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 세포

Search Result 1,68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imulation of Action Potential on The Hierachical Structured Neuron with Synapse Weight Transition (시냅스 웨이트 변화에 따른 계층구조 뉴런에서의 활성전위 시뮬레이션)

  • 김석환;류광렬;허창우;이규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509-513
    • /
    • 2000
  • 아홉 개의 계층구조 형태의 뉴런을 LINUX를 기초로 한 GENESIS를 이용하여 입력전류에 대한 각 뉴런의 신경전달 메카니즘을 분석하였고 마지막 뉴런에 미치는 활성전위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뉴런과 연결해주며 신호를 전달해주는 시냅스의 웨이트를 중간계층 뉴런에서 적게 연결하여 비정상 상태의 뉴런을 만들어 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신경세포를 전기회로 적인 모델을 기준으로 설계한 뉴런은 미세한 자극의 변화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 하였고, 마지막 뉴런 에서는 활성전위 간격이 정상상태의 다른 세포와 비교해 보았으며, 결과적으로 뉴런의 시냅스 웨이트가 적으면 신경전달에 이상이 발생하여 세포가 손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Mercuric chloride on the differentiation of cerebrum of Chick Embryo (계배 대뇌의 분화에 미치는 수은의 영향)

  • 김생곤;조광필김정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3
    • /
    • pp.428-438
    • /
    • 1994
  • HgC12의 투여량에 따른 8일 계배의 대뇌 신경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경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또한 탈수소효소의 활성도 및 ATP의 변화 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뇌 신경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0.1mg과 0.5mg 투여 군에서는 핵막이 약간 불규칙하게 관찰되지만 조면소포체와 Golgi복합체가 발달되고 rnltochondria가 다수 관찰되었다 그러나 1.Omg 투여군에서는 조면소포체와 Golgi복합체의 발달이 미약하였으며. 2.Omg 투여군에서는 핵막이 파괴되고 2중막이 분리되었으며, Golgi복합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였다. 탈수소효소 촬성도는 수은의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LDH의 활성도는 1.Omg투여군이 약간 감소하였고, 2 Omg 투여 군에서는 69n로 크게 감소 현상을 보였다. MDH활성도는 2.Omg투여 군에서 82%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DH활성도는 1.Omg투여 군에서 80%. 2.Omg투여군에서는 65%로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ATP의 변화는 1.Omg투여군 이하에서는 정상군과 유의한 변화는 없으나 2.Omg투여군에서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ulation of Harpagophytum procumbens on ion channels in acutely dissociated periaqueductal gray neurons of rats (천수근이 중심회백질 신경세포에서 이온통로 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 Shin Min-Chul;Chang Hyun-Kyung;Jang Mi-Hyeon;Kim Chang-Ju;Kim Youn-hee;Kim Ee-Hwa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0 no.4
    • /
    • pp.17-29
    • /
    • 2003
  • 목적:천수근은 염증성 관절염과 염증성 장 질환 등에 사용되어왔다. 천수근이 중심회백질 신경세포에서 하행성 진통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중심회백질 신경세포를 분리하여 전위고정하에서 nystatin-perforated patch-clamp technique을 시행하였다. 결과: 천수근에 의하여 유발되는 이온전류는 GABA, glycine, 그리고 glutamate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시켰다.

  • PDF

Neuroglial Cells : An Overview of Their Physiological Roles and Abnormalities in Mental Disorders (신경아교세포의 정상 기능과 정신장애에서 나타나는 신경아교세포 이상에 대한 고찰)

  • Lee, Kyungmi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2 no.2
    • /
    • pp.29-33
    • /
    • 2015
  • The brain maintains homeostasis and normal microenvironment through dynamic interactions of neurons and neuroglial cells to perform the prop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normal cognitive functions. Recent post-mortem investigations and animal model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various brain areas such as cerebral cortex, hippocampus and amygdala have abnormalities in neuroglial numbers and functions in subjects with mental illnesses including schizophrenia, dementia and mood disorders like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utative role and involvement of neuroglial cells in mental disorders. Herein I discuss the physiological roles of neuroglial cells such as astrocytes, oligodendrocytes, and microglia in maintaining normal brain functions and their abnormalities in relation to mental disorders. Finally, all these findings could serve a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potential therapeutic concept and drug development to cure unnatural behaviors and abnormal cognitive functions observed in mental disorders.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Nerve Growth Factor,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Ciliary Neurotrophic Factor in the Forebrain of the Developing Mongolian Gerbil (발생중인 Mongolian gerbil의 전뇌에서 NGF, GFAP 및 CNTF의 분포)

  • Park, Il-Kwon;Lee, Kyoug-Youl;Song, Chi-Won;Kwon, Hyo-Jung;Park, Mi-Sun;Lee, Mi-Young;Jeong, Young-Gil;Lee, Chul-Ho;Ha, Kwon-Soo;Lee, Kang-Yi;Kim, Moo-Kang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42 no.2
    • /
    • pp.137-146
    • /
    • 2002
  • The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the nerve growth factor (NG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nd ciliary neurotrophic factor (CNIF) in the developing Mongolian gerbil forebrain was investigated by the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y methods. Generally, the NGF specifically recognizes the neurons, the GFAP does the glia, and the CNIF does the motor neur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location of the NGF, GFAP and CNTF in the developing Mongolian gerbil from the embryonic days 17 (E17) to the postnatal weeks 3 (PNW 3). The NGF was localized at E19 in the olfactocy bulb and the cerebral cortex, expanded to the hippocampus, and the diagonal bond from the late prenatal period to PNW 3. GFAP was observed in the lateral ventricle and the third ventricle at E17, projected into the cerebral cortex at E19. The GFAP was observed to have the largest numbers in several parts of the forebrain at the postnatal days 2 (PND2), while the most numerous CNTF was observed at PNW 2. The CNTF-IR cells were observed only in the postnatal days and were found in the olfactory bulb, cerebral cortex both neuron and neuroglia at PND3.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NGF, GFAP and CNTF were not related to any connections with any particular subcellular struc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GF, GFAP and CNTF be related to the neuron and neuroglia at the prenatal and postnatal stages in the developing Mongolian gerbil.

Reviews Value-in-Use of Specific Proteins Induced from Biological Resources (생물자원 유래 특이적 단백질의 이용가치에 관한 고찰)

  • Hyun, Dong-Yun;Kim, Ok-Tae;Bang, Kyong-Hwan;Kim, Young-Chang;Kang, Seung-Weon;Cha, Seon-Woo;Kim, Se-Y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3-3
    • /
    • 2010
  • 소나무에서 추출해낸 천연유기유황(Natural Sulfur)의 의학적 가치는 1972년 Jacob 박사와 Herschler 박사가 오래곤 과학대학에서 천연식이유황(Natural Sulfur/MSM)을 가지고 표피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면서 keratin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 시작하였다. 세포내 골격물질은 크게 형태와 조성에 따라서 actin microfilament, microtubule, 그리고 intermediate filament(IF)로 구분된다. keratin의 특성은 keratin intermediate family중에서 K17 IF가 새로운 기능을 나타내는데 피부세포의 성장에 핵심적인 조절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 지면서 Dr. Pierre A. Coulombe(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연구실은 브로컬리와 같은 십자화과 식물 등에 과량 존재하는 항산화 및 항암물질인 sulforaphane이 K17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아내어 피부박리와 같은 피부손상을 기능적으로 복구시킬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는 수포성 표피박리증 환자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K14 돌연변이와 동일한 유전적 변형을 일으킨 생쥐모델을 이용한 약물 효과 검증과 전 임상단계의 인체실험을 함께 진행중에 있다. Mark E. Van Dyke 박사(Wake Forest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Medical Center)는 인간의 머리털에서 유래된 keratin으로 외상에 의한 신경 절단이나 압좌(압박손상)는 현재 다른 부위의 신경을 잘라 이식하거나 절단된 신경 양끝을 인공도관(conduit)으로 연결해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미세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도관에 keratin을 주입하면 신경이식과 맞먹는 신경재생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앞으로는 동물성 keratin뿐만 아니라 식물성 keratin도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동물성 keratin의 농업적 이용은 가금류 깃털의 keratin을 축출하여 친환경 육묘용 용기를 만드는데 있다. 이 용기는 자연조건에서 생분해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