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이입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uccessional Trends and Vegetation Types in the Baramjae Area of Baekdudaegan (백두대간 바람재일대 식생유형 및 천이경향)

  • Kim, Ji-Dong;Lee, Jun-Woo;Park, Byeong-Joo;Lee, Hye Jung;Lee, Dong-Hyuk;Heo, Tae-Im;Byeon, Jun-Gi;Ahn, Ji 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3
    • /
    • pp.249-2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succession by vegetation type after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in the Baramjae area. Vegetation of the Baramjae area was classified using a survey of 81 sites from May to October 2019.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with both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 densiflora typical community. The group unit was further classified as the Quercus dentata typical subgroup, Salix koreensis subgroup, and Q. mongolica typical subgroup. Such as Q. mongolica, Quercus variavilis in vegetation unit 1, Q. mongolica, Q. dentata in vegetation unit 2, P. densiflora in vegetation unit 3 and S. koreensis in vegetation unit 4 were shown a high importance value. The difference in species by vertical layer is explained by sere. Based on the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system,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trend of succession. Since restoration, vegetation unit 1 and vegetation unit 2 were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the most extensive vegetation. In vegetation unit 2 and vegetation unit 4, many of the species found were in the early vegetation development in S. koreensis subgroup. Accordingly, vegetation in the Baramjae area can be categorized as a stepwise succession.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Flow Changes due to Trees on One Line (하천의 일열 수목에 의한 흐름 변화 수리모형실험)

  • Lee, Nam-Joo;Kim, Ji-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1-462
    • /
    • 2011
  • 하천에 침입한 식생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현장조사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하천의 흐름이 식생에 미치는 영향이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내의 하천에서 버드나무는 일열로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이입되어 활착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고 있으며, 이 연구는 실험실 개수로에 모형 나무를 일렬로 배열하여 식생이 완전히 잠긴 경우와 부분적으로 잠긴 경우에 대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 실험결과 나무의 개수에 따라 수위의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빈 공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나무의 간격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식생의 개수, 잠긴 정도, 흐름 상태에 따른 유속과 수위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는 식생저항모형 개발과 이차원 흐름모형의 검보정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Salix Communities and Water level in Namgang-Dam (남강댐의 운영수위와 버들류 군락의 상호관계)

  • Jung, Hea-Reyn;Kim, Ki-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7-771
    • /
    • 2012
  • 남강댐은 평지에 위치하여 댐 높이가 낮고 댐운영 수위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계획홍수위 아래 완경사 비탈면이 갈수기인 3월부터 5월 사이에 장기간 노출되어 5월 전후에 발아하는 식생 특히, 버들류가 이입, 성장하여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현재 형성된 대규모의 버들류 군락은 댐수질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솎음질(self-thinning)에 의해 고사한 버들류의 유목으로 인하여 댐운영에 많은 애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들류 군락 형성과 댐운영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버들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의 남강댐 건설 직후인 1979년, 2003년 2010년의 항공사진과 수심측량에 의한 지형도를 이용하여 버들류 군락의 확장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버들류의 이입시점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방형구를 설치하여 버들류의 밀도 및 흉고직경을 조사하고, 성장추에 의한 수령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는 총 17종이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선버들(Salix nipponica), 버드나무(Salix nipponica), 왕버들(Salix gracilistyla), 등으로서 선버들(Salix nipponica)이 우점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강댐 연안대에 분포하는 버들류의 수령을 조사한 결과 수령은 약 9년~10년, 흉고직경 10~15cm, 수고 7~8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댐운영수위와 버들류의 수령을 분석한 결과 2002년 5월 댐수위 38.5~41.0m 일 때 연안대의 수면부근에서 1단계로 이입, 정착한 것으로 보이며, 2004년 및 2005년 5월경에 댐수위 36m일 때 2단계로 이입, 정착하여 현재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강댐 버들류 군락의 형성은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수위 부근의 습지에서 발아환경이 최적인 온도와 저토환경에서 일시에 이입,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남강댐과 같이 평야부에 위치한 댐에서 댐운영 및 댐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버들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들류의 발아기에 댐운영 수위를 최대한 높여 현재의 버들류 군락에 의하여 발아, 성장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댐운영 수위를 낮추어 발아해도 홍수기 동안 장기간의 침수에 의하여 고사되도록 하는 댐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중규모 하천에서의 식생 증가 현황에 대한 분석)

  • Kim, Won;Kim, Sin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spc2
    • /
    • pp.875-885
    • /
    • 2019
  • The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had been analyzed in this study. Seom River with dam, Cheongmi River without dam, and Naesung River with no operating dam in the upstream was investigated for the 1 km to identify the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through the aerial photograph analysis. As a results, we found that the rate of vegetation area is 54.7% in Seom River, 77.5% in Cheongmi River, and 49.7% in Naesung River. The vegetation area had been increased in 3 rivers, and the expansion rate since 2010 is very high nearly up to 2 times (17 times in Naesung River). Sandbar and open-water area, however, have been decreased in the same rate with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vegetation increase trend is clear in rivers regardless of location and dam existence. Further researches are necessary to find out the cause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s because the increase of vegetation will change the physical system as well as biological system of river.

A Preliminary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s of Hydrologic Regime Change and Nutrients Influx on Vegetation Recruitment on Riparian Bars (하천식생 이입 현상에 대한 수문현상 변화와 영양염류 영향의 예비 검증)

  • Woo, Hyoseop;Kang, Joon-goo;Cho, Hyung-Jin;Choi, Yi-song;Park, Moon-hye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4
    • /
    • pp.284-290
    • /
    • 2015
  • In this study, two hypotheses were examined to preliminarily verify for the vegetation recruitment and establishment on riparian bars in unregulated rivers; hydrologic regime change and nutrients influx into streams. In order to preliminarily verify the first hypothesis, precipitation patterns were analyzed during a period from March through to May when reeds, the most common riparian vegetation in Korea, germinate and start to grow in riparian areas. The results show that during the last 35 years, the total precipitation during the three-month period decreased by about 15 %, while the total annual one increased by about 15% in Korea. In order to verify the second hypothesis, a preliminar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set of two-vegetative flumes for one year. In this experiment, a stream flow with reeds on the riparian sand bars was simulated with a flume with reeds planted on the sand bed and water with a concentration of 3.5 mg of N flowing in the flume for four hours. For comparison, clean water was circulated in the same way in another flume for simulating a stream flow without 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rate of reeds in N-mixed flow exceeds that in clean water flow by about 30%. The above two results could explain the phenomenon of change in unregulated rivers from white river to green river in Korea, although they were obtained through limited extents of analysis and experiment.

Review of hydraulic stability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of revetment technology using biopolymer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호안 조성 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및 환경성 검토)

  • Dong Jin Lee;Hong Kyu Ahn;Joon Gu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5-485
    • /
    • 2023
  • 지금까지 하천에 적용된 호안 조성 기술은 급격한 홍수로 인해 쉽게 유실 및 파괴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리적으로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환경적으로 무해한 호안 조성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개발기술은 무독성 소재인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자연 친화적인 호안 조성 기술로써 본 연구에서는 수리적 안정성과 환경성을 검토해 보았다. 개발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한계유속 및 허용소류력 실험 결과 유속 8.0 m/s, 최대 허용 소류력 67.25 kgf/m2 (659.05 N/m2)에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기존 하천에 적용한 기술보다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생이탈 실험 결과 유속 8.0 m/s에서 식생 피복 전체 면적의 75~85%에서 식생 이탈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기술의 환경성 검증을 위하여 시범사업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수질이 양호하고 점차 식생이 이입, 정착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수서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개발 기술의 환경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Environmental Change of Vegetation in the Gamcheon River (감천의 식생 환경 변화)

  • Jeong, Seokil;Choi, Hyun Gu;Kwon, E Jae;Kim, Ji Won;Kim, Ji Hoon;Lee, Jun 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5-495
    • /
    • 2022
  • 충적하천에 댐이 건설되면 하류 하천의 식생환경에 변화를 주게 된다. 이입, 활착 및 성장과정을 거치는 제외지 식생은 하천의 유량이 증가하면 소류력과 세굴로 인해 쓸려 내려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홍수기를 거치면 식생 활착 및 성장 이전의 사주 모습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댐의 홍수조절 기능은 홍수기에도 하류 하천에 식생을 정착시킬 만큼 큰 소류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결국 식생의 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댐은 상류로부터 공급되었던 세립토를 차단시켜 하류 하천의 하상 표면을 조립화 시키게 되는데, 이는 하상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식생의 안정적인 성장을 돕게 된다. 하천에 식생이 자리잡게 되면 홍수 시 흐름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로 수위가 높아질 수 있고 제방에 자리 잡은 식생의 이탈은 제방의 붕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생 사주의 발달이 지속되면 이동사주에서 정지사주로 변화되어 기존의 충적하천 자체가 사라지게 될 수도 있고, 하류 하천의 수리 및 유사 거동 특성도 변화시켜, 기존과 다른 하천 경관 및 수생태계 출현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이러한 하천 제외지 사주의 식생 활착이 가속화되어 왔으며, 특히 내성천, 황강 등 댐이 건설된 낙동강 지류 하천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관련된 많은 조사·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변화 원인으로 홍수조절, 유사공급 변화 및 기후변화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댐이 건설되지 않은 하천(비조절 하천)에 대한 조사와 같은 비교군 지역의 정량적 분석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정확한 제외지 식생 증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에 비조절 하천이라 판단되는 감천을 대상으로 식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유사 및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를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감천은 상류에 김천부항댐이 건설되었으나, 댐의 영향범위가 전체 유역면적의 약 6%로 비조절 하천에 가깝고 사주가 발달된 충적하천이므로, 하천 본류에 댐이 건설된 다른 지역과의 비교군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대상 지점은 상, 중, 하류의 사주가 발달된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미지 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사주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식생역으로 전환된 모래 사주의 면적은 봄~초여름 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초여름까지 가뭄이 지속될 때, 식생역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식생 활착 이전에 큰 유량 발생 시 식생이 쓸려 내려가고 유사가 그 자리를 대체하여 다시 사주가 발달하는 과정을 보여 주어, 감천의 사주 식생역의 증가 추세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댐이 본류에 건설된 조절 하천과의 비교를 통해 사주의 식생역 증가에 대한 댐 건설의 영향을 파악할 것이다.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Burned Area in Mt. Geombong, Samcheok-si, Kangwon-do (강원도 삼척 검봉산 일대 산불 피해복원지 식생 구조 특성)

  • Sung, Jung Won;Shim, Yun Jin;Lee, Kyeong Cheol;Kweon, Hyeong keun;Kang, Won Seok;Chung, You Kyung;Lee, Chae Rim;Byun, Se Min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4 no.3
    • /
    • pp.15-24
    • /
    • 2022
  • In 2000, a total of 23,794ha of forest was lost due to the East Coast forest fire, and about 70% of the damaged area was concentrated in Samcheok. In 2001, artificial restoration and natural restoration were implemented in the damaged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vegetation structure 21 years after the restoration of forest fire damage in the Samcheok, Gumbong Mountain area.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vegetation community, it was divided into three communities: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planted in the artificial restoration site were found to continue to grow as dominant species in the local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As for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community, the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dominated by deciduous broad-leaf trees showed the highest, and the coniferous forest Pinus thunbergii community showed the lowest. Vegetation in areas affected by forest fires is greatly affected by reforestation tree species, and 21 years later, it has shown a tendency to recover to the forest type before forest fire. In order to establish DataBase for effective restoration and to prepare monitoring data,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data through continuous vegetation survey on the areas affected by forest fires.

Studies on the Variation of Vegetation and Rice Root Formation Accompanied with the Desaltation at the Reclaimed! Tidal Fields (간척지의 제염정도에 따른 식생의 변이의 수도근모형성에 관한 연구)

  • Kwon. H.J.;Chung, W.I.;Cho, J.Y.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8 no.3
    • /
    • pp.305-309
    • /
    • 1983
  • To know the effect of desaltation in the reclaimed tidal fields on the succession of vegetation and on the root hair formation of paddy rice, reclaimed fields in Kang Hwa Island, Nam-Yang Bay and Ke-Hwa Island were investigated during summer crop season in 1982.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l) In the highly salty and water logged areas of reclaimed tidal fields, the first dominating species of higher plant were observed to be Salicornia herbacea L. and Suaeda japonica Makino. With the continued desaltation, Chemopodium virgatum Thumb. occurred in the vegetation. After this transition, the dominating species were composed of Scirpus maitimus L.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At the S. maitimus and P. communis dominating salinity level, rice cultivation was safe from the salt damage. 2) In the water logged area, Artemisia capillaria Thunb. and Aster tripolium L. took the place of dominating species after S. herbacea and S. japonica. At this salinity level, graminaceous weeds began to immigrate. 3) In dry areas, Suaeda asparagoides Makino and Suaeda maritima were the first appearing dominant species. Atriplex subcordata Kitakawa was also observed in sucy dry areas, but colony formation was not observed. 4) Plants immigrated slowly into dry areas from the already vegetated water logged areas with the continuation of desaltation. 5) The high soil salinity level affected the root hair formation of rice by reducing both the rate of root hair formation and the length of root hai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