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생활 양상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세척에 따른 뽕나무 오디(Morus alba L.)의 살균효과 (Sterilization Effects on Mulberries (Morus alba L.)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and Chlorine Dioxide)

  • 텅후이;이선호;이원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4-6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도수, 전해수,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의한 오디의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품질 양상을 분석하였다. 오디를 수도수,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농도별 10, 50, 100, 200 ppm으로 각각 30초 동안 담금질을 한 후, 실온과 냉장에 저장하여 시간에 따른 저장성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외관 품질 유지와 갈변 저해 효과를 탐색하였다. 또한, 오디 과실 표면으로부터 Enterobacter aerogenes와 Serratia marcescens의 위해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살균세척수를 처리한 후, 저장 온도별 시간에 따른 미생물 총 균수를 측정한 결과, 각 처리구의 미생물 살균력은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가 수도수 처리보다 증가하였으며, 이산화염소수는 고농도일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상온에서 저장하는 처리구보다 냉장 저장한 처리구에서의 미생물 억제효과가 뛰어났다. 오디의 표면에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 살균 세척수 처리구에서는 미생물이 생존하지 않았다.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수도수 처리구보다 살균 세척수 처리구에서 함량이 낮아졌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세척 방법 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구의 함량이 수도수 처리보다는 낮았다. 따라서 오디의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는 초기의 미생물 총 균수를 감소시켜 신선도를 유지하고, 상온보다 냉장 저장에서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품질 유지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새우젓 및 찹쌀풀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used Shrimp and Cooked Glutinous Rice Flour on the Changes of Low Molecular Nitrogen Compounds Content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정미은;이혜준;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0
    • /
    • 1994
  • 본 연구는 새우젓(5%, 10%) 및 찹쌀풀(2.5%)의 첨가가 김치발효중 저급 질소화합물들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것이다. 김치를 $10^{\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pH와 총산도, 유리당을 측정하여 김치의 발효정도를 조사하고, nitrite, dimethylamine(DMA)과 Volatile Basic Nitrogen(VBN) 함량을 정량하였다. 김치 발효초기의 아질산염 함량은 0.16-0.31 mg/kg의 수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10% 새우젓 첨가시료들 $(S_2,\;GS_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숙기인 숙성 6일 이후에는 모든 시료들이 검출한계미만으로 흔적정도를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시료중의 DMA 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젓갈첨가량이 높을 수록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찹쌀죽 첨가구$(GS_1,\;GS_2)$는 새우젓만 첨가한 시료들$(S_1,\;S_2)$보다 더 많이 검출되었다. 새우젓을 첨가한 시료들의 DMA 함량은 발효초기에 0.03-1.2 mg/kg이었으며, 발효말기에는 1.6-2.26 mg/kg이었다. VBN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점 증가하여 새우젓 첨가구들$(S_1,\;S_2)$ 또는 새우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시료들$(GS_1,\;GS_2)$이 새우젓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들(C, G)보다 분명하게 높았으며, 새우젓 첨가구와 새우젓+찹쌀풀 첨가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므로, 찹쌀풀을 첨가하는 것이 VBN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아연과 철분 섭취 수준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의 지질 대사 및 체내 미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n and Fe Levels on Lipid Metabolism and Micromineral Conten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현숙;승정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6
    • /
    • 1999
  • 본 연구는 식이 아연과 철분 섭취 수준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의 지질 대사 및 체내 미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만군의 혈청 지질 농도는 식이중 아연과 철분 섭취 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정상대조군의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은 아연과 철분섭취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alpha$=0.05). 간장중 미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비만군과 정상대조군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비만군은 아연 섭취 수준에 따라 간장의 아연, 철분, 구리, 망간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정상대조군은 철분 섭취 수준에 따라 미량 무기질 함량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간장중 구리 함량은 비만군은 철분섭취 수준 차이에 의해서, 정상대조군은 아연 섭취 수준 차이에 의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alpha$=0.05). 신장중 미량 무기질 함량은 비만군과 정상 대조군 모두 철분 섭취 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식이중 아연수준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받았다. 아연 섭취 수준에 따른 영향으로 비만군의 경우는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고($\alpha$=0.05), 정상대조군은 아연, 구리, 망간 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alpha$=0.05). 비장중 미량무기질 함량은 비만군의 경우 식이중 아연과 철분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정상 대조군은 망간과 철분 함량이 영향을 받았다.

  • PDF

지난 일세기 동안의 한국인 식습관의 변화와 보건영양상태의 추이 분석 (The Changes in the Dietary Pattern an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During the last one Century)

  • 이철호;주용재;안기옥;류시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97-406
    • /
    • 1988
  • 지난 1세기 동안의 한국인 식사 습관의 변화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이조 말기까지 한국인은 다양한 곡류, 채소류, 과실류를 식품으로 이용하였으나 농업의 전문화와 생활 방식의 도시화에 의하여 이들 식품 재료의 종류가 크게 감소하였다. (2) 우리의 전통식단은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구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제의 수탈과 전쟁 중의 식량난으로 한국인의 영양 섭취는 크게 악화되었다. (3) 전쟁 중 악화된 영양상태를 전통 식사법의 회복으로 극복하려 하지 않고 서양식 식사법의 도입으로 해결하려 하였다. (4) 전쟁중의 기아 상태에서 외국 원조로 공급된 분유와 밀가루의 섭취가 일반화 되었으며, 전후 경제 개발 과정에서 분식 장려 정책과 축산 진흥 정책이 계속되었다. (5) 1970년대 이후의 경제 성장 과정에서 식용 및 사료용 곡물 도입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식량 자급율은 50% 이하로 하락하였다. (6) 1970년대에 와서야 우리의 식량공급은 이조 말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그 구성면에서 지방질의 섭취가 크게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7) 1980년대에는 동물성 식품의 소비 과다, 지방의 과잉섭취 현상이 계속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성인병의 발병율 증가 등 국민 보건의 퇴화 조짐과 식량 수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8) 우리의 전통 식사법에 근거를 둔 식사목표의 설정과 올바른 식습관 정립을 위한 국민 교육과 정책적 배려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PDF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 및 복부비만의 관계: 고감도 C-반응 단백질의 매개효과 (Association between Korean Healthy Eating Index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 윤진아;신다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88-104
    • /
    • 202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년부터 201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KHEI와 복부비만의 관련성 및 hs-CRP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 성인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 90 cm 이상, 여성은 허리둘레 85 cm 이상인 경우에 복부비만군으로 정의하였다. 남성에서 복부비만군은 2,587명, 정상군은 5,007명이였고 여성의 복부비만군은 2,869명, 정상군은 7,307명이였다. KHEI, hs-CRP, 복부비만의 연관성 분석에서는 모든 공변량을 보정하였을 때 남성의 KHEI는 복부비만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지만, hs-CRP와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복부비만과 hs-CRP 모두 음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에서 hs-CRP 위험군 (> 1.0 mg/L) 이 hs-CRP 정상군 (≤ 1.0 mg/L)보다 복부비만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KHEI와 복부비만 관계에서 hs-CRP가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변량을 단계적으로 보정하였을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균형잡힌 식생활를 통한 높은 식사의 질이 hs-CRP에 영향을 미쳐 복부비만 예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정전문치과에 내원한 부정교합환자의 최근 경향 (Current trends in orthodontic patients in private orthodontic clinics)

  • 정민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6-42
    • /
    • 2009
  • 경제력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 사회적 인식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교정치료의 수요는 증가하고 내원하는 환자들의 부정교합의 양상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원한 교정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들의 역학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정환자들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고 전공의들의 교육과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시내 교정전문치과 4곳에 내원하여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모형분석 등 진단분석 과정을 거친 환자 1,620명을 대상으로 부정교합의 양상과 연령대, 발치빈도와 악교정 수술빈도 등을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교정환자들 중 남자는 26.9%, 여자는 73.1%로 여자가 많았다. 연령별 분포에서 만 13세 이후의 내원 환자는 78.9%, 만 19세 이후의 환자는 59.0%였으며, 평균연령은 20.5세였다. Angle 부정교합 분류별 분포는 Class I 부정교합이 38.9%, Class II div 1은 34.8%, Class II div 2는 2.3%, Class III 부정교합은 24.0%였다. 발치빈도의 경우 전체 교정환자들 중 발치환자가 60.9%, 비발치환자가 39.1%였으며, 발치를 시행한 환자 중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한 경우가 46.0%를 차지하였다. 악교정수술환자의 비율은 10.2%였다. 교정치과에 내원하는 성인환자, II급 부정교합 환자와 악교정수술 환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이에 따라 교정교육과정과 보건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학교급식에서 편식 아동의 식생활 양상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 김영희;서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3호
    • /
    • pp.345-35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Children who eat only what they lik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urve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food intake frequencie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total of 160 children : 92 male students(unbalanced-diet group, 46; control group, 46), and 68 female students(unbalanced-diet group, 34; control group, 3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between the unbalanced-die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etary behavior of control group turned out to be more desirable than that of the unbalanced-diet group. In addition, 68.7% of the unbalanced-diet group and 13.8% of the control group hated to eat vegetables. The result of food intake frequency indicates that the control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ir intake of fish, cereals, vegetables, seaweeds, fats & oils and Kimchi compared with unbalanced-diet group. Intake frequency of minerals and vitamins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balanced-die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unbalanced-diet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in sugar intake. Children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of fruits. The unbalanced group turned out to prefer sugar and beverage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rable dietary habits of children should be formed with the help of nutrition education designed for behavior modification.

  • PDF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 관련 행태, 인식 및 선호음식 양상 분석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 소지선;한성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89-602
    • /
    • 2012
  • The Korean society has gone through a dramatic change in its population, with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since 1990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families in three areas related to dietary behaviors: diet-related behaviors and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500 Koreans from Korean families and 104 couple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More subjec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ew up in the countryside, received less education and also had lower income than the subjects from Korean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te traditional Korean meals more often at home and dined out less often than Korean families.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more attention on nutritional aspects of their diets than Korean families. The Vietnamese 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favored Vietnamese foods but they rarely ate those foods in Korea despite an easy accessibility to Vietnamese ingredients. In conclusi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d more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s than Korean families, which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socioeconomic factors. Further research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is needed in future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인도네시아인의 식생활 양상 및 선호음식 분석 (Diet- Relate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 of Indonesian)

  • 박찬윤;한성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50
    • /
    • 2014
  • As Korea is moving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Muslim, whose religion has a great influence on diet-related behaviors, is increasing in Korea. Since the number of immigrants from Indonesia ranks within top ten in Korea and Indonesia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slamic countries in Asia, understanding the diet-relate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Indonesians is need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related behaviors, factors affecting the diet-related perception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Indonesians. The subjects included 500 Indonesians dwelling in Jakarta, Indonesia. About ninety %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uslims. They did not eat pork and dog meat for religious reason and they practiced fasting during Ramadan period. Indonesians avoided pineapple, durian, and hot foods during pregnancy and usually ate vegetables and fruits after birth, which seemed to be due to sociocultural influence. Among the subjects, 21.5% were obese and major health problems reported were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Their preference for fried food items might have contributed to health problems. Subjects had meals mostly at home (2.3 times/day) and dined out occasionally (1.2 times/week) at Indonesian restaurants (56.6%) or family restaurants (21.0%). In conclusion, Indonesians had home-based and native food-oriented dietary life with strong religious and sociocultural influence on food choices. Further research on specific nutrient intake analysis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and to improve dietary life of Indonesians in Korea.

연변지역 탈북 아동 및 청소년의 체위와 식생활 양상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Dietary patterns of North Korean Migrant Children in China)

  • 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3호
    • /
    • pp.324-331
    • /
    • 2000
  • A deteriorating North Korean economy, coupled with a devastating natural disaster such as flooding and drought in recent years, brought about a severe food shortage and malnutrition problem which caused a migration of its population including young children to neighboring countries. We conducted a nutritional survey on a total of 436 children, aged 4-19 years old, who migrated to the China side of the border from July to September, 1999. The study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Korean-Chinese interviewers who were trained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dietary surveys. Heights, weights, and chest circumference of the subjects were 70-90% of the South Korean reference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age and sex. Dietary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extremely poor-the average number of food, mostly of plant origin, consumed in a day was 2.8, and the proportion of the subject who reported to take all three meals in a day while residing in North Korea was as low as 36.2%. Ninety five percent of the subjects had at least one clinical symptom related to malnutrition, 68.6% had 2-4 symptoms, and 15.1% had 5 or more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objective data for the first time on the severity of the food crisis and malnutrition problem that afflicted North Korea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as well as children aged 7 or under as previously reported elsewhere. the wasted and stunted children and youths prevailing in North Korea could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ountry's health and economy. More research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on the impact of malnutrition in North Korean children on the country'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tate as well as on the health and nutrition sit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