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품구매행동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대형마트 신선편의식품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에 따른 식품 내·외부 온도 및 미생물학적 오염 변화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and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depending on Consumer Behavior after Purchase of Fresh-Cut Produces)

  • 박현진;이정은;김솔아;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59-4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의식품을 구매한 뒤 집으로 귀가해서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섭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그에 따른 신선편의식품 내.외부의 온도변화와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판 중인 신선편의 식품에 대해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 병원성 미생물인 B. cereus, S. aureus,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신선편의식품을 구매 후 귀가 또는 섭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대 3시간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차량 트렁크 내에서 최대 3시간 동안 보관한 결과 차량 트렁크 내부 최고 온도가 봄(3월) 19℃, 여름(7월) 44℃, 가을(9월) 31.3℃, 겨울(2월) 17.6℃로 각각 확인되었으며, 차량 트렁크에서 보관한 신선편의식품의 품온은 최대 봄 18.5℃, 여름 42℃, 가을 29.2℃, 겨울 16.8℃로 확인되었다. 차량 트렁크에 최대 3시간 보관한 신선편의식품의 일반세균수는 봄 3.41 log CFU/g, 여름 4.32 log CFU/g, 가을과 겨울은 각각 3.81 log CFU/g, 3.36 log CFU/g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의 대장균군 및 대장균, B. cereus,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S. aureus는 여름과 가을철에는 신선편의식품을 1시간만 차량에 보관하더라도 검출되었고, 봄과 겨울은 2시간 이상 차량 트렁크에 보관하였을 때 검출되었다. 이동용기로 흔히 사용되는 종이박스와 스티로폼 박스 내부가 알루미늄필름으로 코팅된 종이 박스를 이용하여 얼음 첨가여부에 따른 이동용기 온도변화 실험과 이동 중 S. aureus의 증식여부를 확인한 결과 스티로폼 박스에서 내부 온도변화가 가장 낮게 유지되었고, 시간 경과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도 가장 적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선편의식품 소비자들에게 구매 후 안전한 섭취를 위해 보관 온도나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이동용기를 이용한 신선편의식품의 온도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농식품 구매의 소비자태도와 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toward Agricultural Produc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정수연;김기환;양성범;오상헌;황대용;김영철;이석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50-655
    • /
    • 2012
  • This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ai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ing behaviors towards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experience, technology ability, innovation, self-efficacy, perception of usefulness, perception of trust, attitude, purpose of purchas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m. We analyzed the survey data set, using the 'logit model', 'simultaneous equation model', and 'LISREL-Type model'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for the comprehensive statement of "Trust" w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urchase agricultural product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agricultural e-commerce using SNS, trust should be to the fore of marketing and publicity campaigns, in order to promote and stabilize the market.

통밀 비율에 따른 칼슘강화 비스킷의 소비자 조사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Consumer Survey of Calcium Fortified Biscuits Depending on the Differentiated Whole Grain Ratio)

  • 곽지민;이지오;임보미;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06-114
    • /
    • 2019
  • 본 연구는 칼슘 섭취가 부족한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구매 행동 및 소비자의 의도에 대한 통밀 비율 및 영양 정보 제공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맞춤식 영양 강화 간식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통밀 비율에 대한 맛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ZF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나 HF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맛과 향의 친숙도 (P <0.001), 구매의도 (p <0.001), 추천의도(p <0.001)를 조사한 결과, ZF, HF, TF 순으로 높았다. 정보 제공에 대한 구매자의 구매 의도 (p <0.05)와 추천 의도 (p <0.05)는 세부 정보 그룹, 비 정보 그룹 및 단순 정보 그룹 순으로 높았다.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칼슘 강화 비스킷을 개발할 때 통밀가루와 밀가루를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맛과 향, 친숙도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구매 의사 및 추천 의사가 세부 정보 그룹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칼슘과 식이섬유의 강화 정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밀키트 선택속성이 내식/외식 컨셉의 밀키트 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al Kits Selection Attributes on Willingness to Buy At-home Concept and Eating-out Concept Meal Kits)

  • 황지희;엄하람;이동민;문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2-363
    • /
    • 2021
  • 본 연구는 밀키트 선택요인이 내식 컨셉과 외식 컨셉의 밀키트 구매의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밀키트 경험자(n=412)와 비경험자(n=153)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565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밀키트 선택속성의 경우 건강, 가격, 환경보호, 편리성, 친숙함의 5가지 특성으로 정리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Statistics 23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식 컨셉의 밀키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편리함, 환경 보호, 친숙함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외식 컨셉의 밀키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함, 편리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숙함의 경우, 부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밀키트를 특정 컨셉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연구는 처음이며, 각 컨셉의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식품업계 마케터에게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전략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역량,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 (The differences of dietary behaviors, dietary life consumer education related current situations·competencies and dietary lifestyles between baby-boom and echo generations)

  • 박종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53-167
    • /
    • 2018
  • 연구목적은 베이비붐세대와 그의 자녀 세대인 에코세대를 대상으로 세대 간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 및 역량, 그리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세대 간 차이를 고려한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측면에서의 함의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2,474명 (베이비붐세대 1,304명 52.7%, 에코세대 1,170명 47.3%)을 대상으로 분석하되, 남성, 여성을 구분하여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식행동으로, 집/집에서 만든 도시락으로 식사를 하는 빈도는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높은 반면, 단체급식, 카페 베이커리, 편의점, 배달 테이크아웃으로 식사를 하는 빈도는 에코세대가 더 높았다. 지난 일주일 동안 함께 한 식사동반자로써 가족은 남녀 공통으로 아침, 점심, 저녁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높은 반면, 친구 동료와 함께한 식사빈도는 남녀 공통으로 아침을 제외한 점심, 저녁 시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보다 높은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혼자 식사를 하는 빈도는 남녀 모두 두 세대 간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주빈도는 여성 집단에서, 외식빈도는 남녀 모두 에코세대가 더 높았다.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 분석결과는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소비자교육 경험률은 매우 낮아, 식품관련 소비자교육 경험자는 전체의 1.6%, 정부주최 식품관련 홍보행사 혹은 소비자단체의 식품관련 행사 경험자는 전체의 1.1%, 1.6% 수준을 각각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 경험이 식생활에 주는 도움 정도는 전체 응답자의 경우 5점 리커트의 3.54점 수준을 보였으며, 식품관련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는 5점 리커트의 3.55점 수준을 보였다. 식생활 관련 1순위 정보원은 베이비붐세대가 주위사람인 반면, 에코세대는 방송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블로그 혹은 SNS를 1순위 정보원으로 선택한 경우는 남성, 여성 모두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 혹은 소비자단체의 홈페이지를 정보원으로 선택한 경우는 두 세대 모두 거의 없었다. 식품구입 시 정보이용역량은 여성의 경우, '식품구입 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음' 측정문항에서만 에코세대가 베이비붐세대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이외의 측정문항은 남녀 모두 세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한 식생활 역량은 지식수준의 경우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천수준은 남녀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한 식품 (국내산, 지역산, 친환경,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도는 남녀 모두 베이비붐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가격이 비싸더라도 구입하겠다는 구매실천의지는 남녀 모두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개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남녀 모두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은 베이비붐세대에서 에코세대보다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난 반면, 간편추구, 맛 품질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에코세대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가격)추구와 소량구매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세대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농산물 구매량 예측: 파프리카를 중심으로 (Prediction of Agricultural Purchases Us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Focusing on Paprika)

  • ;이경희;라형철;최은선;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9-179
    • /
    • 2021
  • 소비자의 식품소비행동은 소비자 패널 데이터와 같은 정형 데이터 뿐 아니라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SNS) 등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소비 관련된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연계한 융합데이터 셋에 대하여 딥러닝 기반의 소비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한다. 연구의 결과는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결합할 때 모델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가 모델 예측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의 중요도를 식별하기 위해 SHAP 기법을 사용한 결과 블로그 및 비디오 데이터 관련 변수가 상위 목록에 있었고, 파프리카 구매 금액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머신러닝 모델이 딥러닝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기존의 시계열 분석 모델링에 대한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형 건강 편의식 개발 방향 도출을 위한 소비자의 식행동 및 인식 조사 (Consumer Trends on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s)

  • 윤선;손경희;곽동경;김정수;권대중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6
    • /
    • 1998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방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행동과 편의식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한국형 건강 편의식 개발 방향 도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710명의 주부들이 응답한 설문지가 통계학적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일반 사항, 식생활 및 식품 구매 행동과 편의식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일반 사항 중 연령, 취업 여부, 라이프스타일이 응답자의 식행동과 편의식에 대한 인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이 규명되었다. 식생활 전반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는 것은 주부들이었으나, 이들의 대부분이 식사준비에 대해 즐겁다기보다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태도는 다른 연령군, 취업 여부, 라이프 스타일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장보기 빈도는 필요할 때마다 1주일에 $2{\sim}3$번이 가장 높았다. 또한 미리 식단 계획을 하기보다는 장볼 때 즉흥적으로 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식품 구입시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손질된 야채나 조리된 식품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품질이 우수한 편의식 개발에 대한 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로컬푸드 구매 영향 요인 - 로컬푸드와 대형마트 소비자 비교 - (Factors Influencing Local Food Purchasing - Comparison of Local Food Consumer and Hypermarket Consumer -)

  • 이민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6권4호
    • /
    • pp.221-23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mpiricall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local food purchase intention. And this study compares to the difference between local food consumer and hypermarket consumer's attitudes toward local food, food lifestyle, and subjective norm. Data were collected from 319 local food consumer and 179 hypermarket consumer to measure the following; attitude toward local food;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od lifestyles; demographic information. Results showed that local food consumers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ttitudes towards health, environment, and local economy. Results also found that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cal food consumer and hypermarket consumers. It means that consumers who express a strong intention to purchase local food seems to link to the food lifestyles. The study suggests that producers and retailers need to develp campaigns explaining how consuming local food supports local businesses and farmers, which will reinforce personal values associated with local consumption.

기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웰빙지향 식품에 대한 중요도 및 구매만족도 (The Level of Importance of Well-being Food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Married Women's Lifestyle)

  • 한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4호
    • /
    • pp.239-262
    • /
    • 2010
  • This study looks at the patterns of married women's lifestyles and verifi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preferences, the will to continue shopping, and the importance of healthy foods. The paper analyzes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lifestyle pattern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healthy foo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find patterns in the lifestyles of married women ages 20s to 50s, the factors were analyzed and five lifestyle patterns were extracted: health managing type, fashion pursuing type, self-expressing type, family-oriented type, and eco-friendly type. If we examine the purchasing of healthy foods for each lifestyle, women with a self-expressing lifestyle gain more information from news articles, books, and salespeople than from other information sources. Women of the health managing, family-oriented, and eco-friendly types had high purchasing frequencies and amounts. A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ategorize the different groups being investigated into lifestyle types.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clusters: active multiple-oriented type; fashion, self-expressing compromising type; passive well-being oriented type; and family and health managing type.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clusters in terms of the level of importance of products, contributions to health, as well as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healthy foods. To be more specific,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e products as well as thei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anifested as being higher among the active multiple-oriented type and the family-oriented and health managing types.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ntributions to health scored high among all groups, except the passive well-being oriented type. The active multiple-oriented type and the family-oriented and health managing types showed a high level of preference and will to continue purchasing healthy foods, while the fashion and self-expressing compromising types and passive well-being oriented type showed a low level of preference and will. In order to find pattern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healthy foods, three factors were analyzed: credibility of labels, contributions to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the store.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otal level of satisfaction was the credibility of labels for the family-oriented lifestyle; a product's contribution to health for the health managing lifestyle; and the store for the fashion pursuing lifestyle.

  • PDF

식품안전 인지도와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조사 (A Study of Consumer Perceptions of Food Safety and Food Buying Behavior)

  • 김현아;정현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3-10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stomer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food safety orient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458 adults aged 20 and 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ood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purchasing food, followed by freshness, taste, nutrition, price, and quantity. 87.1% of respondents had more than usual concern about food safety, and women were more aware of food safety than men. The food safety information was usually acquired from the mass media (TV, radio, Internet). As for the reasons for food safety accidents, they pointed out in the order of lack of awareness of food safety, deficient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people who produce, lack of distribute and sell food products, and lack of legal system.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accurate information about food safety is efficiently communicated, and the government's continuous effort is needed. In addition, effective ways to inform customers of food safety should be identified. Long-term view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e food safety related policies and food safet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