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절단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Splanchnicotomy and Thoracic Sympathicotomy for Control of Intractable Abdominal Pain -One Case Report- (내장신경 절단 및 흉부교감신경 절단을 통한 난치성 복통의 치료 -1례 보고-)

  • 황정주;김재영;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2
    • /
    • pp.995-997
    • /
    • 2000
  • 내장의 통증은 교감신경을 통하여 척수로 전달된다고 알려져있다. 특히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통증에 관해서 Mallet-Guy 등이 1943년 큰내장신경 및 요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한 이래로 상기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내장신경 절제술은 효과에 비해 수술이 커지고, 긴 바늘을 이용한 복강신경총 차단술이 발달하면서 사장된 방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이 발달하면서 간단히 큰내장신경 절제술이 가능해져 흉강경을 이용한 큰내장신경 절단술은 난치성 복통치료의 좋은 방법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 PDF

Effect of Fourth and Fifth Chain Sympathicotomy in Axillary Hyperhidrosis -Five case report- (액와부 다한증에 대한 R4,5 교감신경 절단술의 효과 - 5예 보고 -)

  • 전순호;이재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4
    • /
    • pp.297-299
    • /
    • 2003
  • Thoracoscopic syrnpathicotomy is effective in treating not only palmar hyperhidrosis, but, also in treating axillary hyperhidrosis. In previous studies in Korea, sympathicotomy was focused on combinations including the End to 4th sympathetic chains (R2, 3, 4). Using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the results of sympathicotomy of the 4th and 5th chains (R4, 5) of five patients, from February to August, 2002, for axillary hyperhidrosis without osmidrosis, were reviewed. All patients had a successful operation, their profuse sweating ceased. Three patients suffered from some degree of compensatory sweating. Among the three patients, only one patient suffered from moderate compensatory sweating over his back and thighs. Thoracoscopic R4, 5 sympathicotomy offers a very appealing method in the treatment for axillary hyperhidrosis in patients who have profuse axillary sweating.

Limited Sympathetic Nerve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다한증의 제한적 교감신경절단술)

  • 박만실;서충헌;심재천;최봉춘;이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9
    • /
    • pp.813-817
    • /
    • 1999
  • Background: Conventional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or sympathicotomy is an effective method in treating localized hyperhidrosis; however, this may result in a postoperatively embarrassing compensatory hyperhidrosis or facial anhidrosis in the treatment of palmar hyperhidrosis. We modified the conventional sympathicotomy by limiting the extent of nerve tran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sult of the limited thoracoscopic sympathetic nerve transection in hyperhidrosis. Material and Method: From May to August 1998, 17 patients underwent limited transection of the sympathetic nerve. For 9 patients with facial hyperhidrosis, we transected only the interganglionic fiber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ganglion, whereas the conventional method cuts two interganglionic fibers. Eight patients with palmar hyperhidrosis underwent limited transection of the interganglionic fiber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ganglion. Result: Sixteen patients had improved symptom postoperatively. There was a recurred facial sweating in 1 patient 1 month after the operation. Among the 9 facial hyperhidrosis patients, postoperative compensatory hyperhidrosis was severe in 4, moderate in 4 and minimal in 1. But in 8 cases of palmar hyperhidrosis compensatory hyperhidrosis was moderate in 3, and minimal in 1, none in 4. Facial sweating was not disturbed postoperatively in all of the palmar hyperhidrosis patients. Conclusion: Limited sympathetic nerve transection is a practical and less invasiv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localized hyperhidrosis and may reduce the incidence of compensatory truncal hyperhidrosis and facial anhidrosis in case of palmar hyperhidrosis.

  • PDF

Thoracoscopic Sympathetic Surgery for Axillary Hyperhidrosis (액와부다한증에서의 흉부교감신경절제수술)

  • 홍윤주;이두연;백효제;신화균;황정주;정은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12
    • /
    • pp.1106-1110
    • /
    • 1999
  • 배경: 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의 시술 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액와부 다한증의 경우 수장부나 안면 두부다한증에 비하여 절제범위가 광범위하여 이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 및 기타 합병증의 발생의 높고 액취증이 동반되어있는 경우 장기적인 만족도가 낮아서 크게 각광 받지 못해왔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는 1997년 3월부터 1999년 4월까지 45례의 액와부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내시경을 이용하여 흉부교감신경절제술 또는 잘단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28례 여자 17례로 평균연령은 28(13-46세) 였고 평균추적기간은 10개월(1-24)이었다. 24례가 액와부에만 국한된 과도발한을 호소 하였고 2례에서 수술 전 심한 액취증이 동반되어있었다. 21례의 T3,4 교감신경절제술, 20례의 T2,4 교감신경단술 그리고 4례의 T4 교감신경절제수을 시행하여 즉각적인 증상치유효과 보상성 다한증 및 장기적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흉막유착으로 5mm 내시경이 필요했던 2례을 제외한 전 환자에서 2mm 트로카 2개를 사용하여 수술을 하였다 결과: 평균수술시간은 T3,4 교감신경절제술이 46.2$\pm$11분 T2, 4 교감신경절단술이 32.5$\pm$23분 T4 교감신경절제술이 53.8$\pm$18분이 소요되었고 수술직후의 효과는 T3,4 교감신경절제술과 T2,4 교감신경절단술에서 '전혀땀이 나지 않는다'가 17례(81%) 와 12례(60%) '수술전보다 감소했으나 약간땀이 난다'가 4례(19%) 와 8례(40%) 로 모든 환자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T4 교감신경절제술은 4례중3례(75%)에서 전혀 효과가 없었다. 보상성 다한증은 T3,4교감신경절제술과 T2,4 교감신경절단술에서 각각 67%, 60%로 나타났고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의 심한경우는 10% 5%에 불과했으며 장기적인 만족도는 T3,4 교감신경절제술이 86% T2,4 교감신경절단술이 89%로 나타나 높은 성공률을 보았다 결론 : 액와부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T3,4 교감신경절제술과 T2,4교감신경절단술은 증상치유효과가 높고 절제범위의 제한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감소로 장기적 만족도가 우수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액취증이 동반된 경우 이에대한 충분한사전 설명과 원인 감별후 적절한 보조요법을 병행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를 높힐수 있다고 본다.

  • PDF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ngent Processing System and Monitoring Using by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지능형 가공 시스템의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 조동민;김관형;이재현;탁한호;이상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89-92
    • /
    • 2000
  • 수간가공업의 소규모 영세화에 따른 비효율적인 산업구조를 개선시키며 낙후된 시설의 현대화, 3D업종의 인력대체 효과, 어류가공업체의 생산성, 수익률 증대를 목적으로 다양한 어종의 크기에 가변적인 자동절단시스템이 필요로 하게 된다. 다양한 어종에 대한 크기, 너비에 대한 데이터를 신경망의 파라메타로 하여 최소한의 센서로 최적의 절단부분을 예측, 가변적인 어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절단부분을 출력으로 갖는 효율적인 절단공정을 지닌 시스템을 IBM-PC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축하며 PC의 모니터링을 부가시켜 제어함으로써 신경회로망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 PDF

Lectin Histochemistry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von Ebner's Glands in Rats after Glossopharyngeal or Hypoglossal Axotomy (혀인두신경 또는 혀밑신경을 절단한 흰쥐 미각샘의 형태학적 변화와 렉틴조직화학)

  • Moon, Yong-S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12
    • /
    • pp.1541-155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secretory function of the von Ebner's gland in parasympathetic or sympathetic nerve innervation. Sprague Dawley rats were sacrificed 3, 7, 10, 14, and 21 days after bilateral glossopharyngeal or hypoglossal nerve axotomy, respectively. The circumvallate papilla portion of the tongue was dissected and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von Ebner's gland. The properties of glycoconjugate in the von Ebner's gland were investigated using nine biotinylated lectins (PSA, UEA I, GSL I $B_4$, ECL, DBA, SBA, HPA, SJA, or sWG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ytoplasmic vacuoles appeared in the serous acini of the von Ebner's gland in the 3-day group, and the serous acini were significantly vacuolized and degenerated in the 10-day group after glossopharyngeal nerve axotomy.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von Ebner's gland did not change after hypoglossal nerve axotomy. In the control group, the von Ebner's glands secreted glycoconjugates containing ${\alpha}$-D-galactose, N-acetyl-D-galactosamine, and N-acetyl-D-glucosamine oligomer, and the amount of the secre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0-day group after glossopharyngeal nerve axotomy. However, the amount of the glycoconjugate secretion did not change after hypoglossal nerve axotom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lossopharyngeal nerve containing parasympathetic nerve fibers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and secretory function in the von Ebner's gland in rats.

T2 Sympathico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안면부 다한증 환자의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

  • 성숙환;김태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5
    • /
    • pp.465-470
    • /
    • 1999
  • Background: Facial hyperhidrosis patients have as much difficulty in 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palmar and axillary hyperhidrosis patients. There have been no appropriate treatment, but recently,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sympathetic blockade.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has been known to resect cervicothoracic (stellate) ganglion, but its inherent complications such as Horner syndrome have made the surgeons hesitant to use this method. We, through our experiences in treating palmar and axillary hyperhidrosis for the past 6 years, believed that T2 sympathicotomy would be enough for facial hyperhidrosis and have experimented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Material and Method: From June 1997 to May 1998, 38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bilateral thoracoscopic T2 sympathicotomy with 2mm instrum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 All patients were relieved of excessive sweating in their faces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Postoperatively, 5 patients (13.2%) required insertion of chest tubes because 3 had incomplete reexpansion of the lung, and 2 had hemothorax from severe adhesion. Other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dures, such as Horner's syndrome, and brachial plexus injury, were not detected in any cases. The mean hospital stay was mean 1.7$\pm$0.9 days after surgery. Conclusion: T2 sympathetic ganglion is the appropriate resection site for facial hyperhidrosis, and complications such as Horner syndrome can be prevented by not cutting the stellate gangl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by using a 2 mm thoracoscopic instrument, and may obtain much better results.

  • PDF

Change of Diaphragmatic Level and Movement Following Division of Phrenic Nerve (횡격막 신경 차단 후 횡격막 위치 및 운동의 변화)

  • 최종범;김상수;양현웅;이삼윤;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5 no.10
    • /
    • pp.730-735
    • /
    • 2002
  • Diaphragm is innervated by phrenic nerve and lower intercostal nerves. For patients with avulsion injury of brachial plexus, an in situ graft of phrenic nerve is frequently used to neurotize a branch of the brachial plexus. We studied short-term and mid-term changes of diaphragmatic level and movement in patients with dissection of phrenic nerve for neurotization. Material and Method : Thirteen patients with division of either-side phrenic nerve for neurotization of musculocutaneous nerv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ith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 the intrathoracic phrenic nerve was entirely dissected and divided just above the diaphragm. The dissected phrenic nerve was taken out through thoracic inlet and neck wound and then anastomosed to the musculocutaneous nerve through a subcutaneous tunnel. With chest films and fluoroscopy, levels and movements of diaphragm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operation. Result : There was no specific technical difficulty or even min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llowing endoscopic division of phrenic nerve. After division of phrenic nerve, diaphragm was soon elevated about 1.7 intercostal spaces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level, but it did not show paradoxical motion in fluoroscopy. More than 1.5 months later, diaphragm returned downward close to the preoperative level (average level difference was 0.9 intercostal spaces; p=NS). Movement of diaphragm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one. Conclusion : After division of phrenic nerve, the affected diaphragm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movement, and the elevated diaphragm returned downward with time. However, the decreased lung volumes in the last spirometry suggest the decreased inspiratory force following partial paralysis of diaphragm.

흰쥐에서 반회후두신경 손상후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PEMFs)가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정성민;구태완;조윤희;정승용;이재연;조선희;한후재;김현태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5-175
    • /
    • 1999
  • 배경 및 목적 : 성대마비환자에서 마비된 성대의 기능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신경재지배를 시도하였으나 대부분이 misdirected reinnervation에 의한 후두의 synkinesis로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아직까지는 성대내전술등으로 음성의 질을 개선시키는 정도로만 치료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복원에서는 반회후두신경의 절단 후 일차봉합에 의한 신경 재지배 후 후윤상피열근에 만성전기자극을 주었으나 자극을 주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후두기능회복이 더 잘된다는 결과를 확인하지 못한바 있다. 1980년대부터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PEMFs)가 조직내에 ionic currents를 유도하여 cellular functions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보고된 이래로 PEMFs는 골절의 불유합이 있는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동물실험에서 흰쥐의 절단된 sciati nerve, common peroneal nerve, facial nerve의 신경재생을 촉진시켜 신경 재생이 조기에 되고 기능적으로 더 잘 회복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경재생이 되더라도 기능적 회복이 힘든 것으로 알려진 반회후두신경의 재생 및 후두기능 회복에 대한 PEMFs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