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약해

검색결과 1,994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Mixture on the Anther Floating Cultures of Rice (벼의 약 부유배양에서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와 항산화제의 영향)

  • 이승엽;이재길;권태오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제27권2호
    • /
    • pp.83-87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 in anther floating cultures of rice, anthers were cultured in liquid media supplemented with different growth regulators, and the effect of antioxidant mixture : (Sigma Chemical Co.)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N6 medium with 1 mg/L 2,4-D and 1 mg/L kinetin was the best for rice anther floating cultures, which showed 48.5% of callus induction and 6.8% of green plant regeneration. The callus induction was not affected by antioxidant mixture in liquid medium, and antioxidant mixture (250 mg/L)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brownish callus and improvement of plant regeneration Antioxidant mixture showed better effectiveness when it was supplemented to both media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 PDF

Growth of Landscape Tree Species at Two Planting Densities in a Planting Pilot System for Reclaimed Dredging Areas (임해준설매립지 식물재배공정에서 밀도에 따른 조경수목의 생장)

  • Lee, Deok-Beom;Nam, Woong;Kwak, Young-Se;Jeong, In-Ho;Lee, S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제37권2호
    • /
    • pp.114-123
    • /
    • 2009
  •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se of plants for landscaping in reclaimed soil, a planting pilot system experiment was performed over the course of four years in reclaimed dredging area with four species: Alnus firma, Alnus hirsuta, Pinus thunbergii, and Pyrachantha angustifolia for 4 year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sted soil showed that it was sandy through coming from a reclaimed dredging area. The average pH of the tested soil was 7.16(slight alkali), and electric conductivity(EC) was relatively low, $294{\mu}S/cm$, even though it came from a saltwater area. To test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vs. phytomass by plant specie from a planting basi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using four plant species with high and low planting densities over 4 years. The planting conditions of the growth of landscape tree species exhibited growth height as follows: A. hirsuta, A. firma, P. thunbergii, and P. angustifolia, whill the DBH followed the order of A. hirsuta, A. firma, and P. thunbergii. The total phytomass of each plant was higher at low density planting areas than high density planting area in terms of total phytomass production and growth distribution in the reclaimed dredging area. Total phytomass per unit area increased as follows: A. hirsuta, A. firma, P. thunbergii, and P. angustifolia. The total phytomass per each tested plant was 2 times higher in low density planting areas than high density planting areas. Total phytomass per unit area, however, was similar or slighty higher in high density planting areas compared to low density areas. Among the tested plants, A. hirsuta showed the highest phytomass, implying that A. hirsuta adapted very well to the reclaimed area and has the capability of a fast growth, nitrogen fixation tree, and utilizing insoluble nutrients through inoculated root nodule bacteria. The yield of phytomass per individual in low density Alnus specie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high density. However, those per unit areas had no difference in the density-dependent planting. The ratio of belowground to aboveground was $0.21{\sim}0.26$.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lnus species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ornamental tree species in reclaimed dredging areas. This study offers baseline data for the use of ornamental tree species in reclaimed dredging area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for different ornamental species in order to increase phytomass of a planting conditions based on reclaimed dredging areas.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Mt. Cheongok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Byun, Jun-Gi;Shin, Jae-Kwon;Kim, Ju-Yeong;Choi, Seung-ho;Kim, Dong-Ka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6-46
    • /
    • 2018
  • 본 연구는 봉화군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청옥산 보호구역은 산림청에서 '희귀식물자생지' 유형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면적은 약 2,051ha에 달하며 주로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이 우점하고있다. 현지조사는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보호구역내 관속식물은 86과 258속 390종 4아종 54변종 6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가야물봉선, 처녀치마, 할미밀망, 키버들 등 1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주목, 백작약, 꼬리진달래 3분류군, 약관심종(LC)에 등칡, 도깨비부채, 정향나무, 말나리, 나도개감채 등 14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IV등급인 회리바람꽃, 가지괭이눈, 산겨릅나무, 귀박쥐나물 등 10분류군, III등급인 애기감둥사초, 중나리, 토현삼, 선갈퀴, 금강제비꽃, 노랑갈퀴, 분비나무 등 23분류군, II등급 32분류군, I등급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오리새, 털별꽃아재비, 왕포아풀, 주걱개망초, 지느러미엉겅퀴, 족제비싸리 등 18분류군이 임도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81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43분류군, 관상용식물 52분류군, 사료용식물 172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2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 PDF

Industrialization of Jeju Plant Resources (제주 자원식물의 산업소재화)

  • Ju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
    • /
    • 201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화장품을 비롯한 향장품산업,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질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자원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국민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나 윤택한 삶의 추구에도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제주의 특산 또는 우수 자원식물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4,500여 종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작성되어 있으며 제주의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은 해발 1,950m 한라산의 영향으로 2,200여 종이 분포한다고 최근 기록되고 있다.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물자원들도 약 800여 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자원은 대한약전, 생약규격집, 중약본초, 중약대사전 등 문헌에 근거한 자원으로 공정서에 수록된 약용식물 약 500여 종 중 제주 분포 약용식물도 217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약용식물 자원은 다양한 한의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활용되는 약용식물도 170여 종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자원전쟁이 시작되어 자원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어 각 지역마다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연구소인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도 제주에 분포하는 자원식물들에 대한 주권 확립을 위한 생태사진 900여 종, 표본 1,400여 종, 유전자 정보 800여 종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출물 2,000점을 확보하여 산업소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저자는 여기에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등재, 건강기능식품개별인증 소재 및 천연의약품 소재 등 산업소재화 연구를 수행했었던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유사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으로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화 분야에 작은 도움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n phytoplankton and seletive withdrawal by Hydraulic-Gun-Aerators in H Reservoir (인공순환에 의한 H호 식물플랑크톤과 선택취수에 대한 영향)

  • Choi, Il-Hwan;Shin, Jae-Ki;Sohn, Byeong-Yong;Baek, Kyoung-Hee;Lee, Ky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33-1337
    • /
    • 2006
  • 표층수를 주요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저수지 내 남조류 대발생시 주로 인공순환에 의한 제어방안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헐식 폭기장치를 사용중에 있는 H호를 대상으로 식물플랑크톤 제어 효과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수직적 분포와 선택 취수와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정수장 유입 원수의 수질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2005년 H호의 남조류 농도는 최대 $1.2mg/m^3 $ 수준으로 낮은 분포로 조사되었다. 남조강에 대한 폭기 효과는 6월에는 워낙 그 농도가 낮아 효과 분석 자체가 무의미 하였으나, 10월에는 비영향지점 보다 영향지점의 최대 농도가 약 28% 저감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중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인 조류강은 Cryptophyta이었으며 6월9일에 약 $5mg/m^3$ 농도로 측정되었다. 10월6일에는 Diatom, Bluegreen, Green algae, Cryptophyta가 비슷한 농도 분포로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다른 조류강의 경우 조사 기간 중 $3mg/m^3$ 이하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취수탑을 중심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간헐식 폭기장치 1기의 유효 영향 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폭기 영향권에서 식물플랑크톤 분포를 submersible fluorescence probe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조사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밀도는 감소하고 수직적인 분포층은 깊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를 보이는 거리는 폭기 장치로부터 약 50m로 나타났으며 pH, DO, 수온항목의 결과에서도 같은 현상을 보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현재 설치된 총 7기의 폭기 장치의 유효영향 범위는 최대 $0.07km^2$ 면적에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남조 수화현상이 심화될 경우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Management and role of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Seed Vault in readiness for unification (통일대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의 운영과 역할)

  • Bae, Kee Hw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20
    • /
    • 2019
  • 전 지구적으로 학명이 보고된 식물 종은 약 36만종이다. 그 중 종자를 생산하는 관속식물은 310,422종으로 전체 식물종의 85.7%에 달한다(IUCN, 2018). 그리고 2015년 Primely Forest Organization (PFO)에서는 야생식물의 80%가 산림 내에 서식한다고 밝혔다. 식물이 인류에게 주는 다양한 이로움은 인류의 생존과 복지증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2016년 State Worlds Plants (SWP)에 따르면 인류가 현재까지 이용하는 식물종은 31,128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약용으로 17,810종, 식량으로 5,538종을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 지구적 생물멸종속도는 산업혁명 이전 보다 약 1,000배정도 빠르게 진행이 되고 있다(Science, 2017). 이에 전 지구적 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해 생물다양성 협약, 지구식물보전전략 등이 지속적으로 발효 이행되고 있다. 시드볼트는 이러한 보전전략을 이행하기 위해 적합한 시설이다. 우리나라도 노르웨이와 전 세계적으로 2곳뿐이 없는 시드볼트를 가지게 되었다. 우리의 시드볼트는 전 지구적 재난과 재앙에 대비해 야생식물종자를 안전하게 영구 저장하는 시설이고, 우리나라는 봉화군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내에 200만점 저장 규모로 조성이 되어 있다. 현재 국내 외 수집 수탁종자 48,327점이 안전하게 저장이 되어 있다. 국내 23개 종자관련 기관, 단체, 개인과 카자흐스탄 등 해외 3개국 6개 기관이 야생식물종자의 영구저장을 요청하였다. 앞으로 시드볼트는 통일시대에 대비하여 지구적 야생식물종자 저장의 컨트롤타워 역할과 종자연구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 할 것이다. 이에 따른 목표로 2050년까지 백두대간 글로벌시드볼트(BGSV)는 전세계 식물종의 13%, 40만점을 저장할 것이다. 특히 종자연구부분에서는 현재 종 맞춤형 활력검정시스템개발, 분류군별 장기저장 특성분석, 장기저장 종자수명예측 등을 고도화하여 한반도 야생식물 종자정보 플랫폼 구축, 고대 매장종자 보전 모델링 연구, 지구 종자연구 브릿지 구축 등으로 개발, 발전시킬 것이다.

  • PDF

Genetic Transformation of Panax ginseng with Herbicide Resistant Gene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에 의한 인삼의 형질전환)

  • 양계진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제28권6호
    • /
    • pp.353-357
    • /
    • 2001
  • Transformation of ginseng plants was achieved by biolistic system with cotyledon explants and callus using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gene resisting to a herbicide of Bialaphos. The binary vector for transformation was constructed with disarmed Ti-plasmid and with double 355 promoter. The introduced NPT II and PAT genes of the transgenic ginseng plant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by the PCR, and the survival test on the medium with basta. The transgenic ginseng plants were propagated using repetitive secondary embryogenesis. The transgenic ginseng plantlets had normal structures of roots and shoots, and dormant buds for new year sprouting. We transferred the transgenic plants to greenhouse and observed the continuing growth until a new year.

  • PDF

High Frequency Production of Doubled-haploid Plants by Colchicine Application in Anther Cultures of Rice (벼 약배양에서 콜히친이 식물체 배수성에 미치는 영양)

  • 권용삼;이형규;박규환;손재근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제28권1호
    • /
    • pp.37-40
    • /
    • 2001
  • To optimize the in uitro chromosome doubling procedure in anther cultures of rice, anthers were cultured on callus induction medium with 0.001 to 0.1 mg/L colchicine for 30 days. The addition of colchicine slightly reduced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comparison to the colchicine-free medium (control medium). This reduction was greater with higher concentration colchicine. Microspore-derived rice plants in control medium were found to be mainly haploid (50 to 58.8%) and doubled-haploid (31 to 40%) in anther culture of 3 Japonica and 1 Tonsil type cultivars. The application of 0.001 mg/L colchicine was increased to 54.3∼60.0% in the frequency of fertile doubled-haploid pla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colchicine to the callus induction medium is an efficient means to obtain doubled-haploid plants in anther cultures of rice.

  • PDF

Analysis of the Heating and Cooling Energy Load of the KNU Plant Factory with Single Skin Windows (단일창호를 적용한 KNU 식물공장의 냉난방 에너지 부하 해석)

  • Lee, Chan-Kyu;Kim, Woo-T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75-578
    • /
    • 2012
  • 단일창호를 적용한 KNU 식물공장 모델의 냉난방 에너지 부하를 DesignBuilder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상추의 적정생육온도인 $20^{\circ}C$를 기준으로 이중창호를 적용한 경우와 에너지 소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일창호가 이중창호에 비해 연간 냉방부하는 약 128 MWh 감소하고 난방부하는 약 26 MWh 증가하여 단일창호가 냉방부하저감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KNU 식물공장의 중앙에 위치한 공간의 상부를 지붕구조물로 닫거나 계절별로 개폐하면서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였다. 지붕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단위유닛이 취득하는 태양열이 감소하여 냉방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지붕구조물을 상시 닫아두는 것이 계절별로 여닫는 것보다 냉방부하 저감에 유리하다. 식물공장 측면벽에 overhang과 sidefin을 설치하면 차양효과로 냉방부하가 감소하지만 감소비율은 크지 않았다. 에너지 부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방부하를 낮추기 위해 구조물이나 차양을 설치할 수 있으나 절감효과에 비해 설치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경제성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etection of Phytoplasmas from Paulownia tomentosa, Syringa vulgaris and solidago vir-aurea var. gigante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ir Relationships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이용한 오동나무, 라일락, 미역취의 Phytoplasma 검출 및 유연 관계)

  • 이준탁;이준탁;예미지;권오유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제12권2호
    • /
    • pp.191-196
    • /
    • 1996
  • 위축, 황화, 총생 증상 등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내는 phytoplasma에 감염된 식물에서 phytoplasma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Phytoplasma의 16S rRNA gence의 DNA 단편을 증폭하기 위하여 1.4 kb primers (forward, 5` -GTTGATCCTGGCTCAGGATT-3` 와 reverse, 5` -AACCCCGAGAACGTATTCACC -3`)를 사용하여 증폭한 결과, phytoplasma에 이병된 오동나무, 라일락 및 미역취에서는 약 1.4 kbp의 위치에서 특이 band가 검출되었으나 control로 사용한 건전주에서는 어떠한 band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재확인 하기 위하여 약 0.5 kb의 primers(forward, 5` -ACGAAAGCGTGGGGAGCAAA-3` 와 reverse, 5` -GAAGTCGAGTTGCAGACTTC-3`)를 사용하여 증폭한 결과, 0.5 kb의 위치에서 특이 band가 검출되었으나 control로 사용한 건전주에서는 어떠한 band도 검출되지 않았다. Phytoplasma에 이병된 식물의 PCR 반응산물을 제한효소인 AluI으로 처리하 sruf과, 오동나무와 라일락에서는 동일한 band pattern을 나타내어 서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phytoplasma인 것으로 생각되며, 미역취에서는 이들과는 다른 band pattern을 나타내어 오동나무와 라일락의 phytoplasma와는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