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적 노화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6초

노년기 여성의 신체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A Study on Self-Esteem and Physic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 이신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547-562
    • /
    • 2009
  • 본 연구는 노화로 인해 신체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노년기 여성들이 인지하는 신체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이며 이는 자기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함으로써 노년기 여성들의 신체적 매력에 대한 욕구의 중요성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S시에 거주하는 노년기 여성 387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된 자료는 신뢰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변량분석(ANOVA), 회귀분석(Regression)을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여성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11.6점으로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6점으로 자아존중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여성의 신체 만족도는 가구형태, 종교, 교육수준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상태, 수입, 인지되는 자신의 경제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배우자 유무, 가구형태, 종교, 교육수준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상태, 수입, 인지되는 경제상태, 신체 만족도와는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연령과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노년기 여성의 신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건강상태, 수입, 배우자유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영향력은 총 22%의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신체 만족도, 인지되는 자신의 경제상태, 연령, 가구형태, 종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영향력은 총 30%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노인층 옥외활동의 질적 GIS를 활용한 근린환경 특성의 해석 - 서울시 저소득 노인밀집지역 무수골을 대상으로 - (Interpretive Approaches to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Using Qualitative GIS of the Elderly's Outdoor Activities - Focused on the Musugol, a Low-Income Elderly Concentrated Area in Seoul -)

  • 윤예화;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18
    • /
    • 2022
  • 선행연구에 따르면 옥외활동은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일상생활이 도보권 내 근린환경과 밀접해지는 가운데,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적 노화'와 '고령친화'는 근린환경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옥외활동 수준과 그 인식에 좌우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저소득 노인밀집지구의 사례에서 노인의 옥외활동이 근린환경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옥외활동의 촉진·억제요인이 작용하는 맥락을 시간적·공간적 여건 및 개인적·사회적 여건에 따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접근방식인 관찰조사와 인지지도 및 심층 인터뷰를 혼합함으로써 질적 GIS 정보를 다각적으로 해석해보았다. 먼저 행태관찰조사를 통해 옥외활동이 이루어지는 주요공간의 활동패턴과 이용자별, 시간대별 특성을 맵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거주 노인의 인지지도를 수집하고 주요 외부공간별 근린환경에 대한 인식과 활동목적 등을 인터뷰하여 옥외활동이 이루어지는 상호맥락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시야가 개방'된 쾌적한 공간으로 향하는 '집 바로 앞 골목'의 접근성이나 인지성이 높을 경우 나가고자 하는 욕구가 보다 원활하게 실현되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층에게 '익숙함'이란 것이 매우 중요한 가운데, 공간에 대한 인지성과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심리적 경계를 허물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적 교류와 갈등관계는 노인층의 공간 점유양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65세부터 85세 여성의 뇌 구조 부피 변화 조사 (Investigating Volumetric changes of Brain Structure in Women Aged 65 to 85 Years Old)

  • 김용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47-956
    • /
    • 2020
  • 인간의 신체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구조 및 기능이 저하되어 다양한 질병에 취약해지게 된다. 특히 뇌구조의 변화는 혈관 및 대사성 뇌 질환과 같은 질병에 대한 면역 체계가 취약해지고 신경정신질환에 쉽게 노출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뇌 구조를 비침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65세에서 85세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뇌 부피, 회백질, 백질, 피질하부 영역의 부피가 노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 하는지 패턴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로 피질하부영역에서 선형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변화 패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 구조 영역의 노화로 인한 변화가 노년기 신경정신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노년기 뇌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의 구강보건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elf-Efficacy among the Elderly)

  • 노은미;전은숙;고수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7-175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보건행동에 따른 일반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관련성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6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응답을 하지 않거나 답변이 불성실한 73명을 제외한 427명(회수율 85.4%)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동은 나이가 적을수록, 직업이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이혼을 한 경우에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은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한 달 용돈이 많은 경우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구강보건행동을 잘 실천하는 군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보통인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구강보건행동과 관련성의 강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beta}=0.184$)과 가장 연관성이 높았고, 다음은 사회적 자기효능감(${\beta}=0.162$), 신체적 자기효능감(${\beta}=0.101$)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구강보건행동은 자기 효능감과 관련성이 있으며, 구강건강이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요소인 자기효능감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명백히 입증한 결과로서 더 이상 소홀히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구강건강저하가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지는 않지만 구강건강장애가 끊임없이 만성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타 만성질환과 같이 발생되기 이전에 예방관리를 통해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해서도 노년기 구강건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율동적 운동에 따른 여성 노인의 체구성 및 노화관련 호르몬 변화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Aging-related Hormones by Rhythmic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 차광석;성동준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933-946
    • /
    • 2010
  • 이 연구는 노인 여성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이 체구성과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C시 노인복지관에서 60세 이상 노인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주 동안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율동적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체중(t=3.125, p=.006), 신체질량지수(t=3.225, p=0.004), 체지방량(t=3.782, p=0.001), 그리고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t=3.867, p=0.00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제지방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율동적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성장호르몬(t=-2.221, p=0.039), 소마토메딘-C (t=-9.186, p=0.000)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하였지만 DHEA-S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이 노인 여성의 체구성 조절과 일부 노화관련 호르몬 변화에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ZIGTECHnology" Apparel for Body Shape Renovation of New Senior Life Generatio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57-16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따른 노년 여성 체형을 보정해주고 체형변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보정용 ZIGTECHnology 의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척추의 만곡 등 노화 및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어깨, 등, 허리의 굽어짐 등의 증상별 체형을 분석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체형의 변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움직임이 용이한 노년 여성용 보정 의복을 개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ZIGTECHnology 의복 디자인 1, 2, 3에 대한 착의 평가 결과, 기능성에서는 디자인 1이 등각도를 3.17° 정도 완화시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맞음새 등을 고려하였을 때 디자인 3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년 여성의 의복에서는 신체적 단점을 보완해주는 의복의 필요성이 증대되므로 지속적인 체형완화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노인의 신체 변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Lived Experience of the Change of the Body in Young-Old Adults)

  • 이수진;이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4-44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노인이 경험하는 신체변화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시 65세-74세 노인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초기노인이 체험하는 신체변화의 본질적인 주제로 '나이듦에 대한 연민', '타인의 모습 속에 투영된 나', '붙잡아두고 싶은 세월의 흐름', '외모에 우선하는 웰빙'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급격한 신체변화가 나타나면서 변화된 몸에 대해 아쉬워하고, 이러한 변화를 타인에게서도 발견하게 되면서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참여자들은 세월의 흔적을 지우고 싶어하지만 나이 들어 변한 신체 변화를 받아들이고 무엇보다 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건강한 몸을 위해 노력한다. 이는 초기노인의 신체변화에 대해 좀 더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과 인지기능, ADL, IADL, 및 심리적 변인의 차이 (Differences in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DL, IAD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 최재원;김상범;강성구;유하나;이경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86-800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경기 소재 65세 이상 노인 463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요인과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심리적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유무에 따라 체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심리적 변인인 우울과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빈도에 따라 체력, 인지기능, ADL, IADL, 우울 및 삶의 질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시간에 따라 체력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력과 인지기능, ADL, IADL, 우울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와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신체활동을 포함한 체계적인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의 소외감과 신체적 노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lienation and Physical Aging in the Old People)

  • 김미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4-78
    • /
    • 1987
  • This study is attempt to submit a basic material to help the efficient nursing management which supports and to understand the alienation which they percieve social-psychologically and physical aging bringing about the phf·sical powerlessness, to understand the old people in hospitals and in community and should build up their health. The data collection of the study which has been done on Sept. 7 to Sept. 20, 1986 is objected to 300 people of 65 years old of age or more of male and female who are staying at hom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each age group of old people(p= .0008), family living together concreteness (p=.0000), the level of education (p=.0020), how much they are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y (p=.0001), whether they have mate or not (p=.0000), whether they have religion or not (p=.0000), the level of alienation showed difference statistically. Also, according to sex (p=.4315), whether they have income or not (p=.1197), the level of aliena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statistically. 2. According to each age group of old people (p=.0000), family living together concreteness (p=.0060), the level of education (p=.0000), sex (p=.0000), whether they have mate or not (p=.0000), whether they have religion or not (p=.0067), whether they have income or not (p=.0000), the level of physical aging showed difference statistically. Also, according to how much they are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y, the level of physical aging did not show any difference statistically (p=4879). 3. The level of alienation and physical aging in old people had positive correlation (r=.5436, p<.001). From the above result, the level of social, psychological alienation and physical aging showed high for the old who had no mate, no religion, low in their educational level, living separately' with the family and for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much in the leisure activities, The old people who feel the social, psychological alienation can expedite the physical aging and physical aging can be result from social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alienation.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aging of the old people in the community with these weak points, we should provide them with physical and emotional, psycho-logical support and care in the basis of understanding in socializ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 of the physical functional change.

  • PDF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 기반 보행 단계 분류 방법 (A Fuzzy Min-Max Neural Network(FMMNN) Based Gait Phas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Electromyography(EMG) Signal)

  • 이태엽;이상완;장효영;김헌희;정진우;변증남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41-847
    • /
    • 2007
  • 최근 삶의 수준의 향상과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늘어나는 노인 인구에 비례하여 신체적 노화로 거동이 어려운 노인의 수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많은 노인 인구가 거동이 불편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보행 시 적절한 힘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같은 보행 보조 장치를 개발함에 있어 보행자의 보행 패턴이 고려된다면 보행자의 걸음걸이에 맞춰 자연스럽게 힘을 보조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보행 단계 분류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하지 근전도 신호를 이용해 보행 단계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근전도 신호는 근육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아주 작은 전기적인 신호이다. 근전도 신호는 작은 잡음에도 민감하며, 전극을 부착하는 근육의 위치에 따라서도 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근전도 신호의 획득 및 처리 방법이 중요하다. 위를 위해 피실험자 별 근육의 위치와 보행 속도를 달리하여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로부터 여러 특징 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적응성이 강하고 시간에 따라 변하는 근전도 신호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으며 각 집합(class)의 비선형 분리가 가능한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Fuzzy Min-Max Neural Network: FMMNN)을 이용해 보행 단계를 분류해 본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 보행자, 보행속도, 근전도 측정을 위한 근육의 위치가 보행 패턴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