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활 교육

Search Result 78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urvey on Housewives' Consumption Pattern and Nutrition Knowledge about Vegetables (주부의 채소 소비형태 및 영양지식에 대한 연구)

  • Kang, Keum-Jee;Chung, Mi-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10 no.5
    • /
    • pp.377-390
    • /
    • 199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and nutrition knowledge about vegetables of 184 housewives attending the school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ttached to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vegetable expenses were $10,000{\sim}20,000$ won per week. The frequency of purchasing vegetables was $2{\sim}3$ times a week. Respondents usually bought the vegetables at local markets and supermarkets. As for buying vegetables, all of respondents kept in mind all the time the organic vegetables were better. The pri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ir purchase in the low income households. In the family, the vegetable dishes were favored by housewives most and by sons least. Among the vegetable cooking methods, Kimchi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salad was the least. Forty four percent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purchasing ready made vegetable dishes in the market. The reason they bought ready made ones was the special taste of the dishes. The rest of respondents never bought cooked vegetable dishes because they thought the dishes unsanitary. Twenty 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purchasing. The reason for not purchasing Kimchi was the housewives' traditional prejudice of buying Kimchi in the market. Respondents have a considerable knowledge that 42 kinds of vegetables could be good for certain disease and 10 kinds of vegetables might be harmful for certain disease.

  • PDF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영양표시 확인 여부에 따른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유용성 자각 비교)

  • Lee, Kyoung-Ae;Lee, Hyun-Jin;Park, Eu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9 no.2
    • /
    • pp.253-266
    • /
    • 2010
  • This study describes the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ling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demographic facto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among 282 college students, aged 21~23 years, in Busan Gyeongnam area. The subjects consisted of 150 of male (53.2%) and 132 of female (46.8%) students. 31.3% of male students and 50% of female students reported reading nutrition labelling always or usually, while 34.7% of male and 13.6% of femal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don't use nutrition labelling. Although most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 need of nutrition labelling,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ling and thei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ere not enough to apply the information from the nutrition labelling in their daily life, even in the subjects who reported reading nutrition labelling always or usually. This statement might be one of the reasons wh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divided by nutrition labelling use in regards to the dietary habit or snack eating habit in this study. Therefore,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labell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nutrition labelling use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ling in their daily life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dietary habit.

Food Habits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울산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 Jo, Jung-In;Kim, Hye-Ky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1 no.8
    • /
    • pp.797-808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food habits and snacking behaviors including health related behaviors. The subjects were 300 middle school students (144 boys and 156 gir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boys were 162.3 cm and 54.1 kg respectively. Those of girls were 159.8 cm and 49.0 kg respectively. 59.0% of the subjects of the subjects had 10,000-30,000 won as monthly allowances and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good (55.7%). In the regularity of meal, 47.0% of the subjects had twice a day, the main reason for skipping meal was insufficient time to eat due to oversleep (54.3%). Most of the subjects (75.0%) had a prejudice in food selection because of a bad taste. 62.0% of the subjects ate snack between meals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because they were hungry, good taste and habitual. The criteria of choosing snack were taste, nutrition and quality of food. Food as snacks they frequently had fruits, milk and milk products, cookies, chocolate in order. Boys had more french fries than girls, girls had more fruits, cookies and chocolate than boys. Average food habit score of boys (49.27 ${\pm}$ 7.53)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48.54 ${\pm}$ 7.81). The group who had a higher food habit score, they had more fruits and less soft drink as snacks, lower BMI, and also less monthly allowance than the group who had a lower food habit score.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uggests that nutrition education or counseling can improve food habits and develop positive behaviors toward healthy diets.

Association of delivered food consumption with dietary behaviors and obesity among young adults in Jeju (제주지역 젊은 성인의 배달음식 섭취실태와 식생활 및 비만과의 연관성)

  • Minjung Ko;Kyungho H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7 no.3
    • /
    • pp.336-348
    • /
    • 2024
  • Purpose: The use of food delivery services is increasing continuously in Korea, which may lead to nutritional problems and obesity. Despite this, the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livered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has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vered food consumption and dietary behaviors and obesity among young adults in Jeju.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o April 5, 2023; 312 participants aged 19-39 yea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requency, types, and time of delivered food consumption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The dietary behaviors included the following: eating out, breakfast consumption,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s, and eating salty foods, vegetables, and fruit. Obesity was defined using the body mass index based on self-reported body weight and height. Results: Approximately 59.3% of the participants ordered delivery foods more than one time/week. The frequency of delivered food consumption was higher in people who consumed breakfast < 5 times/week than those who consumed ≥ 5 times/week (p = 0.0088). People who usually eat salty foods tended to consume delivered food more frequently than those who did not (p = 0.0377).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consumed fruits ≥ 1 time/day had a higher frequency of delivered food consumption than those who consumed fruits < 1 time/day (p = 0.0110).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the group who consumed delivered foods more than three times/week had an increased odds ratio (OR) of obesity compared to those who consumed less one time/week (OR, 2.38; 95% confidence intervals, 1.12-5.06). Conclusion: Young adults in Jeju who frequently consume delivered foods tended to have poor dietary habits including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salty, and they had an increased odds of obesity. The overall dietary patterns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and developing policies to promote or support healthy food choices when ordering delivered foods or eating out.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Low Sodium Consumption among Housewives Living in Certain Regions of Seoul (서울시 일부 지역 주부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 Baek, Jae Yeon;Yi, Hae-Yeon;Hwang, Ji-Yun;Kim, Kir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6 no.10
    • /
    • pp.1243-1252
    • /
    • 2017
  • There are limited programs for low sodium intake based on the nutrition education model for housewives who cook family me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el-based nutrition programs for low sodium intake among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by incorporating social cognitive theory. A quest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conducted on 140 housewives who participated in the 'Low Sodium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delivered by a district public health center for 12 weeks from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The conten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items were based on the action plans for 'Less Sodium Healthy Practic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esults show that program participants showed a lower preference for sodium, higher selection of low sodium dishes from restaurants or cafeteria if available, and increased awareness of the need of restaurants to serve low sodium dishes compared to before. In terms of behavioral change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hecking nutrition labeling and selection of foods with low sodium, use of low sodium food products, use of natural seasonings to reduce salt intake, and consumption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On the other hand, requesting less salty meals when ordering and introducing restaurants or cafeterias with healthy and low sodium menus turned out to be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intake reduction for housewiv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environment recognition, and behaviors related to low sodium intake but not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practices for sodium intake reduc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implemented with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s for low sodium intake.

鐵鋼 溶接部의 균열發生과 그 試驗方法

  • 김영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4 no.3
    • /
    • pp.13-25
    • /
    • 1986
  • 철강 구조물의 용접기술에 있어 용접부의 신속성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용접균열에 관한 문제와 용접본드부의 취화에 관한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부 및 그 근방의 금속은 국부적으로 매우 높은 온도까지 급열된 후 급냉되므로, 용접부에서 각종균열의 발성 위험성이 높아지고 용접본드부를 취화하여 파양인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 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선택이나 설계, 시공, 검사의 각 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필 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이전보다 높은 강도의 고장력강재가 널리 사용되고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라 구속조건이 증대되며 구조물의 사용 조건은 더욱 가혹 화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철강 용접부에 발생하는 균열은 용접시공시 발생되는 균열과 용접완료후 구 조물 사용중에 발생되는 균열로 대별될 수 있다. 용접시공중 발생되는 균열은 용접열싸이클로 인해 생성되는 조직, 석출물등의 치금학적 요인과 잔유응력 또는 구속응력등의 역학적 요인이 중첩됨으로서 발생된다. 또한 사용중 발생되는 균열은 상기의 두 가지 요인이외에 환경적 요인이 첨가되어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용접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 구조물 용접 조립시의 각종 조건을 재현한 시험법을 통해 용접균열 발생의 한계조건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균열 시험의 결과, 적정한 용접 시공 조건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지금까지 다수의 용접균열 시험법에 관한 연구가 행하여져 왔고 그 중에는 각 국가의 협회나 학회의 규격으로 확립된 것도 많으며 국제규격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본 고에서는 각종균열들에 대한 지금까지 밝혀진 기구들에 대해 해설하고, 그 각각에 적용되고 있는 시험법들에 대해 소개하고저 한다.C1지구의 공업.생활용수는 103units, 33units로 배분되고, 하류지구에 304units로 배분되었다. 따라서 용도별로 물배분하므로서 금호강 하루지역에 더욱 많은 물을 배분할 수 있음을 알았다.통해서 수위-유량관계(rating curve)를 규명하였다. 시험지구의 관개효율 및 용수손실 규명 등에 관한 기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계측시스템의 운영은 장기간으로 지속 되어야 한다며, 전기전도도와 토양수 농도, 전기전도도와 함수량의 관계를 이용한 천이상태의 오염원 농도 측정방법을 개발하였다. 특히 제안식에서는 한계함수량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기전도도와 함수량관계를 추정하므로 추정식의 실험값 반영 정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식을 이용하여 추정된 전기전도도와 함수량관계는 다른 제안식에 비하여 개선된 결과를 보여 주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염원 농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함수량이 0.15이하에서는 측정오차가 크지만 함수량이 0.15이상일 경우 매우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질량평형을 검토한 결과 약 5-10%의 오차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된 천이상태의 오염원 농도측정법은 용존 오염물질의 이송에 관한 정확한 실험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발과 영양, 식습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와 교사가 자녀의 식생활 지도 관리를 돕고 가정과 교육기관이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 PDF

Non-Point Source Mitigation Analysis by Applying Riparian Area in Nakdong River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낙동강유역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 Han, Kun-Yeun;Kim, Dong-Il;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97-601
    • /
    • 2007
  • 1990년대 정부는 비점오염원 부하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5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그리고 영산강 이른바 4대강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조사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의 경우 처리시설만으로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성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과 제도적 관리방안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하고, 토지매수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토지매수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변화 해석 및 토지매수에 따른 최적 수변녹지대 조성을 위한 식생 효과를 분석 하였다. 수변구역 내의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이 수변구역(riparian buffer strip), 또는 수변완충구역(riparian buffer zone)을 조성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수변구역은 하천유역의 토양, 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하천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물에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의 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낙동강 수계에 수변구역 조성시의 수질개선효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위해서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유량 및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역내 수변구역을 조성시 수변구역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점오염원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로 대부분의 가정(家庭)은 아침 식사로 밥을 좋아하였다. (8) 편식을 고치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어린이 간식에 대하여는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2. 영양교육(營養敎育) 현황실태(現況實態) (1)식생활(食生活)에 필요한 지식(知識)은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통해서 대체로 얻고 있다. (2) 음식과 영양섭취와의 관계성이 있다고 답한 주부(主婦)는 70.8% 이었으며, 가족(家族)의 영양(營養)에 대하여 늘 생각하는 주부는 60% 이었다. 3. 식품섭취 빈도 거의 먹지 않는 식품(食品)으로 버터가 43.%로 가장 높았고, 육류의 섭취율이 낮았다. 반면,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Glycemic Index Recognition and Practice of Low-Glycemic-Index Diet by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in Some Rural Areas (일부 농촌 지역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가진 성인들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 Shin, Sae-Ron;Han, A Lum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9 no.2
    • /
    • pp.104-115
    • /
    • 2014
  • Background: The glycemic index (GI) indicates the rise in blood glucose caused by carbohydrate-containing foods. In Kore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adults have of GI.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GI knowledge among the korean adults. Methods: A questionnaire on the perspective of GI and experience in GI education, participational intent to learn, general knowledge level, and dietary practice was conducted among those living in agricultural areas. Respondents were visitors to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Results: When asked about the GI familiarity, the standard of educ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eases and GI, the diabetes group was better able to answer correctly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diabetes group showed either no difference or less correct responses for general knowledge of GI. With respect to their usual consideration and low GI dietary practice, the diabetes group provided higher responses than the other groups. On the whole, the diabetes group was better than the other groups for GI relative factor but none of the groups showed high levels for perspective, education, dietary practice of GI. Conclusions: The groups other than the diabetes group had a low perspective of GI, a lack of correct knowledge of GI, and did not follow a proper diet without considering GI. Even in the diabetes group the perspective, knowledge, and proper dietary practices were not adequate. Accordingly, further education of GI is necessary for diabetic patients,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also people without diseases.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by Weight Control Attemp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Wonju Area (원주지역 여고생의 체중감량 시도 여부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영양지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 Lee, Kyung-Won;Kim, Bok-Ra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4
    • /
    • pp.91-10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for total 503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Wonju area, Kangwon province, and thereby determine any potential effectiveness of their trials to reduce weight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own figure, daily living practices related to weight control,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ut of all respondents, it was found that 284 girl students(58.4%) ever tried to reduce weight, and both trial group(trying to reduce weight) and no-trial group were much interested in weight control(94.7% vs. 60.7%). But 85.2% of trial group and 50.3% of no-trial group were dissatisfied at their figure.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rial group practicing regular exercise was higher than that of no-trial group doing so(21.8% vs. 5.5%). Subjects scored 14.3 out of 20 on a nutrition knowledge scale, but tri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14.5) than no-trial group(13.9)(p<0.01). In particular, it was notable that trial group showed higher rate of correct answer in certain items such as balanced diet and knowledge about weight control. It was found that our all respondents showed moderate dietary behaviors, which is demonstrated by their mean score of 31.3 in dietary behaviors(possible score: $15{\sim}45$). Notab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roblems exposed in their dietary velocity, intake of various diets and intake frequency for each food group(dairy products, marine plants and vegetative oil and fat).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rial group taking diet with vegetative oil was higher than that of no-trial group.

  • PDF

청주지역 주부들의 수입식품 이용실태 및 분별능력

  • 김기남;박은진;손은미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4-1075
    • /
    • 2003
  • WTO 출범 이후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 중 수입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수입식품 자체의 위해성과 수입농산물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부족하여 올바른 구입과 소비가 어렵게 되어 피해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수입식품 이용과 인식도 및 수입식품 분별능력의 조사를 통하여, 교육의 필요성여부를 검토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청주시에 거주하는 주부 183명이었고, 조사기간은 2003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품구입시 태도, 수입식품 구입 경험, 수입식품에 대한 인식도,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분별력 테스트로 구성되었으며, 인식도는 5점 척도에 의해 조사되었다. 사용된 통계처리 방법은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Chi-square 또는 ANOVA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과 수입산 표시의 확인여부는 응답자의 92.3%가 확인한다고 응답하였고,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99.5%가 국내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주된 이유로는 ‘수입산은 유해물질이 많으므로’라는 응답이 46.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수입식품 구입경험의 유무로는 92.3%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구입동기에 대해 ‘수입산이 시중에 많아 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61.6%로 가장 많았다. 또한 수입식품을 국산식품으로 혼동하여 구입한 경험으로는 응답자의 76%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혼동한 이유로는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49.6%, ‘수입산과 국내산의 표시가 명확하지 않아서’ 41%를 차지했다. 국내산과 수입산 표시에 대한 신뢰도는 89.7%가 대체로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허위표시에 대한 보도를 많이 접해서’가 56.l%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수입식품의 인식도를 품질, 가격, 포장 용기, 맛, 조리편리성, 안전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7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수입식품의 품질과 맛에서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나쁘다고 인지하였고, 가격은 수입식품이 싸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연령과 유의성을 보였다(p <0.01). 포장 용기와 조리편리성에 대해서는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좋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조리편리성은 학력과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안전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나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분별정도는 66.1%가 구별하는 능력이 언다고 응답하였다. 분별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이 61.7%로 가장 많았다. 수입식품에 관한 교육을 받을 의향에 있어서 61.5%가 ‘예’라고 응답하였고, 필요한 교육에 대해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의 분별법에 관한 내용’이 75.4%로 가장 많았다. 수입식품 분별력 테스트에 있어서는 40점 만점에 평균이 13.6 $\pm$ 7.4점으로 낮았고, 분별력이 가장 좋은 품목은 고사리(53.6%), 분별력이 가장 낮은 품목은 고춧가루(40.4%)로 나타났다. 분별정도에 있어서 ‘매우 잘 구별한다’고 응답한 사람일수록 분별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주부들이 자신의 분별능력에 대해 매우 잘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입산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구입경험이 있고, 분별력 점수도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국내 소비자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는 수입식품과 국내식품의 특징 및 분별법에 대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이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져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