 문장을 사용하였는데, 구문 중의성이란 가령 '정치가'와 같은 어절이 '정치+가(주격조사)'나, '정치+가(접미사)' 모두를 뜻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의성을 이해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중의성 해결 지역에서의 읽기 시간(reading time)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과제는 자기 조절 읽기 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피험자와 마찬가지로 '정치가'와 같은 중의적 어절이 주어로 쓰였을 때에는 중의적 문장 / 비중의적 문장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명사+접사'로 해석해야 할 경우에는 둘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피험자였던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 이러한 중의성을 해결하면서 읽는 데에는 손상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단 전체적인 문장을 읽는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려 역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문장 산출의 어려움이 구문적 정보처리에서의 문제라기보다는 어휘 정보를 적절하게 인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론된다.

  • PDF

Language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multi-dimensional verbal short-term memories in patients with conduction aphasia (다차원 구어 단기기억에 따른 전도 실어증 환자의 언어수행력 분석)

  • Ha, Ji-Wan;Hwang, Yu Mi;Pyun, Sung-Bom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3 no.4
    • /
    • pp.425-455
    • /
    • 2012
  • Multi-dimensional verbal short-term memory mechanism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phonological channel and the lexical-semantic channel. The former is calle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the latter is called semantic short-term memory.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s further segmented into the phonological input buffer and the phonological output buffer. In this study, the language performance of each of three patients with similar levels of conduction aphasia was analyzed in terms of multi-dimensional verbal short-term memory. To this end, three patients with conduction aphasia were instructed to perform four different aspects of language tasks that are spontaneous speaking, repetition, spontaneous writing, and dictation in both word and sentence level. Moreover, the patients' phonological memories and semantic short-term memories were evaluated using digit span tests and verbal learning tests. As a result, the three subjects exhibited various types of performances and error responses in the four aspects of language tests, and the short-term memory tests also did not produce identical results. The language performance of three patients with conduction aphasia can be expla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defects occurred in the semantic short-term memory, phonological input buffer and/or phonological output buffer. In this study,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multi-dimensional verbal short-term memor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language tests and short-term memory tests in patients with conduction aphasia.

  • PDF

The Differences of Naming by Word Frequency, Length, and Animacy in Nonfluent Aphasic Patients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빈도 및 길이, 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의 차이)

  • Kwon, Jung Hee;Choi, Hyun Joo
    • 재활복지
    • /
    • v.20 no.1
    • /
    • pp.171-1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conditions-words frequency, word length, and animacy-on the performance of naming in nonfluent aphasic patients. 15 nonfluent aphasic patients and 15 normal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words consist only of concrete nouns and confrontational naming test was used. The test consisted of 40 questions and the condition of word were frequency(low-frequency/high-frequency), length(1 syllable/3 syllables) and animacy(animate/inanimat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naming was performed better with high-frequency words than with low-frequency words in both groups. Second, naming was performed better with 1 syllable words than with 3 syllable words in both groups. Third, naming performance depending on anima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animacy of word, word frequency and length have bigger influence on the naming, and the difference by word frequency was more pronounced for nonfluent aphasic patients than for normal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rget word for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nonfluent aphasic patients, words frequency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clinical set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ement on Caregiv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Aphasia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 훈련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

  • Park, Hee-June;Chang, Hyun-Ji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8 no.2
    • /
    • pp.79-88
    • /
    • 2019
  • Objective : Aphasia interferes wi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conversation partner. Adequate communication is essential not only for the patient but also for caregiver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 :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ts of parental education and group training in terms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of six aphasic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family members). Caregiver education provided caregivers with information on stroke and aphasia, and group train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learning cycle. Result : As a result, communication increased in terms of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or interactive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analysis showed that caregivers learned more about aphasia and had confidence in using facilitation strategies. Conclusion : Giv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atients and caregivers promotes caregiver's knowledge and positively interacts.

Difference between Deixis and Anaphora in Aphasics (대명사의 화시적 기능과 조응적 기능: 실어증 환자를 중심으로)

  • 황유미;남기춘;강명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97-302
    • /
    • 2000
  •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화시적(deictic)인 대명사와 조응적(anaphoric)인 대명사의 처리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인칭 대명사와 지시대명사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각각 화시적인 대명사와 조응적인 대명사로 구분될 수 있다. 화시적인 대명사란 발화상황에서 직접 가리킬 수 있는 대명사를 지칭하며 언어적 표현에 의존하기보다는 상황 의존적 대명사를 말하고 조응적인 대명사란 앞선 문맥에서 제시된 언어표현을 선행사로 되받는 대명사를 말한다. 인칭 대명사 가운데 1인칭('나')과 2인칭('너')은 화시적인 대명사로, 3인칭 '그'는 조응적인 대명사로, 3인칭 재귀대명사 '자기'는 화시와 조응의 혼합된 것으로 보았다. 지시 대명사의 경우 '이-/저-'는 화시적인 용법이 지배적인 것으로 분류하였고, '그-'는 조응의 '그-'와 화시의 '그-'l로 나누었다. 실험 1은 화시적인 1,2인칭 대명사 처리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실험 1의 결과 3명의 브로카 환자와 qdua의 실명증 환자는 1,2인칭 대명사를 비교적 잘 처리하였다. 실험 2는 인칭대명사 가운데 화시적인 요소와 조응적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3인칭 재귀대명사 '자기'와 조응적 성격의 3인칭 대명사 '그'의 처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2의 결과 3인칭 재귀사 '자기'의 경우 실험 1보다는 처리에 어려움을 보였으나 3인칭 대명사 '그'보다는 잘 처리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 3은 지시 대명사 관련 실험으로서 화시적 용법의 '이-/그-/저-'와 조응적 용법의 '그-'의 처리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3의 결과 지시 대명사의 처리에 있어서 화시적 용법의 '이-/그-/저-'는 비교적 잘 처리하였으나 조응적 용법의 '그-'를 처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실험 1,2,3에서 실어증 환자들은 화시적 대명사를 조응적 대명사보다 더 잘 처리하는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실어증 환자들이 뇌손상으로 인해 문법적 언어처리에는 어려움을 보이지만 비언어적인, 세상 지식과 관련된 화시적 대명사의 처리는 가능할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 해준다. 또한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대명사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화시와 조응의 처리가 구분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Review of Recent Digital Technology-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phasia: Focusing on VR, AR, and Mobile Application (실어증 환자 대상 디지털 기술 기반 언어재활에 관한 최근 문헌 고찰: VR, A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Chung, Chae Youn;Hong, You Jeong;Kong, Seong Hyeon;Choi, You Jin;Lee, Kyog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46-63
    • /
    • 2022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growing trend to integrate it into the medical field, recent studies suggest language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aphasia using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coping review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digital technology-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phasia in the last four years (2018-2021) and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 total of 20 papers met the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documents retrieved from the Web of Science, CINAHL, and RISS.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digital technology could offer unique treatment content by gamification, individualization, and creating a realistic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by utilizing them in various ways. Therefore, we expect digital technology-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phasia coul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language rehabilitation and provide a novel perspective on development of treatment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