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파괴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y on the Environmental Flow for Ecosystems at Hwangryong River (황룡강의 생태계를 고려한 환경유량 연구)

  • Kang, Myung-Sung;Park, Nam-Hee;Lee, Jeong-U;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60-864
    • /
    • 2010
  • 하천은 유속과 수심을 변화시키는 환경과 수역에서 고수부지까지의 다양한 지형변화, 홍수에 의한 파괴와 재생 등 하천 특유의 조건을 가지고 있어 여러 생물이 공존하여 살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근래 하천은 친수성을 높이고 하천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친화적인 하천으로 개발 방향이 바뀌고 있지만, 생물 서식처 기능 보다는 친수성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도입을 원하는 식생에 대한 환경유량을 분석하여 도입 가능한 하천 영역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지역은 황룡강이며 지형자료는 HEC-RAS의 횡단자료를 이용하여 유한요소망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하천 식생을 고려한 환경유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HEC-EFM을 이용하였다. 연구지역의 수위-유량자료, 도입 가능한 식생의 Life Cycle을 분석하여 HEC-EFM에 입력하여 환경유량을 계산하였다. 산정한 환경유량을 HEC-RAS모형으로 모의하여 환경유량에 맞는 수위 유량을 계산하고 이 결과를 HEC-GeoRAS모형을 이용하여 도입 가능한 영역을 시각화 하였다.

  • PDF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 Islets (매물도${\cdot}$소매물도${\cdot}$어유도의 식생)

  • Kim, In-Taek;Lee, Ji-Hoon;Jin, Young-Gy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3
    • /
    • pp.217-221
    • /
    • 2000
  •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 islets in Tongyeong-si was investigated from September, 1996 through August, 1997.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this islets, synthesis table, actual vegetation map were prepared. The predominant species of the islets was Camellia japonica. and the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was classfied into 4 communties (included 1 afforestation) and 7 subcommunities 1 . Camellia japonica community 1) Typical subcommunity 2) Machilus thunbergii subcommunity 3)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subcommunity 4) Ligustrum obtusifolium subcommunity 5) Carpinus coreana subcommunity 6) Selaginella tamariscina subcommunity 7) Pinus thunbergii subcommunity 2. Pinus thunbergii community 3. Alnus firma afforestation 4.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 PDF

Desirable Strategy of Dam Operation consider to Downstream Ecosystem (하류 하천환경을 고려한 바람직한 댐 운영방향)

  • Lee, Yo-Sang;Lee, Gwang-Man;Lee, Eul-Lae;Park, Jin-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89-1993
    • /
    • 2009
  • 댐의 조절방류가 하류 하천생태에 미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다. 하류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은 댐에서의 거리, 유황의 변화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흐르는 물에 서식하는 물고기는 좋아하는 수심, 유속 및 하상재질 등을 이용하여 살아간다. 다만 생물상은 주변환경에 적응하거나 변화하는 능력이 있어 댐의 조절방류에 의한 수생태계 변화구조를 명확히 해석하기는 불가능하다(Power et al., 1988). 댐에 의한 일정방류는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며, 보다 변동성이 큰 방류하천은 하천, 연안 및 생물상 변화 유도에 긍정적인 것은 사실이다. 또한 큰 규모의 홍수파는 하천지형의 동적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하천을 터전으로 서식하는 동물상을 위한 생태학적 여건을 개선시켜 주게 된다. 이는 주변 식생의 생태적 조건 변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2번 정도의 홍수파방류는 하천주변 서식처의 다양성 변화에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ndolf and Wilcock, 1996). 최근들어 댐 하류하천의 생태복원을 위해 연속적인 홍수파 방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Stanford et al, 1996) 자연하도에서 댐과 같은 구조물에 의한 유량조절은 하중도나 사주 등을 발달시키고 사주에서는 두꺼운 식생층이 형성될 뿐만아니라 수목군의 현저한 출현을 보여준다. 이렇게 사주나 식생이 고착됨에 따라 이의 저항을 피해가는 수로가 형성되고 저수로 구간외에서는 식생의 발달이 더욱 왕성해져 그 면적이 확대되고 있다. 결국 사주와 사주가 식생으로 연결되고 여기에 수목이 자라면서 웬만한 홍수에도 파괴되지 않는 거대한 식생대가 출현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하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또한 댐에 의한 퇴사의 차단은 하천지형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식생의 발달과 함께 저수도부는 좁아지고 세굴에 의해 깊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와같은 현상들은 수문특성의 변화에 의하여 결국 댐의 조절방류에 의한 수문 변화는 하천지형의 변화를 유발하고 하천지형의 변화는 하천환경에 변화를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댐이 건설된 지역에서 조사된 몇몇의 자료를 분석하여 댐건설후에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댐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LANDSAT Images of Estimated Vegetation Index and Paddy Area (수도경작지 식생변화 추정을 위한 여주, 양평, 광주 LANDSAT 데이터 분석)

  • Jung, Won-Kyo;Rim, Sang-Kyu;Shin, Jae-S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2
    • /
    • pp.135-139
    • /
    • 1997
  • Vegetation indices were analyzed from the LANDSAT images of Yeoju, Kwangju and Yangpyong Gun of Kyunggi Province, obtained on September 22, 1983 and September 12, 1994, to evaluate the changes in landu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able changes in the landuses in the observed area over 11 years. Particularly, in Choweol Myun of Kwanju Gun, in Yangpyong Eup of Yangpyong Gun, and in Heungcheon Myun of Yeoju Gun, decrease in the area under vegetatin was most remarkable. These changes in the area under vegetatin ar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e construction of highways and the expansion of urban areas. The LANDSAT images overestimated the area under rice cultivation, when compared to the official statistic year book.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reas of the land under rice cultivation estimated by LANDSAT images for each Myun were close enough to those from the official statistics suggesting that the LANDSAT images can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landuse status.

  • PDF

Determination of Permissible Shear Stresses on Vegetation Mats by Soil Loss Evaluation (토양 손실 평가에 의한 식생매트의 허용 소류력 결정)

  • Lee, Du Han;Rhee, Dong Sop;Kim, M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1
    • /
    • pp.5956-5963
    • /
    • 2013
  • By the activation of environment-friendly river works, application of vegetation mats is increasing, however, evaluation techniques for hydraulic stability of vegetation mats are not presented.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velop the objective test method for vegetation mats. Two kind of vegetation mats are tested by the real scale experiments, and hydraulic quantities are measured and analyzed to evaluate acting shear stresses. To evaluate soil loss, Terrestrial 3D LiDAR measurement is conducted and soil loss index are calculated from changes of bed elevation. Quantified evaluation for permissible shear stresses is conducted by graphical method for acting shear stresses and soil loss index. By the results of precision survey, changes of sub soil are limited to local range in stable cases and relatively large changes of sub soil which is similar to natural river bed are detected in unstable cases. From the study, evaluation of permissible shear stresses by ASTM D 6040 is avaliable in the failure mechanism and failure criteria by soil loss index.

Video Strip Mapping (VSM) and Patch Dynamics Analysis for Revegetation Monitoring of a Pipeline Route (송유관선로의 식생복원 감시를 위한 비디오선형지도화 및 patch dynamics분석)

  • Jung-Sup Um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3
    • /
    • pp.435-446
    • /
    • 1998
  • This Paper reports that a new remote sensing techlique focused on a narrow and long strip target (e.g. 15m wide and 100km long) has been specifically developed for pipeline ROW (Right-Of-Way) recovery monitoring. With video it was possible to isolate the maior vegetation communities of the narrow pipeline ROW with acceptable spatial precision by visual or quantitative methods. It was particuarly useful when used to assess a variety of spatial patch dynamics for ROW recovery through digital change-detection techniques in a GIS environment. The main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VSM is a realistic operational technique for a pipeline ROW applica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VSM could be extensively used for other examples of linear thematic mapping.

  • PDF

Natural Grassland in Korea (한국의 자연초지)

  • 이성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48-55
    • /
    • 1992
  • 자연초원(natural grassland)은 연간 강수량이 $250\sim1000mm$, 기온이 $0\sim26^{\circ}C$인 지역에서 형성되는 기후극상의 식생으로써 초본식물, 특히 벼과식물이 우점되어 있다. 이 자연초원은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온대초원 열대초원, steppe, prairie, pampa등으로, 식물의 초고에 따라 장초형 초원 단초형초원으로 분류한다. 한국에는 연간 강수량이 많고 연평균기온이 높아서 기후 극상의 자연초원은 성립되지 못하고 식생천이의 도중상으로 소규모의 초본식물군락이 나타난다. 이들은 주로 방치된 경작지나 경작지주변의 인간간섭이 많은곳, 해수나 강물의 영향으로 나무가 생장할 수 없는 곳에 식생천이의 도중상으로 나타나거나, 산림이 산불이나 벌목으로 파괴된 곳에서 제2차천이의 과정으로 초본식물군락이 출현하는데 이것을 야초지(native grassland)라고 한다. 특히 야초지에 가축을 사육할 목적으로 목초를 재배하여 이용할 때는 초지라고 한다. 한국의 야초지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우점초종은 억새, 새, 솔새, 잔디, 갈대, 쑥 등이며 건조하고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C-4형 식물이, 수분이 많고 서늘한 봄과 가을에는 C-3형 식물이 높은 생산성을 나타낸다. 야초지는 지표면을 피복하여 바람이나 빗물에 의한 토양침식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초식동물의 먹이를 생산하고 자연경관을 아름답게 가꾸어 주는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으나 공장부지 주택지 농업용지등으로 개발되어 없어지고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황폐화 되고 있다. 야초지를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생장이 빠르고 생산성이 높은 우수한 목초를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방법으로는 겉뿌림초지조성법, 제경법, 시비법이 이용된다.

  • PDF

Review of hydraulic stability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of revetment technology using biopolymer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호안 조성 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및 환경성 검토)

  • Dong Jin Lee;Hong Kyu Ahn;Joon Gu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5-485
    • /
    • 2023
  • 지금까지 하천에 적용된 호안 조성 기술은 급격한 홍수로 인해 쉽게 유실 및 파괴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리적으로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환경적으로 무해한 호안 조성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개발기술은 무독성 소재인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자연 친화적인 호안 조성 기술로써 본 연구에서는 수리적 안정성과 환경성을 검토해 보았다. 개발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한계유속 및 허용소류력 실험 결과 유속 8.0 m/s, 최대 허용 소류력 67.25 kgf/m2 (659.05 N/m2)에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기존 하천에 적용한 기술보다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생이탈 실험 결과 유속 8.0 m/s에서 식생 피복 전체 면적의 75~85%에서 식생 이탈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기술의 환경성 검증을 위하여 시범사업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수질이 양호하고 점차 식생이 이입, 정착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수서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개발 기술의 환경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ng Cross-correlation of GOSAT CO2 Concentration with MODIS NDVI Pattern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에서 GOSAT CO2와 MODIS 식생지수 분포의 상관성 분석)

  • Choi, Jin Ho;Joo, Seung Min;Um, Jung Sup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5
    • /
    • pp.15-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CO_2$ concentration and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n North East Asi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to evaluate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GOSAT (Greenhouse Observing SATellite) $CO_2$ measurement and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vegetation index. The results reveals that $CO_2$ concentration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NDVI. The analysis of Global Morans' I index and Anselin Local Morasn's I showed spatial auto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patial pattern of $CO_2$ and NDVI. Ultimately, there were clustered patterns in both data sets. The results show tha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hows non-random distribution patterns in relation to NDVI clusters, which proves that intense development activities such as deforestation are influencing carbon dioxide emission across the area of analysis. However, a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varies depending on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artificial sources, plant respiration, and the absorption and discharge of the ocean,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among more related variables.

Effect on the Temperature in Forest Dominant Vegetation Change (산림 우점식생 변화가 온도에 미치는 영향)

  • An, Mi-Yeon;Hong, Suk-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1
    • /
    • pp.97-104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orest type changes in Daegu, the hottest city in Korea,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The LST change by forest type was analyzed by 2scene of Landsat TM image from 1990 to 2007. The land cov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forest areas, urban areas, cultivated areas and other areas, and water areas. The forest area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coniferous tree areas and the broadleaf tree areas.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ST change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showed that the LST increased when the forest was changed to the urban area. The LST increased by about $0.6^{\circ}C$ when a broadleaf tree area was changed to an urban area and about $0.2^{\circ}C$ when a coniferous tree area was changed to an urban area. This was the temperature change as the result of the simple type change for 17 years. The temperature change was larger when considering both cases of the forest type being retained and changed. The LST increased by $2.3^{\circ}C$ more when the broadleaf tree areas were changed to the urban areas than when broadleaf trees were maintained. The LST increased by $1.9^{\circ}C$ more when the coniferous tree areas were changed to the urban areas than when the coniferous tree areas were maintained. The LST increased by $0.4^{\circ}C$ more when the broadleaf tree areas were destroyed than when the coniferous tree areas were destroy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tection of broadleaf trees in urban forests was more effective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