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품R&D

검색결과 1,029건 처리시간 0.022초

미래지향적 식품산업 R&D 추진전략 (R&D operating strategy for future food industry)

  • 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3호
    • /
    • pp.307-315
    • /
    • 2020
  • 식품산업과 국내외 환경변화 등에 따라 식품 R&D 추진체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유망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식품 R&D 추진 및 식품산업정책과 연계한 R&D 추진전략을 제안하였다. 국내외 식품산업 동향 및 글로벌 트렌드 분석에 기초하여 미래지향적인 식품산업 성장을 위한 연구개발 분야의 전략적 대응방안을 정리하고, 식품산업 R&D 현황과 개선점을 검토하여 향후 식품산업 R&D 추진방향을 설정하였다. 식품산업 R&D 추진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R&D 사업추진을 위한 연구기획체계 강화, 연구수행 주체간의 역할 분담 및 협업 강화, 미래 기술기반 확보, 현안문제 해결 및 산업현장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 정책사업 연계 및 식품 R&D 관리시스템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외 주요국가의 농·식품 R&D 투자 정책 및 동향 (Investment policy and trends of agri-food R&D in major overseas countries)

  • 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4호
    • /
    • pp.410-421
    • /
    • 2020
  • 농·식품 분야의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해서, 해외 주요국가의 R&D 정책 및 투자 동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해외 주요국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선진국을 중심으로 농·식품 분야 R&D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 지원과 함께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농산업 생산성에 대한 공공투자를 줄이고, 기후변화·식량안보·식품안전·국민건강·자연환경 등의 사회문제 부각에 따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와 환경 간의 조화, 인체영양과 건강뿐만 아니라 동식물 건강, 통합적 생태계 접근 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식품 분야는 식품안전, 영양과 건강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이, 식품가공, 제조는 민간부문이 주로 투자하는 편이다. 한편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에는 민간투자보다 공공부문에서의 투자가 크게 앞서고 있으며, 정부가 중장기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등 연구개발혁신을 주도하는 입장이다. 비록 국가마다 시급한 현안사항과 대응방안이 다르지만, 농·식품 분야 연구개발혁신 및 발전전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의 상호보완적 역할 분담을 바탕으로 긴밀한 협력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품산업 현황과 R&D 미래 대응전략: 공공부문의 역할과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Food Industry and Future R&D Strategy: Focusing on the Role and Direction of Public Sector)

  • 전지영;함상욱;박진성;박정민;홍석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2호
    • /
    • pp.235-247
    • /
    • 2020
  • 식품산업은 국민 삶과 국가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에도 식품은 필수재라는 상품 특성상 경기침체 영향이 작고, 식생활 및 소비성향 변화와 함께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전반적인 국내 식품산업 현황과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연구개발 측면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별히 식품산업의 활력 제고 및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과 연구개발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품산업이 새로운 국가성장 동력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정부는 거시적 방향성 조율을 통해 일관성 있는 R&D 로드맵을 제공하고, 공공 연구기관 및 민간 기업은 연구개발 현장에서 체감 가능한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협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부문의 식품 R&D는 기초원천연구와 공공 플랫폼기술 중심으로 핵심 요소기술의 전략적 중요도 및 글로벌 기술 수준차이를 고려하여 투자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식품 연구를 통한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 또는 식품분야 난제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 등 식품기술 중심의 아젠더를 발굴하고 대형 연구개발사업으로 연계하는 노력이 보다 절실하게 필요하다.

고감미도 감미료(High Intensity Sweeteners)를 이용한 당류저감화 (Reducing sugar content in processed foods using high intensity sweeteners)

  • 한태철;서일;임혜진;기민지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3호
    • /
    • pp.29-39
    • /
    • 2016
  • Recently, due to the cognition that obesity is the cause of adult diseases, interests of consumers in low-sugar and low-calorie foods are growing more and more. While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reduce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the reduced sweetness caused by lesser sugar content is complemented by using high-intensity sweeteners. Some of the typical high-intensity sweeteners are sucralose, aspartame, acesulfame potassium and stevia, etc. Since the relative sweetness degree, sweetness profil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sweeteners should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t is important that all these characteristics are well-understood before applying them.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high-intensity sweeteners in order to reduce sugar content of processed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