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장세뇨관세포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생쥐의 신장에 미치는 염화 메틸수은 독성에 대한 홍삼추출물의 항독성적 영향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Antitoxie Bgect of Red Ginseng Extract against Toxicity of Methylmercury Chloride in Mouse Kidney)

  • 정희원;이춘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9-247
    • /
    • 1987
  • 생쥐 신장의 근위세뇨관과 원위세뇨관 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염화 메틸수은의 독성에 대한 홍삼유출물의 첨독성적 영향을 전자현징경적으로 연구하였다. 염화 메틸수은 처리군의 근위세뇨관 세포에서는 대조군에서 보다 철세 융모가 다소 축소되고 불규칙한 배열을 하였다. Brush border의 인접 부위에서는 작은 경계들이 나타나고 세포질 중앙 부위에서는 치밀체를 함유한 큰 육포들이 관색되었다. Mitochondria는 상당히 팽대되고 기양막은 부분적으로 비후되었으며 다수의 ITsosome이 나타났다. 염화 메틸수은 처리군의 원위세뇨관 세롱에서는 불규칙한 세포 표면, 양사된 세포, 그리고 다수의 ribosome과 소수의 지방사이 나타났으며 mitochondria 는 팽대되고 기고막은 부분적으로 비후되었다. 염화 메틸수은-홍삼추출물 병행 처리군의 근위세뇨관 세포에서는 염화 메틸수은 처리군에서 보다 mitochondria의 팽대 정도가 감소되었으며 육포의 크기와 수도 상당히 감소되었다. 염화 메틸수은-홍모적출물 병행 처리군의 원위세뇨관 세롱에서는 세포 표면이 어느정도 규칙적이고 mitochondria의 정해와 기저막의 비후 정도가 감소되어 정상 세포와 거의 유사하였다.

  • PDF

Testosterone이 토끼 근위 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to Testosterone on the Growth of Primary Rabbit Proximal Tubule Cells in Serum-Free Medium)

  • 추민호;박승준;정주호;정지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5-93
    • /
    • 1995
  • Testosterone이 serum-free medium에서 배양한 토끼의 신장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세포성장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토끼의 신장 근위세뇨관 상피세포는 testosterone 1 nM의 농도에서 유의한 세포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testosterone 10 nM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Testosterone은 serum-free medium에서 성장촉진인자의 하나인 hydrocortisone을 growth supplement로 넣어준 serum-free medium에서 토끼 신장의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었다. 3. Testosterone은 hydrocortisone을 growth supplement로 넣어준 serum-free medium에서 토끼 신장의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었다. 4. Testosterone은 Northern blot analysis에 의하여 확인한 토끼 신장의 근위 세뇨관 상피세포의 ${\beta}-actin$ mRNA level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serum-free 그리고 hormonally defined media에서 testosterone이 토끼의 신장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 및 기능에 대하여 촉진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cellular mecrofilament의 중요한 구성단백의 하나로 밝혀진 ${\beta}-actin$의 합성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_2O_2$에 노출된 신장 근위 세뇨관 세포에서의 세포 사망 및 DNA 손상에 대한 단삼의 효과 (Effect of Salviae Radix on Cell Death and DNA Damage i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Exposed to $H_2O_2$)

  • Sung-Dae, Kim;Ji-Cheon, Jeo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30
    • /
    • 2001
  • 목적 : 이전 연구에서 단삼 추출액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어 단삼 추출액이 신장세뇨관 세포에서 oxidant에 의한 세포사망 및 DNA 손상을 방지하는 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효과가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에 기인하는 지를 시험하였다. 방법 :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 유래 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사망은 frypan blue exclusion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DNA손상 정도는 double stranded DNA의 파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Oxidant 약물 모델로는 $H_2O_2$를 사용하였다. 결과 : $H_2O_2$는 적용시 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사망을 유도하였다. 단삼 추출액은 0.05% 농도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사망 및 DNA 손상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방지효과는 $H_2O_2$ 제거 효소인 catalase와 철 착염제인 deferoxamine에 의해서도 나타났다. 그러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DPPD는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이나 DNA손상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H_2O_2$는 세포내 ATP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감소는 poly (ADP-ribose) polymerase억제제인 3-aminobenzamide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단삼 추출액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3-aminobenzamide는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H_2O_2$는 지질의 과산화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단삼 추출액과 DPPD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OK 세포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사망과 DNA 손상에는 지질의 과산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으며, 단삼 추출액의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과 DNA 손상 방지 효과는 항산화 작용이 아닌 다른 기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eta}-Estradiol$이 토끼 근위 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Estradiol$ on the Growth of Primary Rabbit Proximal Tubule Cells in Serum-free Medium)

  • 박상호;정주호;고계창;정지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83
    • /
    • 1993
  • Steroid hormone의 하나인 ${\beta}-estradiol$이 serum-free medium에서 배양한 토끼의 신장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세포성장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erum-free medium에서 토끼의 신장 근위세뇨관 상피세포는 ${\beta}-estradiol$ 1 nM의 농도에서 유의한 세포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beta}-estradiol$ 10 nM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beta}-Estradiol$은 serum-free medium에서 성장촉진인자의 하나인 hydrocortisone을 뺀 조건하에서 세포 성장을 증가시키었다. 3. ${\beta}-Estradiol$은 hydrocortisone을 growth supplement로 넣어준 serum-free medium에서 토끼 신장의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었다. 4. ${\beta}-Estradiol$은 Northern blot analysis에 의하여 확인한 alpha I (IV) collagen mRNA level에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beta}-actin$mRNA level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serum-free 그리고 hormonally defined media에서 ${\beta}-estradiol이$ 토끼의 신장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성장 및 기능에 대하여 촉진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cellular microfilament의 중요한 구성단백의 하나로 밝혀진 ${\beta}-actin$의 합성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etal 신장 세포 이식을 통한 신장 구조의 형성

  • 김상수;박흥재;한정호;최차용;김병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307-30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신장세포를 이용하여 신장을 재생하는 조직공학적인 신장 재생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신장세포를 생분해성 고분자인 PGA 스캐폴드에 부착시켜 루이스 래트의 신장에 이식하였고, 4주 후에 사구체와 세뇨관 유사 구조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형성된 신장조직이 이식된 세포로부터 재생된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실험이 필요하다.

  • PDF

Renal epithelial cells에서 oxidant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황금(黃芩)의 영향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Oxidant-Induced Apoptosis in Renal Epithelial Cells)

  • 이동준;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5-85
    • /
    • 2004
  • 목적 : 黃芩(황금)과 黃芩(황금)의 주요 flavonoid 성분인 baicalein이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에서 산화제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 세포를 유기산화제인 t-butylhydroperoxide (tBHP)에 노출시켜 apoptosis를 일으킨 후 관련된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tBHP는 농도에 의존하여 apoptosis를 유발시켰는데, 이러한 효과는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지 되었다. tBHP에 의한 OK 세포사는 항산화제인 Trolox와 N-acetylcysteine에 의해 방지 되었다. tBHP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subfamily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를 활성화시켰다. ERK 억제제인 PD98059와 U0126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ERK 활성화는 U0126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철착염제인 deferoxamine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과 ERK 활성화를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은 casopase 억제제인 BOD-U-FMK와 zDEVD-FMK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黃芩(황금)은 산화제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는데, 이는 kinase 억제, 항산화제 역할 및 철착염제의 작용에 기인하지 않았다. 黃芩(황금)의 이러한 효과는 산화제에 의관 신부전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사람 혈청 알부민에 대한 단서포군 항체의 제조와 특성 연구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onoclonal Antibody for Human Serum Albumin)

  • 태건식;안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3-244
    • /
    • 2000
  • Serum albumin은 혈청 단백질 중 50-60%를 차지한다. 알부민은 순환계 내에서 삼투압을 유지시켜 세포내외의 체액을 유지 및 지용성 물질치 이동에 관여한다. 신사구체와 기저막의 투과성이 증가하거나 세뇨관의 흡수감소 등으로 단백질의 요배설량이 하루에 150mmg 이상되는 단백뇨는 신장내의 병변이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러한 단백뇨는 크게 사구체성 단백뇨, 세뇨관성 단백뇨, 혼합성 단백뇨로 나눌수 있는데 이중 사구체 기저막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사구체성 단백뇨는 알부민과 같은 고분자량의 단백질이 소변 내로 배설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알부민이 정상치 이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는 것을 'microalbuminuria'라고 하며 당뇨병으로 인한 신장병변을 예견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Microalbuminuria는 방사 면역확산법, 방사성 면역측정법, 면역혼탁측정법, 비탁측정법, 효소결합면역측정법(ELISA) 등으로 검출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안전하면서도 민감도가 높고 측정이 용이한 방법인 ELISA를 이용한 면역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면역특이성이 떨어지는 다세포군 항체를 사용한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세포융합기술을 이용한 단세포군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개발하였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세포융합기술을 도입하여 개발된 인간 혈청 알부민에 대한 단세포군항체는 glycohemoglobin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와 더불어 당뇨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대한 norepinephrine 과 angiotensin II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norepinephrine and angiotensin II on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 박수현;고현주;한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25-53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norepinephrine(NE)과 angiotensin II(ANG II)는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함으로써 혈압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상호관계에 대해선 연구보고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신장 근위세뇨관세포를 이용한 $Na^+$ uptake 실험을 통하여 NE이 어떠한 수용체를 통하여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작용에 있어서 NE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NE(>$10^{-9}M$)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10^{-9}M$ NE : $27{\pm}4%$ increase vs. Control;p < 0.05). $\alpha$ 길항제(phentolamine, $10^{-10}M$)는 NE($10^{-9}M$)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 (phentolamine+NE : $29{\pm}5%$ inhibition vs. NE ; p〈 0.05), ${\alpha}_1$ (pra-zosin, $10^{-10}M$) 및 ${\alpha}_2$ 길항제(yohimb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beta}$ 길항제(propra-nolol, $10^{-10}M$)도 역시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propranolol+NE : $24{\pm}6%$ inhibition vs. NE ; p< 0.05), ${\beta}_1$(atenolol, $10^{-10}M$) 및 ${\beta}_2$ 길항제(butoxam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 증가작용은 ${\alpha}$(${\alpha}_1$${\alpha}_2$ )와 ${\beta}$(${\beta}_1$${\beta}_2$) 수용체 모두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ANG II($10^{-11}M$) 또는 NE(${\alpha}_1$, ${\alpha}_2$, ${\beta}_1$, ${\beta}_2$ 작동제) 단독처리군의 $Na^+$ uptake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ANG II : $23{\pm}9%$ increase vs. Control; p < 0.05), 병합처리시 상승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lpha}$ 또는 ${\beta}$ 길항제 처리시 NE 및 ANG II에 의해 유도되었던 $Na^+$ uptake 증가는 유의성 있게 차단되었다(phentolamine+NE+ANG II : $25{\pm}3%$ inhibition, propranolol+NE+ANG II : $24{\pm}6%$ inhibition vs. NE+ANG II, respectively ; p〈 0.05). 이 결과들은 $Na^+$ uptake에 있어서 ${\alpha}$(${\alpha}_1$${\alpha}_2$)와 ${\beta}$(${\beta}_1$${\beta}_2$) 수용체와 ANG II의 관련성을 시사해 준다. 결론적으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NE은 ${\alpha}_1$, ${\alpha}_2$, ${\beta}_1$${\beta}_2$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증가시켰으며 이들 수용체는 ANG II $Na^+$ uptake 증가작용에 관여하였다.

  • PDF

브라디키닌의 Phospholipase D 활성화기전

  • 박경협;정진호;정성현;정지창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74-27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토끼신장 근위세뇨관 일차배양세포에서 브라디키닌의 생리작용이 phospholipase D (PLD)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 보기위해 PLD 효소반응의 특이한 성질인 transphosphatidylation 반응의 생성물인 phosphatidylethanol (PEth) 의 세포내 양을 측정함으로 PLD 효소의 관련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phosphatidic acid (PA) 및 diacylglycerol (DAG) 의 생성을 살펴본 결과 PA가 DAG보다 먼저 생성되어 최고치 (30초)에 도달하였고 DAG는 1분이후부터 5분까지 서서히 생성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0.5에서 5%까지의 에탄올 존재하에 PA 및 PE소 생성량을 비교해본 결과 에탄올량이 증가함에 따라 PA는 감소하는 반민 PEth 의 생성은 계속 증가하였다. 한편 브라디키닌 농도 변화 실험에서는 브라디키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A 및 PEth 둘다 생성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토끼신장 근위세뇨관 세포막에 존재하는 브라디키닌수용체는 브라디키닌에 의해 activation 시 PLD를 직접적으로 활성화시켜 그들의 작용을 세포내로 전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LD 효소활성의 activator로 수용체효능 제외에 칼슘이온, protein kinase C (PKC) 등이 몇몇 다른 실험에 의해 밝혀져 있고, G protein 역시 PLD 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이 있음이 알려졌다. calcium ionophore 및 칼슘채널길항제인 verapamil을 이용한 실험에서 우리는 브라디키닌의 PLD 활성화는 칼슘이온에 의존적인 경로 및 비의존적인 경로가 같이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브라디키닌의 PLD 활성화기전이 PKC 의존적인지를 살펴보기위해 PKC activator(PMA) 및 inhibitor (staurosporine)를 이용한 실험에서 브라디키닌은 신장세포에서 PKC를 통하여 PLD를 활성화시킴으로 신호전달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수분해안되는 G protein 유도체인 GTPrS 및 G protein 활성물질 NaF, 백일해독소등을 이용한 실험에서 G protein 의 PLD 조절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한 IGF-I 분비 촉진작용에 있어서 인삼의 차단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Ginseng Saponin against High Glucose-Induced Secre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 in Primary Cultured Rabbit Proximal Tubule Cells)

  • 정호경;임슬기;박민정;배춘식;윤경철;한호재;박수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26-32
    • /
    • 2009
  • 인삼은 전통적으로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 역시 당뇨병성 신증의 발병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한 IGF-I 분비에 대한 ginsenoside의 차단 효과 및 이와 관련된 신호전달계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포도당에 의해 증가되었던 IGF-I분비 촉진 작용은 GTS, PD 및 PT 처리 시 차단되었으며, 세포 성장 작용 (세포 비대)에서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아울러 고포도당에 의한 cAMP 및 PKC 활성은 GTS 처리시 현저하게 차단되었으며 PD 및 PT 처리 시 역시 부분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에서 ginsenoside는 cAMP 및 PKC 활성 경로를 억제하여 고포도당에 의한 IGFs 분비 작용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