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생육

Search Result 3,02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Using Plant Extracts (식물추출물을 왈용한 엇갈이 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의 생육특성 비교)

  • Lee Geun-Woo;Jong Mun Jeon;I-Jin Choi;Jae Hyo Jung;Hyo Cheng Che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6-76
    • /
    • 2020
  • 최근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치유, 교육 등 다양한 목적으로 도시농업에 참여하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도시텃밭의 농약, 비료 사용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해충 피해, 농산물의 건강성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텃밭 작물의 생육 증진, 잔류농약 문제 해결 등 농산물 안정성 증가에 기여하고자 식물추출물을 활용한 엇갈이 배추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식물류 5종(쇠비름, 소리쟁이, 명아주, 박주가리, 환삼덩굴)과 허브류 5종(메리골드, 서던우드, 캐모마일, 애플민트, 로즈마리), 식용작물류 5종(양파, 마늘, 부추, 차즈기, 들깨) 등 추출 대상 식물 15종을 60℃에서 3일간 건조시켜 마쇄하였다. 이후 각 식물체 100g을 35% 에틸알코올 1,000ml에서 7일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30%로 희석하여 주 2회씩 총 3주간 배추에 엽면살포하였다. 엽면적, 엽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 등 생육특성을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엽면적과 엽폭은 환삼덩굴 처리구에서 104.58cm2와 9.80cm로 가장 넓었고, 엽장은 박주가리 처리구에서 25.24cm로 가장 길었으며, 지하부 생체중은 메리골드 처리구에서 6.24g으로 가장 높았다. 엽수는 애플민트와 마늘 처리구에서 6.4개로 가장 많았고, 지상부 생체중과 엽록소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무처리 대비 엽면적 22%, 엽폭 18%의 유의한 생장 차이를 보인 환삼덩굴 추출물과 엽면적 12%, 엽장 17%의 생장 차이를 보인 박주가리 추출물, 엽면적 10%, 엽폭 9%의 생장 차이를 보인 양파 추출물이 엇갈이 배추 생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환삼덩굴, 박주가리, 양파 등 일부 식물추출물이 엇갈이 배추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말농장 등 도시텃밭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향후 식물추출물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추출 방법과 적정 농도, 보관 시기 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도시텃밭 해충방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약해검정과 살충효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Yield of Rice in Yeosu of Korea (여수지역 기상과 벼의 수량성)

  • 권병선;신동영;현규환;신정식;신종섭;최성규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87-89
    • /
    • 2003
  • 벼의 생육과 수량에는 토양과 생물환경 못지 않게 기상환경도 중요하다. 기상환경 중에서도 기온과 일조시수의 영향은 매우 커서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여수지역에서의 10년간 기상조건과 벼의 수량성을 비교하였던바 생육 초기의 영양생장기에 비하여 생육후기의 생식 생장기에서의 높은 고온과 많은 일조시간(일사량)은 증수되는 경향이 었다.

  • PDF

Expression of CAB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Gene in Transformed Plants (CAB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유전자의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발현)

  • 박성원;김선원;이영기;강신웅;이청호;이종철;최순용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8 no.1
    • /
    • pp.41-45
    • /
    • 2001
  • Transgenic tobacco plants were produced by the transformation of ginseng CAB gene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The presence of CAB gene in the second generation of transgenic tobacco plant was confirmed by genomic PCR. The photosynthetic ability of transgenic plants was higher than normal tobacco plants and the maximum photosynthetic point of transgenic and normal tobacco plants was 500 $\mu$mol m$^{-2}$ s$^{-1}$ . The photosynthesis of C7, C11, 1, C14 cell lines was higher than normal plants at all the light intensities investigated. The photosynthesis of C2, C11, C14 cell lines in 90% dark condition was higher than normal plants. The chlorophyll contents of transgenic tobacco plants were almost same as normal plants. The % of dry weight, nicotine content, total sugar and nitrogen contents of harvested transgenic tobacco plant leaves were almost same as normal plants.

  • PDF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 Lee, Jeom-Sook;Ilm, Byung-Sun;Myeong, Hyen-Ho;Park, Jung-Won;Kim, Ha-S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2 no.1
    • /
    • pp.102-110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halophyte community and soil analysis according to habitat in representative 18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from July 2006 to April 2008 and suggested basic materials for vegetational restoration of these aras. First, the survey area was classified into coastal and estuarine marshes. Then, the coastal marshes were classified into clay marsh, sand gravel marsh, and sand marsh, and the esturarine marshes, into salt swamp and estuary marsh. Major plant communities according to habitat pattern were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Suaeda japonica community in the clay marsh; Phragmites communis, Zoysia sinica, Carex scabrifolia, Salicornia herbacea, Artemisia fukudo, Suaeda martima community in the sand gravel marsh;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and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in the sand mars; Phragmites communis, Zoysia sinica, Suaeda martima, and Carex scabrifolia community in the salt swamp, and Suaeda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Suaeda asparagoides community in the estuary marsh. The soil environment of halophyte community area showed a difference to soil and halophyte community according to habitat characteristics of halophyte. Thus, to restore salt mashes in the coast area, it is advantageous for the stable settlement, germination, and growth of halophyte to grasp phys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 soil in the salt marshes, to select halophyte suitable to these habitat conditions, and to expand gradually in the natural vegetation area after transplantation.

Effect of Several Cultivation Method on Growth of Lythrum salicaria L. (Dwarf Pink) (몇 가지 재배방법이 털부처꽃(Dwarf Pink)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Yeon, Soo Ho;Lee, Sang In;Jeong, Mi Jin;Cho, Ju Sung;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34-34
    • /
    • 2019
  •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은 7~8월에 최산꽃차례로 붉은 자주색의 꽃이 피며, 밀원식물로 이용된다. 또한 예로부터 발효해서 술로 마시고 잎은 채소로 식용하였으며, 식중독 치료 및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이다. 한국, 중국,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등의 습한 지역에 분포한다. 본 연구는 다방면으로 이용이 가능한 털부처꽃을 관상용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최적의 유묘 재배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리온실 내에서 2019년 4월 27일에 종자를 파종하여 8주간 육묘하였다. 파종 용기는 162, 200 및 288 트레이로 달리하였으며, 토양 실험은 원예상토와 피트모스:펄라이트 3:1, 4:1 혼용토를 사용하였다. 파종립수 실험은 200구 트레이에 셀 당 1, 2, 4 및 6립으로 달리하였고, 추비는 hyponex (6.5-6-19)를 0, 250, 500, $1000mg{\cdot}L^{-1}$의 농도로 출아 후 2주 간격으로 총 3회 엽면시비하였다. 또한 차광 실험은 0, 55, 75%로 설정하였다. 대조구는 200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셀당 1립씩 파종하여 무차광 조건에서 육묘하였으며, hyponex $500mg{\cdot}L^{-1}$를 추비하였다. 연구의 결과, 파종용기에 따른 털부처꽃 유묘는 셀 당 토양의 양이 가장 많은 162구 트레이에서 왕성하였다. 토양 종류별 실험은 원예상토 단용구에서 모든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혼용토에서는 생육이 억제되었다. 파종립수에 따른 초장의 유의적인 생육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인 생육은 1립 파종에서 우수하였다. 한편 2립 또는 4립을 파종구에서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고 풍성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어 관상적 이용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추비처리는 hyponex의 농도가 가장 높은 $1000mg{\cdot}L^{-1}$ 처리구에서 유묘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500mg{\cdot}L^{-1}$ 처리에서는 무처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차광처리는 털부처꽃의 유묘 재배시 전반적인 생육을 증가시켰으며, 55% 차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털부처꽃의 육묘는 162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셀 당 2립 또는 4립을 파종하고 55% 차광 조건에서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추비는 hyponex $1000mg{\cdot}L^{-1}$를 처리하는 것이 양묘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against Periodontopathic Bacteria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 Lee, Seung-Hee;Kim,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242-255
    • /
    • 2019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microboal effect against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nd Prevotella intermedia which were the bacteria causing the Periodontopathic by using 34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s growth inhibition activity and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of a sample extract with the use of organic solvent extracts in order to analyz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on periodontopathic bacteria. Each of the 34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were extracted by using the ethanol, and subsequently, the size of growth inhibition zone(clear zone, ㎜) of respective extracts were measured through the disk diffusion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for A. actinomycetemcomitans, which is the bacteria causing the Periodontitis, in 13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such as Raphanus sativus, Akebia quinata, Paeonia lactiflora, Belamcanda chinensis, Inula britannics, Houttuynia cordata, Forsythia saxatilis, Gentiana macrophylla, Melia azedarach, Scut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Kalopanax Pictus, etc. In the case of P. intermedia,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13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such as Raphanus sativus, Angelica acutiloba, Akebia quinata, Belamcanda chinensis, Inula britannics, Houttuynia cordata, Cinnamomum cassia, Aster tataricus, Melia azedarach, Scut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Kalopanax Pictus etc. For A. actinomycetemcomitans, anti-bacterial effect was exhibited in Belamcanda chinensis, Cinnamomum cassia, Kalopanax Pictus, Phellodendron amurense, Coptis chinensis. The Coptis chinensis showed the most excellent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all organic solvent fragment, while P. intermedia showed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Belamcanda chinensis, Cinnamomum cassia, Meliaazedarach, Phellodendron amurense, and Coptis chinensis.

Growth Characteristics of Adenocaulon himalaicum according to microenvironments (주요 산채류인 멸가치의 미세환경에 따른 생육특성)

  • Kim Hyung-Kwang;Jo Dong-Gwang;Lee Jeong-Ho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8 no.1
    • /
    • pp.117-122
    • /
    • 2005
  • Moisture and quantum were measured to investigate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denocaulon himalaicum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plants at the forest plants. The herbal medicines of Adenocaulon himalaicum known as one of the main mountain edible herbs have great value of resources according to the report that dopamine causing schizophrenia is greatly reduced with it. The moisture is a primary factor for the growth of Adenocaulon himalaicum.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the site with little change of temperature and under $200\;{\mu}mol\;s^{-1}m^{-2}$ quantum is suitable. Also, the maintenance of relative humidity over $50\%$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proliferation of shady spot plants.

Several Factors Affecting Cultivation of Ground-cover Plants on Silene repens Patrin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의 지피식물용 재배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요인)

  • Jeong, Eun-ah;Jeon, Ki-beom;Choi, Hye-min;Moon, Sang-a;Yeon, Su Ho;Lee, Seong Yeon;Kwon, Soon-tae;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7-57
    • /
    • 2018
  • 관상용, 식용 및 약용으로도 이용되는 석죽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오랑캐장구채는 국내에서는 중부 이북지방의 유용 자생식물로 조경산업에의 이용가치가 크나, 이용성 증대 등을 위한 재배기술은 미흡하다. 지피식물용 재배조건의 구축을 위하여 2017년 7월 31일부터 10월 9일까지 약 10주간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 종자에서 육묘한 유묘를 사용하였으며, 유묘의 소질, 이식조건 및 재배관리에 대한 생육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묘의 소질로는 162구 트레이에서 cell당 4립씩 파종하여 육묘된 유묘가 초장 및 건물중이 높았고, 특히 4립 파종구는 마디수를 제외한 생육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경제성을 고려할 때, 상토는 혼합비료(N-P-K) $300-200-200mg{\cdot}L^{-1}$가 첨가된 마사토:피트모스(3:1) 혼용토를 충진한 처리구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코트비료의 기비처리는 포트당 20알 처리구에서 지하부 생체중이 무거웠으나, 엽면적 등 다른 생육량을 고려할 때 기비하지 않은 처리가 효과적이다. 재배관리에 있어서 차광처리는 습기 등의 환경에 약한 유묘의 특성상 차광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이 모든 생육량이 높았다. 이식 후에는 추비처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추비농도는 엽수 등을 고려할 때 $500mg{\cdot}L^{-1}$ hyponex이 적합하였다.

  • PDF

Effects of Streptomyces spp. on Growth of Plants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Pathogens (방선균의 식물생육촉진 효과와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 Han, Ji Hee;Park, Kyung Seok;Lee, Sang Yeob;Kim, Jeong Ju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6 no.4
    • /
    • pp.383-386
    • /
    • 2012
  • Streptomyces spp. were isolated from rhizosphere in fallow lands. The Streptomyces spp. were identified as Streptomyces griseus (MSS181), Streptomyces griseoaurantiacus (MSS269), Streptomyces microflavus (MSS275), Streptomyces herbaricolor (MSS276)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fterwards, cucumber, pepper, tobacco and tomato were drenched with the isolates at early growth stages and plant growth such as height and dry weight of plants was measured. By treatment of Streptomyce spp., plant height of cucumber was increased by 16-29% compared to the control,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 weight. When the same isolates were treated on chili-pepper,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hili-pepper were increased respectively by 10-19% and 19-25% compared to the control. The dry weight of tobacco and tomato were increased by 44-73% and 65-16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When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isolates were tested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Streptomyces microflavus (MSS275) effectively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 and Sclerotinia scleroti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