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보호

Search Result 5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Bombusae concretio Salicea and phenolic compounds on neuronal cells (신경세포에서 천축황(天竺黃)과 페놀성 물질의 항산화 및 신경보호 효과)

  • Seo, Young-Jun;Jeong, Ji-Cheon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 /
    • v.21 no.2
    • /
    • pp.219-225
    • /
    • 2000
  • 산화적인 스트레스가 여러가지 신경 및 비신경계에서의 병리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는 항산화 방어기술이 주요대상이며 스테로이드 분자중에서 estrogen만이 산화적인 원인에 의한 신경세포사를 방어하는데 특이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천축황(天竺黃)의 항산화적 뇌신경 보호기전을 연구하는 것으로 신경세포주, 뇌세포막, 이의 산화적 정량실험법을 사용하여 천축황(天竺黃)이 갖는 항산화 및 신경보호활성이 소수성 페놀(phenolic molecules)성 물질과 유사함을 밝히게 되었다. 즉, 페놀성 물질로서 2,4,6-trimethylphenol, N-acetylserotonin, 및 5-hydroxyindole와 유사한 뇌신경 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축황(天竺黃)은 생쥐의 N2a cell과 사람 SK-N-MC neuroblastoma cell에서 산화적인 글루탐산 독성에 대하여 보호를 하였다. 천축황(天竺黃)의 산화적 글루탐산 독성에 대한 보호활성은 과산화수소에 대한 것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항산화 활성은 $20\;{\mu}g/ml$에서, LDL의 산화적 보호 활성은 $5\;{\mu}g/ml$농도에서 발휘되었다 (최대활성은 $16\;{\mu}g/ml$). 이러한 결과는 천축황(天竺黃)이 노인성 치매에 보호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Neuroprotective effects of Salacca wallichiana extract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쥐 해마 HT22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Salacca wallichiana 추출물의 신경 보호 효과)

  • Ji Hun Byeon;Ye Yeong Hong;Jungwhoi Lee;Thet Thet Mar Win;Su Su Hlaing;Song-I Han;Jae Hoon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6
    • /
    • pp.250-257
    • /
    • 2023
  • Glutamate is an excitatory neurotransmitter distribute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mammals.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re known to cause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stroke by causing nerve cell death.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subtropical natural products were analyzed. Among 11 subtropical plant extracts mainly tested, Sallacca wallichiana extract (SE) showed the great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n, we confirmed through WST-1 assay that SE protected HT22 cells against glutamate-induced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rotective effects of SE against glutamate-induced apoptosis in HT22 cells were also confirmed by flow cytometry analysis using Annexin V/PI double staining. We also confirmed using H2DCF-DA single staining that SE inhibits glutamate-in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And we were confirmed through that SE inhibited glutamate-induce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Consequently, our results propose that S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s to prevent neurodegenerative diseases.

블록암호에 대한 신경망 암호해독 연구 동향 분석

  • Seok, Byoungjin;Lee, Changhoon
    • Review of KIISC
    • /
    • v.31 no.6
    • /
    • pp.19-29
    • /
    • 2021
  • 신경망 암호해독은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해독을 수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2000년대부터 신경망 암호분석 연구가 일부 수행된 바 있지만 대부분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암호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암호학계 저명 컨퍼런스인 CRYPTO, EUROCRYPT에서 전통적인 암호해독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신경망 암호분석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하지만, 신경망 암호해독 기술은 딥러닝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타 분야 대비 상대적으로 연구 초기 단계에 있어 다양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신경망 암호분석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Neuroprotecticve Effect of Rhei Rhizoma on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 (Gerbil의 전뇌허혈에 대한 대황의 신경보호효과)

  • Bum-Hoi, Kim;Hyuk-Sang, Jung;Ran, Won;Ji-Ho, Park;Chul-Hun, Kang;Nak-Won, Sohn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23 no.3
    • /
    • pp.74-84
    • /
    • 2002
  • 목적 : 본 실험에서는 gerbil을 이용한 전뇌허혈 동물모델에서 뇌허혈손상 직후 지연성 뇌손상에 대한 대황의 방어효과와 Apoptosis 과정중의 Bax와 Bcl-2 단백질에 대한 조절작용을 관찰하고, TUNEL 염색법을 통하여 대황이 gerbil hippocampus CAl영역의 pyramidal neuron의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과 PCl2세포를 이용한 세포배양 모델에서의 대황의 신경방어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 Mongolian gerbil의 총경동맥을 5분간 폐색하여 가역성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대황의 전탕액을 하루에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대황의 신경 보호 효과는 수술 7일 후에 cresyl violet으로 염색하여, 살아있는 신경 세포의 수를 세어 측정하였다. 또, 수술 3일 후에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범을 통하여 Bax. Bcl-2단백질의 발현과 대황의 신경보호 효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가역적 전뇌허혈이 일어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살아있는 신경세포의 수는 $51.0{\pm}2.5개{\;}/mm$에 불과하였으나, 그에 비해 수술 후 7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은 $106.2{\pm}2.5개{\;}/mm$로 살아 있는 신경세포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Apoptosis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Bax의 발현은 3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고, Apoptosis를 억제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TUNEL 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대황 투여군의 apoptotic 신경세포사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Bax protein의 발현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대황이 Bax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Bax/Bcl-2 자연적 세포사를 억제하여 Mogolian gerbil의 가역성 전뇌허혈 모델에서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treatment of curcumin protects hippocampal neurons against excitotoxin-induced cell death (Curcumin의 전처리는 excitotoxin에 의한 세포사멸로부터 해마신경세포를 보호)

  • Kim, So-Jung;Kim, Keun-Ho;Kong, Kyoung-Hye;Lee, Jae-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1 s.81
    • /
    • pp.12-17
    • /
    • 2007
  • Curcumin is a natural phenolic yellow curry spice, derived from the tumeric,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Curcumin is known to have bot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ese properties can be beneficial to protect the brain from the neurodegenerative diseases. We now report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curcumin pretreatment in primary hippocampal neurons to glutamate-induced excitotoxicity. Pretreatment of embryonic mouse hippocampal cell cultures with low does of curcumin protected neurons against glutamate-induced death, however, this neuroprotection was not correlated with the modulation of oxidative stress. Interestingly, high dose of curcumin showed the cytotoxicity in primary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Immunoblot analyses showed that levels of stress response. protein HSP70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neurons exposed to low dose of curcumin, whereas levels of cleaved PARP were increased in neurons exposed to high dose of curcumin. These findings show that curcumin can modulate neuronal responses to glutamate, and suggest possible use of curcumin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cupuncture at GB34 modulates laminin expression in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induced PD mouse model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를 이용한 파킨슨병 생쥐 모델에서의 laminin 발현에 대한 양릉천 자침의 조절효과)

  • Kim, Youn-Jung;Kim, Bum-Shik;Park, Hi-Joon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5 no.1
    • /
    • pp.155-164
    • /
    • 2008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양릉천 침 처치 시 C57BL/6 생쥐의 중뇌 흑질에 위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Tyrosine hydroxylase(TH)와 laminin의 발현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실험방법 : 실험에 이용한 동물은 C57BL/6 생쥐로, 매일 25mg/kg의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를 5일간 주사하였고, 매일 MPTP 주사한 뒤 2시간 후에 양릉천에 침치료를 시행하였으며 MPTP 주사를 종료한 뒤 침치료는 7일동안 계속 시행하였다. 마지막 MPTP 주사 7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뇌를 적출하고 고정하였다. 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hyrosine hydroxylase(TH), laminin의 발현 변화 정도를 조직염색화학법으로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각 그룹간의 유의성 검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도파민성 신경세포 선택적인 신경독소인 MPTP에 대한 양릉천 침처치에 의한 신경보호 효과를 도파민신경세포의 표지자인 TH 발현을 면역화학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MPTP 처치 군의 신경세포 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 <0.05), MPTP + 침처치 군에서 증가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P <0.05). 또한 도파민성 신경세포내에 존재하는 laminin의 발현정도 역시 대조군보다 MPTP 처치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MPTP + 침처치 군에서 증가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P <0.05). 결 론 : MPTP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양릉천 침처치의 신경보호 효과는 세포외 기질중의 하나인 laminin의 발현 정도를 조절하여 비롯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eur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Root Bark of Morus alba on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Neuronal Cells. (Glutamate가 유도하는 세포독성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상백피 추출물의 효과)

  • Kim, Hyun-Jung;Kim, Ji-Hyun;Son, Eun-Soon;Lee, Jeung-Min;Park, Hae-Ry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7
    • /
    • pp.963-967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MA)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neuronal cells.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was shown by MTT reduction assay.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thanol, and acetone extracts from MA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were measured. Among the three extracts, the methanolic extracts showed the highest protective effect, as determined by the results of an morphological assay, a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assay. Furthermore, the methanol extracts were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water layer according to degree of polarity. The hexane fractions exhibited a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glutamate-stressed N18-RE-105 cell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f MA could be a new potential candidate as a protective substance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Stachys sieboldii Miq. according to drying methods (건조방법에 따른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 Oh, He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4
    • /
    • pp.1320-132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ctivity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Stachys sieboldii Miq. according to different drying method(hot air drying and freeze-drying). The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in water extracts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freeze-drying compared to hot air drying(p<0.05).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free-drying compared to hot air drying(p<0.05). In a cell viability using MTT, the water extract according to hot air drying and freeze-drying of Stachys sieboldii Miq. showed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nurotoxic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extracts of Stachys sieboldii Miq. after freeze-drying has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be useful fo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이미지 기반 적대적 사례 생성 기술 연구 동향

  • O, Hui-Seok
    • Review of KIISC
    • /
    • v.30 no.6
    • /
    • pp.107-115
    • /
    • 2020
  •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심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이 앞 다투어 이용됨에 따라 인공지능의 설명 가능한 동작 원리 해석과, 추론이 갖는 불확실성에 관한 분석 또한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심층신경망 기반 기계학습 모델의 취약성이 수면 위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취약성을 이용하여 악의적으로 모델을 공격함으로써 오동작을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학습 모델의 강건함 보장은 보안 분야에서의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모델 추론의 입력으로 이용되는 이미지에 교란값을 추가함으로써 심층신경망의 오분류를 발생시키는 임의의 변형된 이미지를 적대적 사례라 정의하며,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공지능 및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미지 기반 적대적 사례의 생성 기법에 대하여 논한다.

Cytoprotective Effects of Phaeophyta Extract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HT-22 Mouse Neuronal Cells (제주 연안 갈조류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 Shin, Dong-Bum;Han, Eun-Hye;Park, S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2
    • /
    • pp.224-230
    • /
    • 2014
  • Marine algae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a health and beauty food, based on its anti-tumor,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activities. In this study, methanol extracts were prepared from 10 different phaeophyta, after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nd cytoprotective activities of HT-22 cells against ${\beta}$-amyloid protein ($A{\beta}$), which has neurotoxic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DPPH experiments, Ecklonia cava and Ishige okamurai showed strong ROS scavenging activities, whereas eight other phaeophyta including Petalonia binghamiae (P. bin) showed weak ROS scavenging activities. To validate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10 different phaeophyta in $A{\beta}$-induced HT-22 cells,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APP, BACE1, iNOS, phosphorylated ERK1/2, phosphorylated p38 and phosphorylated JNK1/2 were determined along with MTT assay. In the MTT assay, P. bin showed the best effective cytoprotective activity at a concentrations of $25{\mu}g/mL$, whereas Sargassum confusum, Colpomenia sinuosa, Myelophycus simplex, and Sargassum hemiphyllum showed potential. Determination of protein expression levels related to $A{\beta}$-induced neurotoxicity in the five selected phaeophyta showed that P. bin inhibited BACE1 and iNOS expression in $A{\beta}$-induced HT-22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P. bin are mediated by suppressing the pathways involving $A{\beta}$-induced ERK and p38 a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