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환경

Search Result 2,3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to Develop Monthly C Factor Database for Monthly Soil Loss Estimation (월단위 토양유실량 산정을 위한 식생피복인자 산정 방안 연구)

  • Sung, Yunsoo;Kum, Donghyuk;Lim, kyoung Jae;Kim, Jonggun;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9-279
    • /
    • 2017
  • 토양유실로 인해 발생된 토사는 강우 유출수와 함께 하류로 흘러들어 하천 및 호소의 탁수문제를 야기시킨다. 토양유실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과 피복되어 있는 작물 등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므로 토양유실량 산정 및 유사거동특성을 계산하는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모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범용토양유실량산정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은 5개의 인자를 사용하여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정한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에 표토침식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USLE 공식을 사용한다. USLE 모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식생피복인자는 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작물에 대한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어 밭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토양유실현황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USLE 모형의 구성인자인 식생피복인자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유역별 월단위 인자값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의 4대상 유역 중 대청호 유역, 소양호 유역, 주암호 유역,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여 각 유역의 기후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였다.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기 위해 SWAT모형을 사용하여 일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출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구축된 인자의 지역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4대강 유역에 대한 작물 재배일정을 조사하여 모형에 반영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산정된 월단위 식생피복 인자는 모든 작물에 대해 작물이 파종되는 시점에서 수확되기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작물에 따라서 그리고 동일한 작물일지라도 유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는 토양유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피복변화를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로써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asonal variations of CO2 concentration and flux i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environments o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ong Bay (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

  • So, Yoon Hwan;Kang, Dong-hwan;Kwon, Byung Hyuk;Kim, Park Sa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4
    • /
    • pp.257-266
    • /
    • 2019
  • In this study, we selected 6 vegetation sites (reed community) and 6 non-vegetation sites (tidal flat) i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eong Bay, and observed seasonal changes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lux and soil temperature at low tide condi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changes i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areas through the data observed in May 30, August 8, 2012 and January 31, 2013. The averag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getation area was the highest in winter, followed by spring and summer, and the non-vegetation area showed the same concentration change as the vegetation area. The carbon dioxide flux in the vegetation area showed a positive (+) value in both spring and summer, but it was negative (-) in the winter. The average value of carbon dioxide flux was the highest in spring, but it was almost similar to summer, and winter was the lowest negative value. Non-vegetation areas showed positive emission in spring, and negative uptake in summer and winter; mean values were the highest in spr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was small. In summary of seasonal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area,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was dominant in both areas in spring. In summer, carbon dioxide emission was dominant in the vegetation area, and the non-vegetation area was observed to uptake by photosynthesis of phytoplankton, but it was very small. In winter, changes in flux in both areas were very slight.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 Kim, Ho-Jin;Shin, Jae-Kwon;Lee, Cheol-Ho;Yun, Chung-W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2
    • /
    • pp.202-21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for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ecological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by 41 plots from June to November in 2016 using Z-M phytosociology method, which was analyzed with vegetation types, mean importance value and coincidence method. As the result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including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Vegetation unit 3), Quercus variabilis community(Vegetation unit 4) and Q. mongolica community(Vegetation unit 5). C. controversa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group(Vegetation unit 1)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group(Vegetation unit 2). Mean importance percentage of vegetation unit 1 was showing Fraxinus rhynchophylla 14.9%, Morus bombycis 8.7% and Acer pictum subsp. mono 8.3%, that of unit 2 was Larix kaempferi 23.2%, C. controversa 20.1% and P. tricuspidata 6.5%, that of unit 3 was Q. mongolica 15.8%, C. crenata 13.4% and F. rhynchophylla 9.8%, that of unit 4 was Q. mongolica 26.6%, Q. variabilis 20.8% and Pinus densiflora 16.7%, that of unit 5 was Q. mongolica 48.3%, Styrax obassia 7.5%, F. rhynchophylla 5.3% in the order, respectively. Each vegetation unit was classified with dependance on environmental factors as 700m of altitude, $20^{\circ}$ of slope degree, middle slope of topography, 20% of bare rock, 30 taxa of present species, 80% of tree layer coverage rate and 20m of tree layer height. In conclusion, it was preferentially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peculiar and specific management methods with vegetation unit classified above should be needed for ecological and sustainable forest vegetation management.

Application of Physical River Assessment System in Naeseongcheon (내성천에 대한 물리적 하천 평가시스템 적용)

  • Jung, Hye Ryeon;Kim, Ki 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3-567
    • /
    • 2015
  • 우리나라 하천관리의 패러다임은 1990년대 이후 기존의 치수 및 이수능력을 고려함과 동시에 하천환경의 보전 및 복원을 새로운 목표로 설정한 자연친화적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하천법령 및 제도적 측면에서도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및 유역 종합 치수계획은 하천의 환경보전 및 다목적 이용계획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국내 하천법에 따르면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한 자연친화적 하천조성 및 이와 관련된 보전지구 지정 등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천설계기준, 자연 친화적 하천관리에 관한 통합지침, 또는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서 적용하고 있는 하천환경조사 및 평가지표는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가 명확하지 않는 등 국가차원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미국, 독일, 영국, 호주 등 선진국들은 하천환경 복원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복원사업의 타당성 제고 및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위하여 그들 국가의 하천특성에 적합한 하천환경 평가 체계를 구축한 바 있으며, 이들 평가체계는 새로운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축적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Fujita의 유형화(Segment 분류)법에 의하면, 하천구간(Segment)은 하상경사, 하상재료, 식생, 생태 등이 통계적으로 동질인 하천 구간으로서, 하도 특성과 하천생태계 공간을 구분하는 단위이다. 자연하천에서 동일한 경사를 갖는 하천구간은 하상재료, 소류력, 저수로 폭, 수심 등이 대체로 동일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도 특성을 지배하는 주요 인자로 각 하천의 평균 연최대유량, 하상재료의 대표입경, 하상경사 등을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간을 유형화하는 기준을 하상경사로 적용하여 평가단위를 분류하였으며, 평가체계는 미국의 USEPA를 한국형 하천환경에 맞도록 수정보완 하였다. 특히 미국의 USEPA의 지표 중 하안영역의 식생피복, 하반림 등은 생물분야 식생영역과 상충되어 제외하고 우리나라 특성에 적합한 하천횡단형상, 하천횡단 구조물 등의 평가기준을 재정립하여 내성천에 평가적용 분석하였다. 하천환경의 수리 및 하도 특성 평가기준 개발에 따라 평가체계의 개념적 틀을 토대로 통합적이고 표준화된 한국형 하천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나아가 하천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한 하천복원사업의 장 단기적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실무지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