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생아복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신생아복 세탁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배냇저고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ashing and Satisfaction of Newborn Clothing - Focused on Innerwear -)

  • 노의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7-243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satisfaction with and washing of newborn clothing (especially the innerwear washing behaviors)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basic items among newborn clothing.The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ith children under 24 months old. Using an average of 6.7 innerwear items that were changed average 2.3 times a day with baby formula and breast milk representing the main contaminants. When washing clothes for a newborn, respondents were mainly concerned with: rinsing residual detergent, removing stains and contaminants, an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tems were washed by a laundry label to prevent clothes damage. A baby-friendly or environmentally-friendly detergent was used to wash before being worn after purchase was separated and washed in various washing courses of the washing machine every day, boiled, rinsed an average 3.6 times, and dried mainly in the sun. Environmentally friendly cotton (59.5%) and organic cotton (41.6%) products were mainly used; however, items were washed separately from regular laundry.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methods of washing. Consumers are concerned about washing because they think that washing affects a newborn's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s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on washing and establish regulations for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in newborn clothing and detergents.

신생아복의 사용 실태 및 만족도 연구 - 배냇저고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age and Satisfaction of Newborn Clothing - Focused on Baenaet Jeogori -)

  • 권상희;노의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2-32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customers' possession, usage, and satisfaction of newborn clothing, and analyzes their satisfaction with textiles of baenaet jeogori (the most basic Korean item of newborn clothing).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2 mothers with infants under 24 months old. The baenaet jeogori was the most commonly possessed item, followed by swaddling blanket, shirt and pants set, bodysuit, one-piece, and baenaet gown. About 52.6% of respondents used the swaddling blanket all day, 52% of respondents possessed 4-6 baenaet jeogories, and most respondents used the baenaet jeogori 4 weeks or more. Two most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of the baenaet jeogori were textiles and season suitabilit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unctionality.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baenaet jeogori; however, there are a few problems with difficulty in putting and taking off as well as textiles. Most baenaet jeogories chosen by respondents were made of cotton and 68.8% of them were made of eco-friendly textiles.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extiles when they are unsuitable for the season. Eco-friendly textiles were chosen for baby health and eco-friendliness, and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a baenaet jeogori made of eco-friendly textiles in general. The results show customers' high interest in textiles and the popularization of newborn clothing made of eco-friendly textiles. There was little interest in eco-friendly or safety certification marks despite the significant interest in the functionality and safety of textiles. Therefore, correct information on those certification marks is required.

신생아복 현황과 소비자 불만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rrent Newborn Clothing and Consumer Complaints)

  • 노의경;권상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8-142
    • /
    • 2018
  • This study explores newborn clothing with regard to clothing type, construction, textiles, design, size, and label placement. Related consumer complaints are also analyzed. Analysis of 50 newborn clothing items revealed six types of newborn clothing: baenaet jeogori, baenaet gown, bodysuit, one-piece, shirt and pants set, and pants. The baenaet jeogori was the most common type, and the most commonly used fasteners were ties and snap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commonly observed: front opening, long raglan sleeves, mitten cuffs, cotton fabric, white/ivory color, animal print, contrast hem, $appliqu{\acute{e}}$, and size 60. In-depth interviews of 12 mothers with children under 24 months revealed that the baenaet jeogori was the most unsatisfactory type; the shirt and pants set and bodysuit were preferred. Interviewees were dissatisfied with types of openings, expressing a preference for snaps and complaining about ties, too many snaps, metal snaps, and shoulder openings. Overly wide or narrow sleeves resulted in improper fit, and long sleeves made it difficult to dress the baby. Interviewees required diverse sleeve length options. They were dissatisfied with heavy fabric for hot and warm seasons, and with labels attached inside clothing or outside near the neckline. Mothers with particularly small or big babies complained about limited sizes. To improve current newborn clothing, additional items such as shirt and pants sets or individual pants, front opening clothing with few snaps, proper sleeve fit with diverse length options, lightweight fabric for hot and warm seasons, label placement that avoids skin irritation, and size segmentation are recommended.

유아복 브랜드 색채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Color Image of Baby's Wear Brands)

  • 최해주;김복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950-1962
    • /
    • 2008
  • 오늘날 상품뿐만 아니라 브랜드에 있어서 색채 이미지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유아복 브랜드의 색채 이미지를 분류하고, 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색채 이미지를 계획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유아복 브랜드의 색채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유아복 7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온라인 숍을 통해 상품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상품은 여름, 가을 두 계절 상품으로 이를 다시 남아, 여아, 신생아 3개 군으로 분류하여 브랜드별로 6개의 소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조사 설문지는 각 브랜드의 상품에서 색채만 추출한 컬러 팔레트 40장과 유아복에서 사용되어 추출된 이미지 형용사 어휘 20개로 작성된 설문지로 두 가지로 만들어졌다.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종 320장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되었으며, 통계는 SPSS 12.0 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아복 색채 이미지로 '활발함', '사랑스러움', '멋스러움', '깨끗함'의 네 가지가 추출되었다. 색상이 아니라 색채가 유아복 브랜드의 색채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더욱 중요하였다. 블랙과 화이트가 유아복임에도 많은 비중으로 사용되었다. 성별과 계절별 색채 이미지의 일치성이 유아복 브랜드 색채 이미지를 명확하게 하고 차별화하는데 중요하였다.

캥거루식 접촉이 신생아 집중치료실 미숙아의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ological Marker of Preterm Infa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이상복;신혜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8권2호
    • /
    • pp.59-6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angaroo Care (KC) on physiological marker of preterm infa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2007 to February 29, 2008. The participants were 26 people of experimental group and 27 people of control group. KC was applied three times per day, for a total ten times of 4 days to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the skin temperature on of preterm infants. The skin temperatur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Kangaroo care can be applied as a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eterm infant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신생아개심술의 외과적 경험 (Surgical Experience of Open Heart Surgery in Neonates)

  • 이용훈;조은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28-835
    • /
    • 1996
  • 1993년 1월 부터 1995년 4월까지 2년 4개 월동안 본 교실에서 시술한 신생 아개심술 총 27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남아가 16명. 여아가 11명이 었고 평균나이는 12.1일이며 생후 2일부터 30일까지였다. 체중은 평균 3.29kg이었고 최저 2.6kg에서 최고4.1 kg이었다. 심기형은 대혈관전위증이 11례, 대혈관전위증과와 대동맥축착증 및 심실중격 결손증을 동반한 기형이 1례, 총폐 정 맥환류이 상증이 5례, 총폐정 맥환류이상증이 동반된 단심실증(Double inlet right ventricle)이 I례, 심실중격결손증을 동반한 대동맥 차단중이 )례. 온전한 심실중격과 폐동맥 폐쇄증 및 폐동맥 판협 착 증이 각각 3례, 1례였고 대동맥궁차단증이 동반한Taussig-Binganomaly와 좌심형성부전증후군 이 각각 1례 씩 이 있다. 총 27명의 환아 중 20명(74.1%)에서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여 높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으며 가장 빈 발한 합병증은 지연흉골봉합이 필요하였던 심근 및 폐부종이었다 심폐기 이탈이 불가능하였던 )례를 제외한 24례중 13례(54.2%)에서 심근 및 폐 부종으로 흉골을 봉합하지 못하고 심중환자실로 나왔으며 4례는 지연흉골봉합 이 전에 저 박출증으로 사망\ulcorner였고 9례는 모두 술후 3일째 흉골봉합을 하고 모두 생존 하였다 두번째 빈발한 합병증으로는 급성신부전으로 10례(37%)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중 7례에서는 복 막투석으로 회복되 었다. 심한 저 박출증은 모두 7례(25.9%)에서 발생하였는데 3명은 심폐 기로 부터 이탈 이 불가능하였다. 그 외 합병증으로 발작성 상심실 빈맥증(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기 관지 폐이형성(bronchopulmondry dysplasia), 창상감염이 각각 1례씩 발생하였으나 극복되 었다. 모두 8명의 환아가 사망하여 29.6%의 수술사망률을 나타내었다. 사망원인은 저 박출증이 7례, 신부전이 3례았다. 심기형에 따른 수술사망은 대혈관전위증의 동맥전환술후 3례, 대동맥축착증이 동반된 대혈관 전위증의 1차 완전교정술에서 1례, 촐폐정 맥환류이상증을 동반한 단심 실증 환아에서 총폐 정 맥 환류이 상 증교정과 폐동맥교약술 후 1례, 대동맥궁차단증이 동반된 Taussig-Bing anomaly의 1차 완전교정술 후 1 례, 온전한 심실중격과 폐동맥 폐쇄증의 우심실유출로 성 형술 후 1례, 좌심 형 성 부전증후군의 Norwood operation 후 1례 였다. 저자들의 신생아 개심술에 대한 초기경험으로서 높은 수술사망율과 합병증 발생율을 나타내었고 특 히 신생 아의 복잡심기형에서는 사망율이 매우 높았다.

  • PDF

대동맥교약증 환아의 해부학적 형태, 동반심기형, 연령, 수술방법등이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natomy, Associated Anomalies, Age, and Surgical Methods on the Surgical Results of Aortic Coarctation)

  • 이정렬;김혜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63-372
    • /
    • 1997
  • 본 연구는 1986년 6월 3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144례의 대동맥 교약증 환아를 대상으로, 술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환아의 평균 연령은 15.73+32.43(범 위 0.1-191.0, 중앙값=3.3)개월이 었고, 이중 11)례(78.5%)의 환아는 영아, 25례(17.4%)는 신생아였다. 환아를 대동맥궁 협 착 부위와 동반 심기형에 따라(제 1형:국소 협착, 제2형:대동맥 헙부 협착, 제3형 :대동맥 협부 및 횡대동맥궁 협착, h:심실중격결손증 동반, B:기타 복 잡 심기 형 동반) 9가지로 분류한 결과, 1, IA, IB, I, IIA, IIB, III, IIIA, IIIB형이 각각 25, 9, 6, 24, 35, 15, 4, 19, 7례 였다. 수술방법은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subclavian-flap coarctoplasty, SFC: 60례), 절단 및 문합술(resection and anastomo sis, R&A: 44례), 확장된 대동맥성형술(extended aortoplasty, Ex-Ao: 26 례), 덮개포편술(onlay patch, Onlay: 14례)이 사용되었다. 총수술 사망률은 16.0%(23/144)였고, 수술 사망률을 높이는 인자로 협착부위(I, II, III형) 동반 심기형(0, A, B), 환아의 연령, 수술방법, 단계수술 \ulcorner부 등이 분석되었는데 이중 횡대동맥궁협착을 동반하는 III형(I형 사망률=2.5%(1/40), II형=17.6% (13/74), III형=30%(9/30); p(0.01), B형(0형 사망률=3.8%(2/53), A형 =15.9%(10/63), B형 =39.3%(11/28); p(0.01) 등이 의미있는 위험 인자였다. 생존환아 121례는 술후 평균 29.1+28.8(범위 0-129.2)개월 외래 추 적되 었으며 이중 술후 협착을 보였던 경우는 18례로 14.9%의 헙착률은 보였다. 생존환자중 77례의 환자 (I형 20명. ll형 42명, 111형 15명)에서 술전, 술후 3개월 이내, 술후 6개월이후의 심에코도상의 대동맥 각 부위 크기에 관한 자료의 입수가 가능하였으며 이를토대로무명동맥 직근위부의 상행대동맥 직경에 대 한 대동맥협부 직경의 비율(대동맥협부지수)및 경동맥부위의 횡대동맥 직경비율(횡대동맥지수)을구하 여 형태 별로 술전, 수술 직후 6개월이상 경과후의 대동맥 크기 변화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제 I, II, III형 모두에서 술전에 비하여 술후 평균 대동맥협부지수의 의미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며(p<0.01),제 III형에서는 횡대동맥지수의 의미있는 증가도 관찰되었다(p<0.01). 재헙착으로 진단된 I, II형의 수술직후 대 동맥협부지수와 111형의 횡대동맥 지수는 비협착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작았는데 이는 아마도수술 당시 협 착 부위의 완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어린 연령(3개월 이하), 3개월이하에 시행한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이 의미있는 재협착의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결론 적으로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대동맥협부지수, 횡대동맥 지수 등이 개개 대동맥교약 환아의 해부학 적,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교약의 해부학적 특성, 동반 심기 형, 연령, 수술방법 등이 수술사망 및 재협착에 영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 PDF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임상적 분류의 제안 (A Suggested New Clinical Classification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 박문호;손수민;최병규;김여향;이희정;최원정;김애숙;황진복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39-47
    • /
    • 2006
  • 목 적: 임상적, 방사선과적인 소견을 근거로 소아장중첩증의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진단된 88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류를 위해 환자의 나이, 장중첩증의 위치, 증상의 유무, 치료 방법,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의 유무, 초음파 소견 이상의 6가지 요소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1) 장중첩증의 발병 연령에 따라 신생아형 1예(1.1%)와 소아형 87예(98.9%)로 나눌 수 있었다. 2) 소아형은 발생 위치에 따라 소장형 14예(16.1%)와 소장-대장형 73예(83.9%)로 분류되었다. 소장형은 증상이 있는 군 12예와 증상이 없는 군 2예로, 증상이 있는 군은 일과성 장중첩증 8예(66.7%), 수술군 3예(25.0%), 관장 정복 1예(8.3%)였으며, 무증상 군은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우연히 관찰된 2예였다. 소장-대장형은 수술군 19예(26.0%)와 비수술군 54예(74.0%)로 분류되었다. 3)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 8예를 수술을 받은 소장형 6예, 정복된 소장-대장형 54예, 수술을 받은 소장-대장형 19예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연령은 $38.0{\pm}22.9$개월로 다른 형태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고(p=0.003), 혈변은 전체 8예 중 1예(12.5%)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22), 기면은 모든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순 복부 엑스선 사진상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에서 복부 종물(p=0.015)과 기계적 장폐쇄증(p=0.001)은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며, 초음파상에서 종물의 크기는 일과성 소장형에서 $20.8{\pm}2.7mm$로 의미 있게 작은 크기를 보였다(p=0.0001). 4)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 유무와 치료 방법 및 동반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초음파상 과녁 모양인 경우 11예 중 7예(63.6%)가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정복이 가능하였으며 4예 중 3예는 소장-대장형이었으나, 1예는 회장-회장-대장형이었다. 도넛 모양인 23예 중 저에코성 외곽 테두리의 두께가 8.9 mm 이상인 8예(34.8%) 모두에서 수술을 요하였고, 8.5 mm 미만인 15예(65.2%) 모두는 정복이 가능하였다. 결 론: 소아 장중첩증은 영상학적인 소견과 임상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