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토낭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Behavior of Full Scaled Geobag Retaining Wall Structure by Field Pilot Test (현장실험을 통한 식생토낭 보강토벽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 Shin, Eun-Chul;Park, Kyung-Won;Shin, Hui-su;Ham, Ky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6 no.4
    • /
    • pp.21-31
    • /
    • 2017
  • Geobag method is an eco-friendly method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structure as a kind of geosynthetic reinforced retaining walls. In this study, evaluated behavior of full scaled geobag retaining wall about four different types of geobag retaining walls, that is, non-compacted geobags wall, compacted geobag wall, combination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laied geobags wall, gabion and geobag wall were constructed in the field with instru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measurement, transversal layered geobag wall for non-compacted case was displaced 30% more than that of mixed gabion wall. Also, the more than 2m geobag walls without reinforcement at the backfill area are turned out to be unstable in terms of wall displacement. On the one hand,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for all geobag retaining walls sites show within the range of Rankine's and Coulomb's earth pressure after construction. But after intensity rainfall, the transversal laied geobag walls significantly increment of soil pressure. The geobag walls which constructed in the way of mixed wall systems such as gabion and geobag,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laied geobags are much stable with comparison of transversal laied geobag wall.

Dynamic Active Earth Pressure of Gabion-Geotextile Bag Retaining Wall System Using Large Scale Shaking Table Test (진동대 실험을 이용한 게비온-식생토낭 옹벽 시스템의 동적주동토압 산정)

  • Kim, Da Been;Shin, Eun Chul;Park, Jeong Ju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2
    • /
    • pp.15-26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shearing strength of geotextile bag, connecting materials and gabion. A largescale shaking take tests were conducted to assess kinetic characteristics of gabion-geotextile bag retaining wall. Based on the results of large-scale shaking table test, dynamic characteristics of gabion-geotextile bag retaining wall structure against acceleration, displacement, and earth pressure were also analyzed. The increments of dynamic active earth pressure were determined to be (0.376-0.377)H at 1:0.3 slope and $(0.154-0.44)g_n$ earthquake acceleration, and (0.389-0.393)H at 1:1 slope, suggesting that the increments tend to rise as the slope decreases.

The Study on the Quantification of Pollution Load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오염부하 저감효과 정량화 연구)

  • Jeong, Hyeonyong;Kum, Donghyuk;Yu, Nayeong;Woo, Soomi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3-313
    • /
    • 2021
  • 남·북한강 상류 수계에는 만대지구, 가아지구, 자운지구, 도암호유역, 골지천유역, 대기지구 등 총 6개의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관리대책 및 시행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등의 원인으로 뚜렷한 비점오염 저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개별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명확한 저감효율이 정량화되지 않아 탁수저감 기여도 및 효율성 평가 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별 저감효율 제시가 미흡하였던 시설 중 돌망태, 식생토낭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감효율 평가를 위해 경사도 3%, 사면 폭 4 m, 사면길이 22 m의 시험포를 조성하였다. 강우시 발생하는 유출수를 대조구와 비교하였으며, 영농시기를 고려하여 영농작업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제거효율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SS항목은 80.5%와 73.7%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1.2%, 60.2%, T-N은 70.5%, 64.7%, T-P는 63.7%, 63.1%로 나타났다. TOC는 46.8%, 38.8%로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감효율이 나타났다. 부하량합산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T-N 항목은 78.6%와 70.8%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7.5%, 65.4%, SS는 76.7%, 67.8%, T-P는 68.4%, 63.7%로 나타났다. TOC는 62.7%, 44.6%로 시설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거효율법과 부하량합산법을 이용하여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40%이상의 저감효율이 나타났으며, 돌망태가 식생토낭에 비해 저감효과가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사면의 흙탕물 저감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가 우선되어지나, 탁수저감 기여도 및 저감효율 제시를 위한 정량화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유역 내 오염물질 발생 모의를 위한 모델링의 기초차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