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 방어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Euphorbia lathyris에서 분비되는 Latex 65kD 단백질의 특성규명 (Characterization of 65 kD Protein in Latex Excreted from Euphorbia lathyris)

  • 박희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319-323
    • /
    • 2004
  • Euphorbia lathyris의 유관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수용성 latex단백질을 10% SDS-polyacrylamide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여 특징적으로 잘 나타나고 있는 ELp65, ELp55, ELp43, ELp32 그리고 ELp23 등의 주요단백질을 확인하였다. 이들 latex 주요단백질들 중에서 ELp65는 ammonium sulfate 침전,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그리고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등의 방법으로 순수 분리하였는데 ELp65의 N-terminal amino acid 서열분석에 의하면 이는 토마토의 p69a subtilisin-like pretense의 mature peptide의 앞부분과 강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식물방어와 관련된 기능이 제시되었다. PCR증폭에 의하여 클로닝된 토마토의 p69a DNA를 probe로 이용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수행한 결과 E. lathyris genome은 토마토의 subtilisin-like proteases와 유사한 정보를 지닐 수도 있는 3-5 유전자들로 구성된 gene family가 분석되었다.

쥐에서 자외선 B가 유도한 염증 반응에 대한 식물 추출물 함유 크림의 영향 (Effects of Plant Extract containing Creams on UVB Radiation-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ice)

  • 안상미;이승진;박권무;고재숙;부용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1-280
    • /
    • 2010
  • 자외선(UV)은 인체 피부 손상의 주된 요인이고 UV에 대한 피부의 초기 반응들은 홍반과 부종을 포함한다. 화장품에 사용할 효과적인 자외선 방어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세포수준의 효능평가법으로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을 검색하였다. 시험된 총 38종의 식물 추출물들 중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접시꽃(Althaea rosea),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에서 유래한 3종의 식물 추출물이 배양된 인체 표피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뿐만 아니라 UVB의 세포독성을 경감시켰다. 이 식물 추출물들의 항염증 작용은 동물 실험에서도 평가하였다. 대조 크림 혹은 식물 추출물을 1 % 함유한 시험 크림을 C57BL/6 쥐의 귀에 혹은 SKH?1 무모쥐의 등에 UVB 조사 전과 후에 도포하였다. UVB 노출에 의한 영향으로서 부종 생성은 귀의 두께 변화를, 홍반 생성은 등 피부의 붉기의 변화를 측정하여 추정하였다. 3종류의 시험 크림 모두 두 실험 모두에서 항염증효과를 보였다. 제주조릿대, 접시꽃, 또는 관중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자외선 조사 4일째 부종 반응을 각각 53.8 %, 56.4 %, 31.1 % 경감시켰다. 또한 이 크림들은 자외선 조사 2일째 홍반 생성을 각각 45.7 %, 34.1 %, 20.5 % 억제시켰다. 본 연구는 화장품에 함유된 특정 식물 추출물들이 자외선 과다노출로 야기되는 피부 염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환경오염(環境汚染)에 의한 산화(酸化)스트레스와 식물체(植物體)의 방어기작(防禦機作) (Oxidative Stress Resulting from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Defence Mechanisms in Plants)

  • 심상인;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4-280
    • /
    • 1993
  • The environmental pollutions were a serious problem in Korea recently. So many researcher have studi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plants and agro-ecosystem, but the basic mechanisms of environmental stresses were various. One of the important mechanisms was oxidative stress caused by active toxic oxygen. The toxic oxygen was generated by several stresses, abnormal temperature, many xenobiotics, air pollutants, water stress, fugal toxin, etc. In the species of toxic oxygen which is primary inducer of oxidative stresses, superoxide,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and singlet oxygen were representative species. The scavenging syste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nonenzymatic system and the other enzymatic system. Antioxidants such as glutathione, ascorbic acid, and carotenoid, have the primary function in defense mechanisms. Enzymatic system divided into two groups; First, direct interaction with toxic oxygen(eg. superoxide dismutase). Second, participation in redox reaction to maintain the active antioxidant levels(eg. glutathione reductase, ascorbate peroxidase, etc.).

  • PDF

육상식품 섭취경로에 의한 선량계산 모델에서 파라메터의 불확실성 및 민감도 분석 (Parameter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is on a Dose Calculation Model for Terrestrial Food-Chain Pathway)

  • 이창우;최용호;천기정;이정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67-74
    • /
    • 1991
  • 육상 섭취 경로에 따른 내부 피폭선량 계산 모델 KFOOD의 파라메터 불착실성 및 민감도를 몬테칼로법을 사용하여 수치 분석하였다. 쌀을 통한 섭취 경로의 경우 KFOOD 코드에 의한 예측치는 아주 보수적인 값을 나타내었다 모델에서 민감도가 큰 입력변수는 방사능의 침적속도와 식물전이제수였다.

  • PDF

현사시나무 Gibberellic Acid-Stimulated Arabidopsis (GASA) 유전자의 발현 특성 및 건조 스트레스 내성 구명 (Characterization of Gibberellic Acid-Stimulated Arabidopsis (GASA) gene to drought stress response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최현모;배은경;최영임;윤서경;이효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61-68
    • /
    • 2017
  • GASA는 GA에 의해 조절되는 식물 유전자로서, 여러 식물에 보존되어 있고 다양한 조직에서 식물의 생장과 발달 및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SA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GASA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PagGASA 유전자는 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아미노 말단에 시그널 펩티드 영역과 카르복시 말단에 12개 시스테인 잔기가 보존되어 있다. PagGASA는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 존재하며, 꽃과 뿌리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GASA는 GA 뿐 아니라 ABA와 JA, SA와 같은 스트레스 관련 식물 호르몬의 처리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사시나무에 형질전환하여 PagGASA를 과발현시킨 결과 건조 내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agGASA는 스트레스 관련 식물 호르몬 신호전달과 연결되어 건조 스트레스 방어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온과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된 사과나무의 생리적 유전자 정량 측정용 유전자들의 발현 분석 및 검증 (Validation of Reference Genes for Quantifying Changes in Physiological Gene Expression in Apple Tree under Cold Stress and Virus Infection)

  • 윤주연;정재훈;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44-158
    • /
    • 2020
  • 정량적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은 정확하고 민감한 방법으로 유전자 발현분석에 사용된다. 사과 식물에서 유전자 발현 변화의 정량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과 잎검은점 바이러스(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에 의한 감염 동안 발현의 안정성에 대해 10개 참조유전자들(ACT, CKL, EF-1α, GAPDH, MDH, PDI, THF, UBC, UBC10 및 WD40)을 평가하였다. AGSV 감염 또는 저온 처리된 사과 식물에서의 10개 참조유전자 발현의 안정은 5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SGV 감염 사과식물의 잎 조직에서는 CKL>THFs>GAPDH>ACT 순서로 가장 안정한 유전자로 분석되었으며 WD40CKL>UBC10이고 가장 안정하지 않은 유전자는 ACT

여수연안 정치강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항변동에 관한 연구 3 . 기초생산자의 출현과 어획량의 변동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3. The Quantity of Phytoplankton and Catch Fluctuation.)

  • 김동수;노홍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1호
    • /
    • pp.15-23
    • /
    • 1995
  •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1990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채집해서 분석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여수수협 위판장으로부터 구한 어획량 자료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량은 춘계와 추계보다 하계에 최대가 되고, 특히 육수의 유입이 많은 여수만 중 돌산연안 수역 분포량이 많고, 소리도와 세존도부근의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량은 내만수의 확장 경향을 추정하는데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2) 여수 연안 정치망에 어획되는 주요 어종의 어획량은 삼치, 갈치, 고등어, 정어리, 멸치, 전갱이 및 방어의 순이고, 어획되는 시기는 정어리와 멸치가 4~6월, 전갱이, 갈치 및 고등어는 6~10월이 였으며, 삼치는 전 어기에 걸쳐 어획되었다. 3)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어획량은 식물성 플랑크톤 출현량과 상관 관계가 있고, 이들 식물성 플랑크톤량은 하계 육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만수에 최대의 출현량을 보인다. 또, 이 어장의 어획량은 하계에 많으므로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은 육수의 유입에 의해 풍부한 영양염류를 공급받는 내만수내의 이료생물의 생산력이 어획량을 좌우하는 어장의 중요한 환경요인이 될 수 있다

  • PDF

병 저항성 기반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 관리 (Disease Resistance-Based Management of Alternaria Black Spot in Cruciferous Crops)

  • 이영희;김수민;이승빈;김상희;윤병욱;홍점규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63-376
    • /
    • 2023
  • 검은무늬병은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십자화과 작물을 황폐화시키고 있으며, 브로콜리, 배추, 케일, 무, 유채 등의 생산에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다.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은 A. brassicae, A. brassicicola, A. raphani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Alternaria 종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병원균들은 감염된 종자나 매개충에 의하여 전반된다. 본 총설에서는 검은무늬병에 대한 십자화과 작물의 병 저항성 형질을 발굴하기 위한 그 동안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병 저항성을 위한 유전 자원이 십자화과 작물의 근연 야생종으로부터 조사되었으며, 십자화과 작물의 상이한 품종들이 다른 접종 조건에서 선별되었다. 검은무늬병 저항성 작물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식물 방어 관련 유전자들을 이용한 십자화과 작물의 형질 전환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β-Amino-n-butyric acid나 멜라토닌과 같은 화학 물질을 전처리하여 활성화된 식물 면역이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을 줄이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검은무늬병 저항성 형질은 다른 서식지에서 유래한 모델 식물 Arabidopsis 생태형들에서도 평가되었다. 야생형 Arabidopsis와는 상이한 병 저항성을 보이는 식물 면역 관련 돌연변이체들은 십자화과 작물에서 검은무늬병을 관리하는 데에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러한 돌연변이체에서 변동된 산화-환원 조절과 항산화 반응에 대하여 본 총설에서 논하였다.

아세아(亞細亞)에 있어서 흡충류감염(吸蟲類感染) 방어(防禦)를 위한 공중보건학적(公衆保健學的) 조치(措置) (Public Health Measures in Trematode Control in Asia)

  • 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3권1호
    • /
    • pp.82-87
    • /
    • 1988
  • 사람의 흡충류감염(吸蟲類感染)은 대부분(大部分) 열대(熟帶) 및 동부아세아지역(東部亞細亞地域) 여러 국가(國家)에서 발생(發生)한다. 주혈흡충증(住血吸蟲症), 간흡충증(肝吸蟲症), 태국간흡충증(泰國肝吸蟲症), 간흡충증(肝吸蟲症), 요꼬가와흡충증(吸蟲症), 이형이형흡충증(異型異型吸蟲症) 및 폐대흡충증(肺大吸蟲症)등은 어떤 일부(一部) 아세아국가(亞細亞國家)에 있어서 공중보건상(公衆保健上) 중요(重要)한 문제(間題)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류매개성기생충감염(貝類媒介性寄生蟲感染)은 풍토병(風土病)을 일으키고 있다. 사람들의 생활습관은 풍토병을 일으키게될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때로는 그 질병(疾病)을 유행(流行) 전파(傳播)시키는 기본적 요소가 되기도 한다. 주혈흡충을 제외한 흡충류감염은 우리가 중간숙주(中間宿主)을 먹었을때 그곳에 있었던 피낭유충(被囊幼蟲)에 의하여 감염이 이루어 진다. 식물(植物)의 생식(生殖)(간질(肝蛭), 폐대흡충(肺大吸蟲)), 게 및 가재 생식(폐흡충), 민물고기 생식(간흡충, 요꼬가와흡충, 이형이형흡충), 또는 우렁이 생식(극구흡충(棘口吸蟲)), 기타(몇가지 우연적감염(偶然的感染))등은 사람의 흡충류감염의 주 원인이 되는 것이다. 한편 주혈흡충 감염은 요염수원(汚染水源)에 접촉한 피부을 뚫고 들어온 쎌카리아 유충(幼蟲)에 노출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흡충류감염에 대하여 예방과 방어에 관한 공중보건학적 조치는 많다. 이들의 조치중에는 화학요법에 의한 감염원을 감소시키는 것, 패류숙주의 박멸, 만족할만한 위생시설의 비치, 급수시설, 보건교육, 진단기술의 보급, 환경관리 및 개선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감염자들에 대한 화학요법은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억제방법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흡충류감염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프라지콴텔과 같은 신약의 개발이었다. 프라지콴텔은 모든 종류의 주혈흡충, 간흡충, 폐흡충 및 여러가지 장내기생 흡충류등 사람의 병원성흡충류에 대한 치료제로서 가장 좋은 특효약이다. 흡충류감염이 중요한 보건문제가 되어 있는 곳에서는 그 예방과 억제책에 있어서 장단기계획(長短期計劃)을 수립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단기는 집단화학요법을 조기에 실시하여야 하고 자기는 "비특이성 기구"로써, 예를들면 위생시설 및 급수시설의 설치, 보건교육등으로 감염을 감소시켜 감염유지 수준이하로 보지(保持)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은 억제조치를 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일이 있다. 예를 들면 집단참여, 역학적 조사, 약물의 공급, 환경관리, 보건교육, 지역사회관련, 일차보건 진료와의 협조 및 재정후원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솔로몬제도에 생육중인 몇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Several Broad-leaved Tree Species in Solomon Island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1-616
    • /
    • 2010
  • 솔로몬제도의 열대우림에서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알아보고자 26수종의 잎을 대상으로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포식응애 서식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Guadalcanal 섬, New Georgia 섬, Tetepare 섬에 생육중인 개체목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10년 2월 25부터 3월 5일까지 채집하여 관찰,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26종 중에서 Terminalia catappa를 비롯한 6종, 23.08%만이 domatia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특이하게 Terminalia catappa는 쌈지형(pouch type) domatia와 구덩이-털북숭이형(pit+tuft type) domatia 두 종류가 관찰되었다. 관찰된 포식응애는 Terminalia catappa를 비롯한 세 수종에서만 관찰되었고, 그 개체수도 엽당 0.33~0.40 마리로 정도로 적었다.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진딧물, 깍지벌레, 나비목 애벌레, 면충 등이었다. 개미는 진딧물 또는 깍지벌레와 공생관계를 이루고 식물을 가해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남반구에 속하는 Solomon Islands 열대우림의 수목들에서는 domatia가 중재하는 포식성 응애와 수목의 상리공생은 현저하게 적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