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환경만족도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한.중 주택의 부엌 공간 조명환경 실태비교 (Actual conditions on Lighting Environment of Kitchen Space in House between China and Korea)

  • 학가;김현지;안옥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2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부엌 공간 조명환경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 115가구와 중국 70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엌공간의 크기는 중국보다 한국이 좀 더 큰공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싱크대와 식탁 높이는 차이가 크지 알았다. 둘째, 중국의 경우 국부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조명도 전반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엌의 조도 측정결과, 싱크대의 KS 평균조도인 200[Ix]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한국445[%], 중국63.1[%]로 나타났으며, 식탁의 경우 KS 평균조도인 400[Ix]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한국과 중국 모두 10[%] 미만으로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엌 공간 조명의 밝기정도와 만족도는 한국과 중국 모두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환경의 문제점으로는 한국의 경우 열환경, 음환경, 조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은 조명, 공기, 일조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명환경 측면의 문제점으로 양국 모두 밝기, 관리, 효율성 순으로 나타나 주택계획 시에 이러한 점에 주안점을 두어 조명환경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 PDF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 송기호;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도시형한옥의 실내 환경에 대한 주거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Indoor Environment of Urban Traditional House in Gyeongju)

  • 최무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99-10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ir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in Gyeongju, focused on indoor environment of urban traditional houses. Mostly built during time period from 1930's to 1980's in Seoak-dong, Bomun-dong, Namsan-dong, Sajeong-dong, and Hwangnam-dong, Gyeongju' Hanok reveals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to fit into the urban settlement. Urban traditional house has important meaning as a type of residence maintaining tradi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and it is the study's first goal to derive developable el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raditional house focusing on such a feature. Residents in 5 districts in Gyeongju were classified an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them. 187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for general trend of satisfaction was seek for after its average and standard variation were calculated.

도수 수경 착용시 실내와 수중에서의 시각적 만족도 및 시력 평가 (Assessment of Visual satisfaction & Visual Function with Prescription Swimming goggles In-air and Underwater)

  • 추병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7-363
    • /
    • 2013
  • 목적: 실내수영장에서 도수 수경 착용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 평가와 실내 검사실 및 수중에서의 시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나이가 $22{\pm}1.54$세인 15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의 평균 굴절이상은 각각 RE: S-1.67 D/C-0.40 D, LE: S-1.70D/C-0.37 D이었다. 모든 참여자는 기초적인 안과검사를 마쳤으며,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착용이 가능하고 수영이 가능한 자로 한정하였다. 모든 피실험자의 굴절이상은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정시상태로 교정을 하였다.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원주도수 수경(C+1.50 D, Ax $90^{\circ}$)을 착용하였을 때와 도수가 없는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 안정피로, 그리고 수영장 주위를 걸을 때의 균형감각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력 평가는 처방 S+3.00 D ~ S-3.00 D까지 0.50 D단위로 준비된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무작위의 순서로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장내의 수중과 실내의 검사실에서 ETDRS 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상태에서는 시력, 안정피로, 균형감각에 대한 3가지 만족도가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은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실내 검사실과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의 차이는 없었다(p=0.173). 일부 도수 수경(+3.00, +1.00, +0.50, 0, -1.00, -2.00 D)에서는 실내 검사실에서 측정된 시력이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중에서 수경을 착용하는 것은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저하되는 시력의 정도는 스넬렌 시력기준 1라인 이내 차이로써 실제 임상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적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난시의 미교정은 시각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영장의 미끄러운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수 수경의 도수의 정확성과 더불어 난시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학 기숙사 주거기능영역의 환경인자와 사용자 만족도의 인과분석 연구 (A Study on Cause-and-Effect Analysis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sidential Area at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the User Satisfaction)

  • 박행자;노영란;박성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41-149
    • /
    • 2008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unctional spaces within university dormitory, examine the influenc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rs' satisfaction through what parameters and probability among these parameters and seek improvement methods for dormitory users to live at dormitory as the best residential space through causal analysis of residential space uses at university dormitory based on such a probability. Research methods include theoretical research of architectural spac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dormitory facilities through literature survey,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paces and their uses through questionnaire and causal analysis of each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 after making route model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affect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cultural activiti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re safety, territoriality, interior finishing and complexity and those affecting residents' educational activities are safety and amenity of space. Residential function space of university dormitory must have spatial planning that social activities including individual and small group culture and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he view of spatial territoriality and flexibility based on safety and amenity and facilities related to continuity and connection of common space and unit residential space should be decentralized rather than centralized.

거주후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의 실내환경 성능평가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Performance Assessment Factors of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n Multi-Family Housing Using Post Occupancy Evaluation)

  • 이시내;박진철;이언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28-134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of indoor environment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occupancy in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residents effectively as they are applied preferentially a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s. The indoor environment factors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included thermal, light, air and the acoustic environment. The individual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indoor environment' assessment indices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e systems of various countries. Based on these,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o conduct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The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재가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경로당 환경색채 체크리스트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lor Checklists for Senior Center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s)

  • 최예림;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4권
    • /
    • pp.327-337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OECD 국가중 1위를 차지할 만큼 고령화사회로 고속화되고 있으며, 한국의 기대수명이 점차적으로 늘어감에 따라 사회에서 노인의 비중은 커져간다. 따라서 주요 노인계층의 행복감은 사회 전체적 분위기 및 행복감에 기여되는 부분이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로 인한 노인의 삶의 질적 저하는 우울증, 자살률 증가 등의 사회적 문제로 발전될 수 있다. 이처럼 노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 향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주어지면서, 경로당은 재가노인 사회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복지시설 형태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경로당의 역할 부담의 증가로 인하여 노후된 환경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물적 인적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정작 사용자를 배려한 실내환경의 질적 논란이 일고 있다. 색채환경은 사용자의 심리적, 정신적 영향이 높은 실내 환경인자일 뿐 아니라, 가장 저비용으로 환경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경로당 색채환경의 질 향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노인시설지침 중 색채환경에 대한 내용은 미비한 실정이며, 노인관련 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산발적이므로 경로당 색채환경의 현주소 파악과 향후 개선방향의 도출을 위하여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재되어 있는 경로당 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과 경로당의 주 사용자인 노인의 특성(신체적, 심리적, 선호적)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를 도출하며, 이는 경로당 색채환경의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경로당이 현재 전국적 네트워크를 가지는 주거영역에 기능하는 중요 노인여가시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활성화될 기존의 경로당 환경개선을 보다 사용자인 노인의 심리적, 정신적 만족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여 사회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장내 친환경 시스템이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Friendly Systems to Employees in Factory)

  • 최율;홍성민
    • KIEAE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43-48
    • /
    • 2011
  • Recently, sustainable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to all fields and environmental-friendly systems and this systems are also necessary to fac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nvironmental-friendly systems affect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factory's employees. In order to analyse the satisfaction levels of employees regarding their working conditions, the survey is conducted at various environmental-friendly factories and traditional factories. This survey shows that employees who work at environmental-friendly factorie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ing condition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t traditional factories. Therefore, the factories that installed environmental-friendly systems provide better working conditions as to traditional factories.

산후 조리원 실내 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nterior Environment Planning of a Postpartum Care Center.)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3-262
    • /
    • 2007
  • 산후조리원은 불과 십여 년 전부터 등장한 시설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산후 조리 문화를 바꿔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 출산이 사회적 현상이 되어버린 지금 대부분의 산모들은 산후 조리원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산후조리원은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로, 세무서에 사업자 신고만 하면 누구나 시설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시설을 갖추지 못한 산후조리원이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나 운영면에서 일반 시설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나 보건 복지법 상이나 의료법 상에서의 시설 기준이 명확치 못한 산후 조리원의 효율적 공간 구성과 사용자의 편의을 고려한 실내 환경 계획을 제시 하였다. 진행은 서울 경기지역의 산후조리원 6곳을 선정하여 조리원 공간의 구성을 진입공간, 거주공간, 공용공간, 간호공간, 관리 및 부속공간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건립될 산후 조리원의 실내 환경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후 조리원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이 운영되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실내 건축 계획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