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세포보호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7초

허혈성 대뇌손상시 curcumin 투여에 의한 peroxiredoxin-5 발현의 변화 (Change of Peroxiredoxin-5 Expression by Curcumin Treatment in Cerebral Ischemia)

  • 김상아;고필옥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129-139
    • /
    • 2016
  • Curcumin은 항산화제로서 신경세포의 보호작용에 관여하며, peroxiredoxin-5는 활성산소의 형성을 저해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허혈성 대뇌손상모델에서 curcumin에 의해 조절되는 peroxiredoxin-5 발현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흰쥐(Sprague-Dawley, 수컷)를 사용했으며, 허혈성 대뇌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중간대뇌동맥폐쇄술(MCAO)을 실시하였다. MCAO를 시행한 1시간 후에 curcumin(50mg/kg B.W.) 또는 vehicle을 복강으로 주사하였고, MCAO을 실시한 24시간 후 대뇌피질의 조직을 적출하였다. Hematoxylin과 eosin 조직염색 결과 MCAO를 시행한 대뇌피질에서는 신경세포의 괴사 소견을 보였지만, curcumin 투여군에서 이들 신경세포의 손상이 완화되어 있어 MCAO로 유도된 대뇌 손상시 curcumin의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MCAO를 실시한 vehicle+MCAO 실험군에서 peroxiredoxin-5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나, curcumin을 처리한 curcumin+MCAO 실험군에서는 vehicle+MCAO 실험군의 감소에 비해 감소의 폭이 현저히 줄어들어 MCAO를 시행하지 않은 sham군의 발현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Reverse-transcription PCR과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중간대뇌동맥폐쇄술로 유도된 허혈성 대뇌손상 모델에서 peroxiredoxin-5 발현의 감소와 curcumin의 투여에 의한 peroxiredoxin-5 발현 감소의 완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urcumin의 처리는 MCAO로 인한 peroxiredoxin-5 발현의 감소를 억제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뇌손상 모델동물에서 curcumin은 MCAO로 유도된 peroxiredoxin-5 발현의 감소 정도를 완화시킴으로서 curcumin이 신경세포 보호작용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사람 신경아세포종의 아폽토시스에서 호도 약침액의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by Juglandis semen-herbal acupuncture against $H_2O_2-induced$ apoptosis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 김학재;원혜진;박해정;라제현;박히준;홍미숙;임성빈;이혜정;정주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3호
    • /
    • pp.123-131
    • /
    • 2006
  • 목 적 : 과산화수소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해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신경아세포종 아폽토시스 과정에서 호도약침액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 법 : 과산화수소로 인한 신경아세포종의 아폽토시스에서 호도약침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배양 중인 신경아세포종에 과산화수소를 처리하고,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IT)분석법,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염색법,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ting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결 과 : 과산화수소로 인한 신경아세포종의 아폽토시스에서 호도약침액을 처리한 결과, 약침액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이 약 30% 정도 증가하고, 핵 응축과 단편화를 막아주며, CASP3와 BAX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로 호도약침액이 과산화수소로 인한 신경아세포종의 아폽토시스과정에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삼에 함유된 페놀성 선분의 신경세포보호 및 항염증 효과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n Panax ginseng C.A. Meyer)

  • 공연희;이영철;최상윤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111-114
    • /
    • 2009
  • 백삼 및 백삼에 함유된 페놀성 성분 6종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신경세포보호효과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백삼 추출물은 두가지 모두에서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백삼에 함유된 페놀성 성분 중에는 cinnamic acid 및 maltol이 우수한 신경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고 NO 생성억제효과는 ascorbic acid 및 cinnamic acid가 높았다. 또한 페놀성성분의 백삼내 함량을 정량한 결과 ascorbic acid, cinnamic acid, esculetin가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백삼의 신경보호효과 및 항염증효과에는 높은 함량 및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성분인 cinnamic aicd가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균진약침액(菌蔯藥鍼液)이 에탄올로 유발된 신경아세포의 아폽토시스에 대한 보호 효과의 기전 (Preventive mechanisms of Artemisia capillaries extract on ethanol-induced apoptosis in neuroblastoma cell line)

  • 김이화;이은용;장미현;김연정;김창주;정주호;서정철;김연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34-142
    • /
    • 2001
  • 목적 : 인진(茵蔯)이 SK-N-MC 신경아세포주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아폽토시스에 대한 보호작용의 기전을 연구하였다. 방법 : SK-N-MC cell line에서의 세포 보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기법을 이용하여 bcl-2, bax 및 caspase-3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K-N-MC neuroblastoma에서 에탄올 처치는 bax, bcl-2 및 caspase-3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인진액의 전처치후 에탄올 처치한 신경 아세포에서는 에탄올에 의해서 증가된 bax와 caspase-3 mRNA 발현이 억제되었으나, bcl-2의 발현에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에탄올에 의해서 유발된 신경아세포의 아폽토시스에서 인진이 세포보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그 기전은 bax와 caspase-3의 억제에 기인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활성 및 항균활성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 김현복;김선여;이항영;김선림;강석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20-223
    • /
    • 2005
  •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 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활성과 항균활성에 대한 오디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경독성 물질 $H_2O_2$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에 대하여 오디 추출물 $10{\mu}g/ml$의 농도 처리시 $37\%$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하여 유발된 뇌허혈 모델에서는 오디 C3G의 경우 농도 의존형으로 세포괴사를 막았다. 특히 cyanidin의 경우는 $10{\mu}g/ml$의 농도에서 $70\%$이상의 뇌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2. 오디 추출물과 C3G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일뽕 오디의 MeOH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Salmonella typhimurium 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70\%$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군에서 $50{\mu}l$농도보다 $100{\mu}l$농도에서 균주의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MPTP 유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대한 봉독약침의 신경보호 효과 및 항염증 효과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ee Venom Acupuncture on MPTP-induced Mouse)

  • 박원;김재규;김종인;최도영;고형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05-116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MPTP 유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봉독약침의 신경보호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C57BL/6 mice에 신경독소인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MPTP)를 하루에 2시간 간격으로 MPTP-HCl(20mg/kg per dose)을 4번 복강 내 주입하여 중뇌 흑질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한 파킨슨병 동물 모델을 유발하였다. 실험군은 MPTP군, MPTP 현종 BVA군, MPTP 곡지 BVA군, MPTP 신수 BVA군의 4군으로 하였다. 마지막 MPTP 투여 2시간 후에 1차로 봉독약침을 시술하고, 그 후 48시간 간격으로 총 5차 연속 시술하였다. 봉독약침액의 농도는 0.2mg/Kg으로 하였고, 경혈은 양측 현종($GB_{39}$), 곡지($LI_{11}$), 신수($BL_{23}$)를 사용했고, 주입량은 각 경혈당 양측으로 각 $20{\mu\ell}$씩 주입하였다. 항염증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TH, MAC-1, iNOS HSP70을, 세포사멸에 대한 신경세포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aspase-3을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실험 결과 MPTP 유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현종 곡지 신수혈에 대한 봉독약침은 TH-Immunoreactivity neuron의 감소와 microglial activation을 억제하였다. 봉독약침군 모두 효과를 보였으나 그 중 현종과 신수혈에서 특히 억제작용이 컸다. MAC-1에서는 현종혈이 억제작용이 컸다. HSP70-IR neuron은 곡지에서 유의한 억제작용을 보였으나, iNOS neuron은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세포사멸억제여부 실험에서 봉독약침은 모두 억제작용을 보였으나 특히 곡지자침군에서 caspase-3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봉독약침이 MPTP 투여로 인한 중뇌 흑질의 염증에 의한 도파민 신경세포 손상을,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이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종류별 감초의 라디칼 소거능 및 H2O2에 의한 C6 glial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three glycyrrhiza varietie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C6 glial cells)

  • 김지현;조민지;박찬흠;조은주;김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27-334
    • /
    • 2020
  • 산화적 스트레스는 신경퇴행성 질환 발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감초 종류인 Glycyrrhiza glabra, G. uralensis와 신품종 감초인 신원감(SW)의 in vitro free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H2O2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C6 glial cell 보호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In vitro assay에서 G. uralensis, G. glabra, SW 추출물은 농도유의적으로 2,2-diphenyl-1-picrylhydrazyl, ·OH, O2-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여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W 추출물은 G. uralensis, G. glabra 추출물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C6 glial cell에 3가지 감초 추출물을 각각 처리 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와 reactive oxygen species 소거능이 증가하여 3가지 감초 추출물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SW 추출물은 G. uralensis, G. glabra 추출물에 비해 우수하게 C6 glial cell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3가지 감초 추출물의 신경교세포 보호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3가지 감초 추출물은 H2O2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및 cyclooxygenase-2 발현 감소를 통해 염증반응 조절을 통한 신경교세포 보호 작용기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 uralensis, G. glabra, SW 등 3가지 감초 추출물이 산화적 손상이 유도된 신경교세포 보호에 유용한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당나귀 사골과 껍질의 항산화기능 및 SK-N-SH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Donkey's Bone and Skin Extracts on SK-N-SH Cells)

  • 김동욱;채현석;김남영;장애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19-1024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당나귀 사골과 껍질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유도되는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구명하였다. DBSE의 항산화 활성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는데(p<0.05), 40 mg/ml 일 때, 95.43%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20 mg/ml일 때, 88.73%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일 때, $132.53{\mu}M$ TE의 ORAC을 나타내었다(p<0.05).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에 DBSE을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신경세포에 활성산소종인 $H_2O_2$를 처리하여 DBSE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효과를 확인 한 결과,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당나귀 사골과 껍질 추출물은 산화를 억제하고 SK-N-SH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여 생리활성 기능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동물실험을 통한 안전성 및 생체대사조절기능과 효과증진기술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 Culinary Herb))

  • 정희록;곽지현;김지혜;최귀남;정창호;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20-7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결과 높은 총 페놀 화합물 함량(17.71 mg/g)을 나타낸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성초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및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MTT, LDH assay를 통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실험에서는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positive control로서의 vitamin C와 유사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LDH 실험에서는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효소 방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LDH 실험에서 나타난 신경세포막 파괴의 원인을 확인하고자 뇌 조직을 이용한 지질의 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의 과산화가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질의 과산화는 신경세포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quercitrin 및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어성초 6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나타나는 지질의 과산화로 인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더덕순 에탄올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bud extracts in H2O2-stimulated SH-SY5Y cells)

  • 양희선;황인국;최애진;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40-15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15-20 cm 길이의 더덕순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 (CLBE)을 제조하고,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SH-SY5Y세포에 전처리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CLBE는 H2O2로 자극된 세포에서 세포 손상 및 LDH 방출 억제, ROS 소거를 통하여 세포의 사멸을 막아주었다. 또한 CLBE는 Bcl-2와 Bax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casp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할 때, CLBE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신경질환 연구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및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