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managemen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by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commun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the Braun-Blanquet's method.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of Uido (I.) was composed with 9 communities as follows :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Zoysia macrostachya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Iachaemum anthephoroides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Messerschmidia sibiric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e evergreen needle-leaved forest. The constancy degree showed high in Calystegia soldanella (77%), Vitex rotundifolia (74%), Carex kobomugi (66%), Zoysia macrostachya (50%)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47%). However the highest constancy degree Calystegia soldanella has, it turned out to have low net contribution degree (NCD) in each community.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and growth feature of the composition species in the coastal sand dune, Vitex rotundifolia, Carex kobomuri and Zoysia macrostachya were widely distributed from unstable sand dune to stable one but Iachaemum anthephoroides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were mainly found at the stable sand dune. Carex kobomugi was especially dominant at the unstable sand dune where the sand continued to be deposited. On the other hand, Carer pumila and Messerschmidia sibirica showed regional distributions around fresh wat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22
no.4
/
pp.86-101
/
2019
Remote sensing technology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cluding platform development, exploration area, and exploration functions. Recently, the use cases and related researches in the agricultural field are increasing. Also, since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quantify the condition of cropland and establish management plans and policy support for cropland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it is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rop growth abnormality determination and crop estimation based on time series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egetation index for agricultural land reclamation area using a UAV equipped with a multi-spectral sensor. In additio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vegetation indices calculated from multispectral image data obtained using UAV. The most appropriate vegetation index was derived by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index calculated by field survey and vegetation index calculated from UAV multispectral image, and was used to analyze vegetation index of the entire area.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v.49
no.2
/
pp.83-89
/
2012
Natural Vegetation cover, which is very important earth resource, has been significantly altered by humans in some manner. Since this has currently resulted in a significant effect on global climate, various studies on vegetation environment including forest have been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utilized in policy decision making. Remotely sensed data can detect, identify and map vegetation cover change based on the analysis of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thus are vigorously utilized for monitoring vegetation resources. Among various vegetation indices extracted from spectral reponses of remotely sensed data, NDVI is the most popular index which provides a measure of how much photosynthetically active vegetation is present in the scene. In this study, for change detection in vegetation cover, a Multi-layer Perceptron Network (MLPN) as a nonparametric approach has been designed and applied to MODIS/Aqua vegetation indices 16-day L3 global 250m SIN Grid(v005) (MYD13Q1) data. The feature vector for change detection is constructed with the direct NDVI diffenrence at a pixel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some subset of NDVI series data. The research covered 5 years (2006-20110) over Korean peninsular.
Jung Won Sung;Chae Rim Lee;Se Min Byun;Won-Seok Kang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2022.09a
/
pp.38-38
/
2022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되는 대형 산불의 원인은 건조주의보, 영동지역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 소나무의 단순림, 임도 유무와 상태 등을 들고 있다. 조사 대상지인 삼척 검봉산 일대는 기존 소나무가 우점하는 곳으로 2001년 복원을 위해 소나무, 곰솔, 굴참나무 등을 조림하였고, 일부는 자연복원을 하였다. 복원 이후 21년 지난 현재 삼척 검봉산 일대 산불피해 복원지역의 식생은 크게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피해지 식생 회복은 굴참나무, 소나무, 곰솔 등 조림으로 현재 식생은 산불 발생 이전의 임상으로 회복되고 있다. 특히, 산불의 유형 중 지표화 피해지역은 하층 식생의 피해가 크다. 기존의 소나무는 결실된 종자를 비산하여 치수를 발생시켜 자연복원의 속도를 높이고 굴참나무를 활용한 인공복원은 맹아를 발달시켜 본인의 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을 지니고 있다. 단, 입지적 환경이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에서 숲에서 재생 기작이 진행되는 자연복원보다는 인공복원이 회복시간과 종다양성이 높은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식생군락을 분류한 결과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으로 3개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인공복원지에 식재한 굴참나무, 소나무, 곰솔은 복원 이후 지속적으로 해당지역의 식생이 우점종으로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의 경우 참나무과 식물인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졸참나무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자연유입되고 있어 향후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활엽수림으로 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락의 종다양도지수는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침엽수림인 곰솔소나무군락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산불피해지 식생은 조림수종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21년이 지난 현재 산불 이전 임상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향후, 효과적인 복원을 위한 DB구축 및 모니터링자료 마련을 위해 산불피해지에 대한 지속적인 식생조사를 통한 자료구축이 필요하다.
Kim, Hyea-Ju;Shin, Beom-Kyun;You, Young-Han;Kim, Chang-Hw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2
no.5
/
pp.564-594
/
2008
For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in summer from $2006{\sim}2007$, 25 places of stream area in Korea, which were not affected by human,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variable environmental factors. Plant surveys were performed in five qaudrats per each place of stream area(stream length=about 1km) on the basis of Braun-Blanquet(1964) and in four belt(length=20m) per each place of stream area by using belt-transect method in order to study the vegetation of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water. In the results of the plant survey, the common plant communities in the mid-northern district(latitude$37^{\circ}37.9^{\circ}N$) wer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with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liena), and the common plant communities in the southern district(latitude$35^{\circ}35.9^{\circ}N$) were Quercus serrata community, Styrax japonic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The common plant communities in the central district(latitude$36^{\circ}36.9^{\circ}N$) were Quercus serrata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which have the middle characteristic between mid-northern and southern district. Also,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appearance of plant species in the survey places of stream area, Eco regio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but for the plan to restore flood plai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vegetation of potential natural stream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y cases considering variabl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futur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2015.07a
/
pp.183-185
/
2015
반폐쇄해역에서는 해수교환이 어렵고 육상에서 유입부하와 적조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항상 수질과 저질이 악화되기 쉬운 환경에 처해 있어서 이의 개선을 위한 일환으로 해양식물(잘피)의 서식환경을 복원하여 해양정화에 기여하기 위한 친환경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양한 해상환경조건하에서 잘피의 서식은 변화므로 특히, 파랑의 극한 외력여건에 견디는 친환경 잘피 지지구조물 기술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잘피장 조성의 기반기술로 해양식생 지지용 바이오 블록을 개발하고 특히, 관광지 및 해양클러스터 단지로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영도해역에서 영도구가 야심차게 준비해오고 있는 해상낚시터 인근해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블록의 현장시범거치를 통해 잘피 등 해양식생을 유도하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대상구역에서의 파랑해석과 식생 조성 후에 파랑의 반응특성을 수치모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계산 결과는 대상지역에 적용할 사면 피복재로 바이오 블록의 규격을 결정하는데 반영될 것이며 후속 연구에서 실제블록의 제작과 현장거치를 수행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part of Tamil Nadu, India. Also, Landsat ETM+ image and field sampling data were acquired. The field data were basal area, number of trees and number of species. Using the data set, this study performed a three steps processing, (1) Image classification (2) extracting the vegetation indices(NDVI, Tasseled cap brightness, greenness and wetness) (3) mapping the prediction of biodiversity distribution using basal area and NDVI image value. Basal are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DVI.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showed 69% overall accuracy.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23.05a
/
pp.139-139
/
2023
산사태는 사면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토사재해이다. 그리고 산사태가 발생하여 사면이 붕괴하였을 때 동반되어 나타나는 토석류는 지형 변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한다. 산사태와 토석류가 도시나 농촌 등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 발생할 경우 직접적인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며, 댐이나 저수지가 위치한 유역에서 발생할 경우 댐/저수지에 토사가 유입되어 유효저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시설물의 기능을 저하할 수 있다. 댐/저수지의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하고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치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한국은 국토 70%의 산지에 약 18,000개의 댐과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으나, 댐과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댐이나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토석류로 인해 해당 시설물에 발생하는 피해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수치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산지에서 발생하는 토사재해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식생을 고려하기 위한 분포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사면 안정성 및 토석류 유동에 있어서 식생의 영향을 파악하였습니다.
The result of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could be quite different and dependant on analysi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alyzed results for three kinds of methods (physiognomy dominant species, floristic composition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related to vegetation classification.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by the 80 quadrates in Mt. Oseo, Chungcheongnam-do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6. We carried out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using above three methods. As a result, the vegetation according to physiognomy dominant species was classified into ten communities such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Zelkova serrat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Larix kaempferi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Liriodendron tulipifera community. The vegetation according to floristic composition was classified into 4 vegetation units. It was totally represented by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group. And L. erythrocarpa community group was classified into the 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subdivided R. mucronulatum typical group and Styrax obassia group) and Zelkova serrata community (subdivided Larix kaempferi group and Pseudostellaria palibiniana group). As a result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forest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vegetation type by floristic composition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significant could be affected by topography. There were lots of vegetation groups or units in the order like 10 types of communities by the physiognomy dominant species, 8 species group and 4 vegetation types by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2 types by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In conclusion, vegetation classification methods elicited diverse vegetation groups or units with lots of correlations of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distributional condition of rare plants and useful plant resources, and to verify distributional patterns of understory vegetation associated with the upper layer's vegetation structure. Total 59 families, 160 genera, 218 kinds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at the study site including 6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Lloydia triflora Bak., Trillium kamtschaticum Pall., Lilium distichum Nakai, Anemone koraiensis Nakai, Iris odaesanensis Y.N. Lee, Viola diamantica Nakai). Twenty three species of useful plant resources were also identified at the site; 8 of them showed clustered distributions and the others were prone to scatter. Actual vegetation of this study area consisted of one natural community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Fisch. and three disturbed communities of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Abies holophylla Max. and/or a herbaceous vegetation resulting from forest removal and strong wind of mountain top. This classification was strongly supported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urveyed plot data. Distributional patterns of understory vegetation within forest stand were somewhat related to overstory vegetation structure, but showed a different tendency according to site condition, species composition, and competitive pressure among understory veget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important understory components as forest genetic resources, forest treatments such as density control of overstory should be implanted based on understanding of impact on understory's dynamics and growing conditio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