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종기재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4초

화살나무속(노박덩굴과)의 신종: 백두산회나무(Euonymus baekdusanensis M. Kim) (New species of Euonymus (Celastraceae): E. baekdusanensis M. Kim)

  • 황용;소순구;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8-170
    • /
    • 2013
  • 백두산에서 화살나무속의 신종인 백두산회나무(Euonymus baekdusanensis M. Kim)를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백두산회나무는 4수성 꽃구조를 가지고 4개로 각이 진 삭과를 가지며 사마귀 같은 혹이 가지와 소지에 있어 회목나무(E. verrucosus Scopoli)와 유사하다. 그러나 백두산회나무는 커다란 장타원형의 잎(11-13 cm)을 가지고 엽병이 뚜렷하며(6-8 mm) 과실이 대형(12-15 mm)인 반면에, 회목나무는 작은 도란형의 잎(6-7 cm)을 가지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1-2 mm) 과실이 소형(6-8 mm)인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팥꽃나무속(팥꽃나무과)의 신종: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 (A new species of Daphne (Thymelaeaceae): D. jejudoensis M. Kim)

  • 이정심;이강협;소순구;최창학;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4-98
    • /
    • 2013
  • 제주도 선흘에서 팥꽃나무속의 신종인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제주백서향은 꽃이 백색이고 잎은 상록성이며 긴 꽃받침 통을 가져 백서향(D. kiusiana)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주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없고 장타원형(점첨두) 잎을 가지며 제주도의 중산간지역에서 자라는 반면에, 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있고 도피침형(급첨두) 잎을 가지며 거제도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한국산 해양 완보류의 분류학적 연구 I. Batillipes 속 (이완보 강: Batillipedidae 과) (Taxonomic Study of Marine Tardigrades from Korea I. Genus Batillipes (Heterotardigrada: Batillipediae))

  • 노현수;민봉희;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107-118
    • /
    • 1999
  • 1995년 2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한국 해안의 조간대와 조하대의 모래틈이나 부식질틈에서 채집된 Batillipes 속 해양완보류를 조사한 결과, 29개 지점에서 출현한 8종을 동정.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1종(B. rotundiculus n. sp.)은 신종, 5종(B. pennaki Marcus, B. similis Schulz, B. tridentatus Pollock, B. crassipes Tchesunov and Mokievsky, B. philippinensis Chang and Rho)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신종을 기재하였고, 5종의 한국 미기록종에 대하여는 삽화와 함께 간략히 고찰하였으며, 한국산 Batillipes 속에 대한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PDF

하늘지기속(사초과)의 신종: 물하늘지기(Fimbristylis drizae J. Kim & M. Kim) (A new species of Fimbristylis (Cyperaceae): F. drizae J. Kim & M. Kim)

  • 김종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11
    • /
    • 2015
  • 사초과의 하늘지기속 신종인 물하늘지기(Fimbristylis drizae J. Kim & M. Kim)를 전라북도 정읍시 수청저수지에서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물하늘지기는 줄기는 5각형이고 1-2개의 기부 경생엽이 엽신이 없는 엽초만 있으며 화서는 소수화서를 가진 점에서 검정하늘지기(F. diphylloides Makino)와 유사하다. 그러나 물하늘지기는 주두가 2개이고, 소수가 타원형이며, 수술이 1개(드물게 2개)이고, 인편이 황갈색이며 저수지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검정하늘지기는 주두가 2개 또는 3개이고, 소수가 난형이며, 수술이 2개이고, 인편이 흑갈색이며 임도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제비꽃속(제비꽃과)의 신종 : 방울제비꽃 (Viola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 (A new species of Viola (Violaceae): V.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

  • 이정심;황용;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4-87
    • /
    • 2014
  • 강원도 석병산에서 제비꽃속의 신종인 방울제비꽃(Viola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방울제비꽃은 무경종이고 꽃이 흰색이며 엽신과 엽병에 털이 있어 잔털제비꽃과 유사하다. 그러나 방울제비꽃은 잎이 장란형이고 엽저는 얕은 심장저이며 화경이 짧고 꽃이 많이 달리며 지하경은 L형이고 열매는 보라색이며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반면에, 잔털제비꽃은 잎이 심장형이고 엽저는 깊은 심장저이며 화경이 길고 꽃이 적게 달리며 지하경은 무정형이고 열매는 녹색이며 주로 저지대에서 자라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한국산 감꼭지나방과, Batrachedridae, Blastodacnidae, 창날개뿔나방과 (나비목)의 분류학적 정리 (A Preliminary List of Srathmopodiae, Batrachedridae, Blastodacnidae and Cosmopterigidae (Lepioptera: Gelechiidae) of Korean Peninsula)

  • ;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200
    • /
    • 1994
  • 최근 발표된 (박 1994) 창날개뿔나방과와 속먹이뿔나방과에 이어 한국산 감꼭지나방과 7종(2미기록종), Batrachedridae 1종(신종기) Blastodacnidae 3종(1미록기종)을 정리하였으며, 창날개뿔나방과, 2종을 신종으로 기재함과동시에 2미기록종을 정리발표한다. 기발표된 종들에 대해서는 전체목록을 위해 유충의 기주에 관한 제정보를 추가하여 삽입하였다. 처음 소개되는 상기 2개과의 우리말 이름은 아직 동서학자들간의 분류체계에 관한 이견이 크므로 새로운 분류체계가 정립되는데도 추후에 명명키로한다.

  • PDF

필리핀의 루손섬 북부에서 채칩된 육서 등각류의 2신종 Burmoniscus ifugaoensis와 B. taitii(갑각아문, 등각목, 남방쥐며느리과) (Two New Terrestrial Isopoda (Crustacea, Isopoda, Philosciidae) from Northern Luzon, the Philippines of Burmoniscus)

  • Kwon, Do-He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43-149
    • /
    • 2002
  • 필리핀의 루손섬 북부의 산악지대인 바나우에와 인근에서 채집된 Burmoniscus Collinge, 1914 속의 2신종을 B. ifugaoensis와 B. taitii로 명명하고 기재하였다. B. ifugaoensis는 B. novabritannicus(Vandel, 1973)나 B. yunnanensis Kwon and Taiti, 1993과 형태가 유사하나, 수컷의 제1복지 외지의 말단부가 훨씬 더 신장되었고, 내지의 말단부에 독특한 강모열을 갖는 점에서 구분된다. B. taitii는 B. punctatus Taiti, Ferrara and Kwon, 1992과 수컷의 제1복지 내지의 형태가 유사하지만 수컷의 독특한 반문 머리의 형태, 수컷의 제1복지 외지의 짧은 말단부로 쉽게 식별된다.

한국산 깔따구과(파리목)에 관한 연구 3. 한국미기록 2종 및 3신종의 기재 (Studies on Korean Chironomidae (Diptera) Ⅲ. Description of Two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and Three New Species)

  • 이한일;김명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2호
    • /
    • pp.13-24
    • /
    • 1988
  • 충남 아산군을 중심으로 깔따구 성충을 채집 조사한 결과 총 15속 21종이 동정되었는데 그중에서 한국 미기록 2종과 3종을 확인하였다. 한국 미기록 종은 Polypedilum masudai(국명: 마쓰다무늬깔따구, 신칭)와 Pentapedilum un-cinatum(국명: 갈고리오각깔따구, 신칭)이고 3신종을 Pentapedilum pseudo-tritum(국명: 옆구리띠오각깔따구), cladotanytarsus sinjongensis(국명: 신정눈장부깔따구) 및 Rheotanytarsus dogoensis(국명 : 도고유장부깔따구)로 명명한다. 이로써, 한국산 깔따구류는 총 22속 36종이 된다.

  • PDF

남중국해산 홍어과 (연골어강, 홍어과) 어류 신종, Okamejei mengae sp. nov. (A New Species of Skate (Chondrichthyes : Rajidae), Okamejei mengae from the South China Sea)

  • 정충훈;中坊徹次;오한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5
    • /
    • 2007
  • 중국 상해수산대학에 소장된 어류 표본 중에 남중국해에서 채집된 1개체의 표본(295 mm TL)을 근거로 하여 홍어속(Okamejei) 어류의 신종을 기재하였다. 홍어속 어류는 북서태평양에 6종, 인도양에 3종이 서식하여 전세계에 9종이 유효하다. 호주 해역에는 홍어속의 미기재종 1종과 근연종으로 살홍어속(Dipturus)으로 소속이 변경된 3종이 서식한다. Okamejei mengae sp. nov.는 문연골 길이가 두장의 54.3%로 주둥이가 짧고, 꼬리부가 전장의 48.5%로 길고, 미극이 3열, 신경두개의 상생체공의 전단부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점 등으로 홍어속에 포함된다. 이 종은 복추골이 23개로서 적고, 등지느러미 앞까지의 미추골이 50개로 많으며, 가슴지느러미의 복사연골이 96개로 많은 특징 등으로 동일속의 9종 및 근연종 등 13종과 명확히 구별된다. 또한 뾰족하게 돌출된 주둥이, 양안간격이 6.7배로 긴 두장, 넓은 꼬리, 좁은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의 거리, 짧은 제2등지느러미 뒤의 길이, 체반 등쪽에 작고 짙은 갈색 반점이 전체적으로 분포하지만 큰 반점은 없고, 배쪽의 로렌치니 병상 기관은 가슴지느러미의 후담기연골(metapterygium)의 뒤까지 분포하며, 견갑오훼연골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신종과 전 세계 홍어속 및 근연종 등 13종과의 특징 비교표를 작성하였으며, 북서태평양에 서식하는 7종에 대한 새로운 분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국내 목본식물의 학명 (Overlooked and invalidly published names of Korean woody plants)

  • 장진성;김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3-371
    • /
    • 2002
  • 선만실용임업편람(鮮滿實用林業便覽) 및 Mori의 한선식물명휘(韓鮮植物名彙)에 실린 Nakai의 많은 나명들이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이름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식물도감에서 지속적으로 잘못 사용하고 있다. 지난 30여년간 일부 국내학자들에 의한 새로운 조합명도 기본명이 발표된 문헌과 저자, 발표년도 등에 대한 기재가 없어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학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종기재시 요구되는 기재와 표징뿐 아니라 기준표본에 대한 언급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거나 혹은 문헌상으로만 기준표본이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기준 표본을 보관하지 않은 식물명은 모두 나명이거나 혹은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학명들이다. 이러한 학명들은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이름들이다. 목본식물 중 이전의 문헌에서 간과하기 쉬운 비합명을 정리한 본 연구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초본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가 시도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