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민지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3초

$1920{\sim}30$년대 가사 교과서 육아단원의 외형 및 내용 분석 (A Study on the Contents of Child Rearing in Household Textbooks during the 1920s-30s)

  • 고상옥;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5-149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1922-1937년 사이에 발행된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용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문부성 검정을 받은 $\ulcorner$신시대 가사교본 하$\lrcorner$(1928), $\ulcorner$최신 가사교과서 하$\lrcorner$(1930), $\ulcorner$가사신교과서 하$\lrcorner$(1930), $\ulcorner$가사신교과서 하$\lrcorner$(1937)를 분석텍스트로 삼아 육아단원의 외형적 측면과 각 하위단원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식민지 시기 가정교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당시에 요구되었던 '어머니 노릇'의 구체적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의 단원별 체제는 크게 '편, 장, 절'의 체계로 되어 있으며, 다른 교과서에 비해 삽화, 표가 많았는데, 이는 시각적 자료를 통해 교과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라 여겨진다. 둘째, 육아단원은 '모성', '부인위생', '임신', '출산', '신생아 및 유아', '포유', '젖니', '이유', '유아의 의식주', '보육', '취학', '질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교과서별로 큰 차이가 없다. 셋째, 전반적으로 네 교과서는 '보육', '포유', '신생아 및 유아'에 많은 지면수를 할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 영역이 육아단원 가운데 중요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식민지 시대의 가사교과서는 임신과 출산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또 어머니는 올바른 육아를 위하여 아동의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의 습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다섯째, 가사교과서는 육아에 있어 청결과 위생을 강조하였다. 어머니는 아동이 쉽게 걸리는 질병의 종류와 관련된 의학적 지식을 습득할 것이 요구되었다.

  • PDF

변화와 변용으로 본 근대기 서울 남산의 공원 (The Change and Transformation of Namsan(Mt.) Parks in Early Modern Seoul)

  • 박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24-139
    • /
    • 2015
  • 남산은 수도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여타의 다른 산과 달리 도심의 공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되는 시점인 대한제국기와 식민지기를 주요 배경으로 변화와 변용의 과정 및 내용을 살폈다. 남산이 공원이 되고 공원이 다시 종교시설로 변용되는 일련의 과정이, 실은 일본의 도시 식민지화 과정과 식민지적 공간 통치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혔다. 일본이 왜성대공원(矮城臺公園)을 시작으로 경성공원(京城公園), 한양공원(漢陽公園)에 이르기까지 도성 안 남산을 모두 공원화한 것은 한성부에 대한 일본의 세력 확장과 관련한 것으로, 여기서 공원은 일본이 한성부를 점거하는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남산의 공원화는 단순히 위락과 여가시설의 확보가 아니라 공원 조성을 명분으로 한 타자의 공간 점유로 보아야 한다. 이 시기 남산의 공원 가운데 왜성대공원과 한양공원은 각각 경성신사(京城神社)와 조선신궁(朝鮮神宮)으로 변용되는데, 주체와 목적에 따라 그 양상은 점진적이기도 하고 폭력적이기도 하였다. 공원에 일본의 문화가 이식되고 공원이 지배자의 공간으로 치환되는 이러한 사실은 일본이 공원을 이용해 남산을 물리적으로 점거한 것과는 또 다른 공간 지배 양상을 의미한다. 즉 남산의 공원화가 한성부 내 일본의 세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이후의 변용은 식민지 지배를 공간의 양태로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남산은 공원이라 불렸지만 실제로 공원으로 이용된 시간은 매우 짧았다. 그나마 남산이 공원으로 인식될 수 있었던 것은 경성공원 일대의 산림자원 덕분인데, 그 배경에는 신사와 신궁을 위한 신원의 보존과 관리가 있다. 이 또한 식민 공간 통치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아시아와 식민지 조선에서 크로포트킨 번역의 경로들과 상호참조 양상 고찰 (Interrelationship in the Translations of the Works of P. A. Kropotkin in East Asian Countries)

  • 김미지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171-206
    • /
    • 2016
  • 20세기 초 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아나키즘 사상가 크로포트킨은 아나키즘 운동뿐만 아니라 지식 사상계 그리고 문학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본고는 일본과 중국 그리고 이후 한국에서 사회주의 사상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각 방면에서 사상적 지침이 되었던 크로포트킨 저작의 수용사를 번역 양상과 번역 경로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크로포트킨이 적극적으로 수용된 것은 오스기 사카에 등 일본의 선구적인 번역 작업들에 힘입은 바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조선어로 번역되면서 다양한 참조와 변용 그리고 자기화의 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청년에게 호소함'과 같은 크로포트킨의 저작은 불온 선전물 팸플릿으로 검열과 단속의 대상이었지만 여러 경로로 수입되고 또 번역되어 20년대 선전문 번역의 존재 양상을 증언하고 있다. 당시에 신문 잡지 미디어에 소개된 크로포트킨에 관한 글들은 초기의 번역들이 그러하듯이 대부분 일본어 중역이거나 초역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쪽의 자료들이 참조된 경우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중국이라는 번역의 매개와 영향관계를 암시한다. 이후 1930년대에는 사상 운동의 차원에서보다는 문학자와 비평가로서 크로포트킨을 전유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이를 통해 동아시아에서 러시아 문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주요한 통로이자 논거로서 크로포트킨이 자리하게 된 사정을 이해할 수 있다. 조선에서 크로포트킨 번역은 대부분 일본과 중국을 매개로 하여 동아시아에서 크로포트킨이 받아들여진 맥락 안에 놓이면서도 조선어로 번역하기라는 과제를 둘러싼 고투의 흔적들을 남기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동북 아시아권의 생활환경

  • 신대봉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5년도 동북AISIA 지리학술국제토론회
    • /
    • pp.87-87
    • /
    • 1995
  • I. 서론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 변두리 그것도 뒤에는 대륙을 짊어지고 앞에는 넓은 바다를 안고있는 동북아시아의 생활환경을 살펴본다. II. 역사환경 1. 동북아시아권에 속하고 있는 지역들은 모두가 그 나라들의 변두리 지역이다. 2. 이 지역들은 여태까지 방치되고 있던 불모지이다. 3. 이 지방들은 정치체제들은 각각 다르나 주로 자연에 의존하면서 살아온 지역들이다. 4. 이 지역들은 식민지.미개지로 여태까지 개발되지 못한 지역이므로 새로운 개발 계획으로 서로 권역을 형성하여야 하는 지역들이다.(중략)

  • PDF

프랑스 국방백서 소개-방위산업

  • 이동하
    • 국방과기술
    • /
    • 8호통권198호
    • /
    • pp.20-31
    • /
    • 1995
  • 프랑스는 Georges Pompidou 대통령시절인 1972년, 식민지의 독립화 및 근대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De Gaulle장군의 국방원칙을 수용한 최초의 국방백서를 발간했으며, 22년만인 1994년에 베를린장벽의 붕괴 및 Warsaw Pact의 해체에 따른 유럽내의 급격한 변화, 국제환경여건, 과학기술 발전 및 현대경제에 부합되는 새로운 국방백서를 발간하였다. 이번에 발간한 국방백서는 총 3부로 1부는 , 2부는 , 3부는 로 되어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위산업 분야는 3부 7장의 를 번역정리한 것으로 관계 분야 종사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PSP와게임폰의경쟁

  • 최성원
    • 디지털콘텐츠
    • /
    • 5호통권144호
    • /
    • pp.60-62
    • /
    • 2005
  • 지난해부터 기대를 모아온 일본 소니사의‘PSP(PlayStation Portable)’가 지난달부터 국내에서 예약판매를 통해 본격적으로 출시됐다. 이번 소니사의 PSP 출시는‘독도분쟁’으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시기와 맞물렸음에도 불구하고 게임폰과 치열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에 휴대전화 게임시장을 예상하면서 몇 가지 이슈 중 하나로 PSP와 국내 대기업들이 내놓은 게임폰의 경쟁을 언급한 바 있는데 드디어 본격적인 대결구도를 형성할 상황이 온 것이다. 한국인에게는 너무도 당연지사인 대한민국 땅‘독도’를 두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본제품 불매운동 성과로 보여주는 문화자존심 경쟁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본에게‘문화식민지’가 되지 않기를 바라며 이 글을 시작한다.

  • PDF

21세기 철도발전 방향 I

  • 이용상;신민호
    • 한국철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9
    • /
    • 2000
  • 철도는 1899년 9월18일(노량진∼제물포)개통된 우리나라 최초의 대량교통수단임. 우리나라철도부설은 일본에 의해 대륙진출의 수단으로 이용된 타율적인면이 강했음. 그러나 호남선부설등에서는 우리민족의 자력적인 철도건설노력도 보였음. 대부분의 철도망은 식민지시대에 완성되었고, 철도네트워크는 경부선과 호남선, 경원선, 경의선을 중심으로 X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쟁이후 우리나라는 산업선의 발달, 도시철도의 탄생등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음. 1960년대 중반이후 철도의 분담율이 저하되었는데 이는 자동차의 발달에 기인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추세는 세계적인 추세였음. (중략)

  • PDF

제주해녀항일운동 기반 디지털 콘텐츠 개발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Based on Jeiu Haenyeo's Anti-Japan Resistance)

  • 조은희;임지영;한은미;양혜선;배인숙;홍윤지;윤미혜;김성백;김동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8-171
    • /
    • 2006
  • 제주의 해녀는 독특한 인적 문화 자원으로 세계적으로 한국과 일본에만 존재한다. 특히, 제주 해녀들은 1931년 생존권을 스스로 찾기 위해 해녀항일운동을 전개하여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인 관제 조합과 식민지 수탈정책에 대항하여 민족해방운동을 일으켰다. 현재 제주에서는 독특한 제주 해녀문화를 전승하기 위해 제주 해녀를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해녀와 그들이 전개했던 항일운동에 기반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캐릭터, 애니메이션, 게임, 홈페이지 등을 개발하여 유아들에게 해녀들의 정신과 문화를 이해하고 계승할 수 있도록 교육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점점 사라져 가는 해녀와 관련된 문화 자원을 새롭게 재창출할 수 있는 방안과 항일운동의 정신을 재음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 PDF

1910년대 주거담론의 성격 (Modern Housing Discourse of Korea in 1910s)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28-633
    • /
    • 2010
  • 1910년대 주거담론은 위생론 일반을 다루는 글, 여성의 주택청결 관리를 계몽하는 글 그리고 일본인이 한국전통주택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글에서 등장한다. 1900년대의 그것과 비교하면 위생에 초점을 두는 점은 같지만 깊이와 양에서 매우 위축되어 있다. 담론의 주체와 맥락도 달라졌다. 1900년대 주거담론은 위생을 국가의 문명화와 부국강병을 위한 방법론으로 인식한 개화론자들이 주도했고 국가의 공중위생 책무를 강조하는 담론과 함께 전개되었다면, 1910년대는 여름철이나 환절기 전염병을 예방 차원에서 개인위생을 계몽하는 의사나 의료관료들을 통해 주로 개진되었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환경위생사업에서 식민지 조선인의 거주지와 주택은 제외되어 불결했고, 공중위생정책에서 차별받는 그들에게 주거의 청결은 개인의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주택의 불결은 민족적 미개함 열등함의 표상이 되었고 식민지지배의 당위성을 공고히 하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1920년대 주거개량 문제가 조선인의 인종적 개량과 문명화의 과제로서 논의되는 데 심리적 배경이 되었다.

학생독립운동 지식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The Management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of Student Independent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03-239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와 아카이브적 측면에서 학생독립운동의 지식정보자원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자료수집, 자료해제, DB구축과 아카이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학생독립운동과 지식정보자원 관련 문헌적 고찰과 일제식민지 치하 학생독립운동 시발과 그 운동과정에서 생성된 자료들의 유통과 이들 자료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 조사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운동과 투옥 그리고 재판의 과정에서 다양한 문헌정보를 생산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정보자원관리와 아카이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독립운동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나타내고 진일보한 학생독립운동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