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생육

Search Result 3,02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식물줄기의 Sap Flow의 계측 및 활용 기술

  • 우영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12
    • /
    • 1999
  • 식물생육에 필요한 모든 물질 가운데 가장 많이 요구되는 것이 물이다. 물은 가장 많이 흡수하는 물질인 동시에 가장 많이 소실되는 물질이기도하며 또한 가장 다양한 기능을 가진 물질이기도 하다. 모든 식물은 그들의 생장과 분화과정에서 물의 공급량에 대하여 매우 예민한 반응보인다. 이러한 민감한 반응은 고착생활을 하는 식물이 주어진 생육환경의 조건을 감수하면서 수분 결핍이나 건조로부터 스스로 보호하려는 필수적인 현상이다. (중략)

  • PDF

옥상녹화를 위한 무기질계 토양 및 야생초화류별 식물 생육특성

  • 문석기;이은엽;신병철;곽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388-389
    • /
    • 2002
  • 옥상지반의 무기질계 토양종류와 야생초화류별 식물생육생태를 파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초기 발아정도는 버미큘라이트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장과 피복율의 경우도 1, 2차 실험기간동안에는 버미큘라이트가 우수했으나 3차 이후부터는 오히려 펄리아트 처리구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야생초화류의 토양종류별 생육특성을 실험한 결과 대체적으로 민들레, 벌개미취, 마타리, 큰달맞이의 생육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β-Glucan- and Xanthan gum-based Biopolymer Stimulated the Growth of Dominant Plant Species in the Korean Riverbanks (베타글루칸과 잔탄검 계열 바이오폴리머 신소재의 국내 하천 식물종에 대한 생육 촉진 영향)

  • Jeong, Hyungsoon;Jang, Ha-Young;Ahn, Sung-Ju;Kim, Eunsu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3
    • /
    • pp.163-170
    • /
    • 2019
  • The civil engineering materials used to stabilize the slopes of new riverbanks have a great impact on the types and growth of vegetation introduced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procedure. Recently, microbial-derived, ${\beta}$-glucan- and xanthan gum-based biopolymer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ecofriendly strengthening material of riverbanks that can possibly stimulate plant growth. This study aimed to assess ecological effects of biopolymer application on native plants in Korean riverbanks. In particular, since dominant plant species could shape characteristics of an ecosystem, we examined the effects of biopolymer on the dominant plant species in riverbanks. Overall, biopolymer did not affect seed germination rates of testing plant species. In contrast, plants grew more vigorously in the soil mixed with biopolymer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soil. The biomass of Echinochloa crus-galli especially increased around two times more in the biopolymer treatment. Plants produced heavier root biomass and leaves with larger specific leaf area, which possibly contributes to the tolerance of environmental stress like drough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polymers treated on river banks are expected to stimulate plant growth and increase stress tolerance of domestic dominant plant species.

Pot Cultivation Method of Minuartia laricina (L.) Mattf. for Ground Cover (너도개미자리의 지피용 포트묘의 재배 방법)

  • Soo Ho Yeon;Sang In Lee;Ju Sung Cho;Cheol 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21-21
    • /
    • 2020
  • 본 연구는 7~10월에 백색 꽃이 개화하는 화훼류인 너도개미자리[Minuartia laricina (L.) Mattf.]를 지피용 관상식물로 활용하기 위한 재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용식물증식센터에서 종자를 분양 받아 2019년 4월 19일에 트레이에 파종하여 충북대학교 유리온실에서 육묘한 유묘를 7월 4일에 정식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9월 24일까지 약 11주 동안 재배하였다. 식재 용기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닐 포트 2, 3, 4치를 이용하였다. 토양 실험은 단용토로 원예상토를 사용하였으며, 혼용토는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를 2:1, 3:1 비율로 혼합한 후 토양 9L당 퇴비 1L를 첨가하였다. 묘 소질에 관한 실험은 파종립수(1, 2, 4, 6립)와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를 각기 달리하여 육묘한 유묘를 정식한 후 생육을 비교하였다. 대조구는 비닐 포트 3치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1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 용기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생육은 4치 비닐 포트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면, 개화율이 양호하였던 3치 포트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볼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종류별로는 원예상토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러나 너도개미자리는 배수가 잘되는 산지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육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인 마사토와 피트모스를 3:1로 혼합한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도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파종 립수에 따른 너도개미자리의 개체당 생육은 셀당 파종된 립수가 적을수록 왕성하였으며, 1립과 2립 파종묘가 우수하였다. 2립 파종묘의 포트당 생체중이 가장 무거운 결과를 보였으며, 4립과 6립 파종묘는 개체당 생육이 크게 억제되어 2립 파종묘에 비해 저조하였다. 파종 용기에 따른 생육은 육묘에 사용된 용기의 크기가 클수록 정식 후 모든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162구에서 생산한 묘가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개화율은 200구 생산 묘가 가장 높았으며,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던 162구 생산 묘는 왕성한 생육으로 인해 개화가 비교적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너도개미자리의 재배는 4치 비닐 포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여 200구 트레이에 셀당 2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지피용 재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3치 비닐 포트에 마사토와 피트모스를 3:1로 혼합한 토양을 이용하는 것도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rowth Responses of Lactic Acid Bacteria to Leguminous Seed Extracts (콩과식물 종실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생육반응)

  • Lee, Hoi-Seon;Ahn, Young-Jo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0 no.2
    • /
    • pp.167-171
    • /
    • 1997
  • Methanol extracts from 25 seed samples belonging to the family Leguminosae were subjected to an in vitro screening for their growth-promoting and inhibitory activities towards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 longum, B. bifidum, and Lactobacillus casei,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s under $O_2-free$ conditions, respectively. The responses varied with both bacterial strains and plant species. Among seed extracts, extracts from Glycine max (light-green color) and Arachis hypogaea (dark-brown) enhanc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media with or without carbon sources, suggesting that bifidus factor(s) might be involved in the phenomenon. This growth-promoting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L. casei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Additionally, all seed extracts did not adversely affect the growth of the lactic acid bacteria tested.

  • PDF

Several Factors Affecting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for Pot Cultivation (몇 가지 요인이 산꼬리풀 분화재배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 In;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7-87
    • /
    • 2019
  • 현대인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관상식물의 관심이 증가하여, 자생초화류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은 국내 특산식물로서 산지의 초원에서 자생하고, 쪽빛을 내는 화기는 청아한 느낌을 주어 관화식물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8년 7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플라스틱 8, 10, 12호 화분, 비닐포트 3, 4치),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립수(1, 2, 4, 6립),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생육은 플라스틱 화분 12호에서 왕성하였고, 포트의 용적량이 클수록 경직경, 측지수, 마디수, 엽수, 개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고, 측지수,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이 모두 우수하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였다. 피트모스 혼용토는 생육이 억제되는 동시에 잎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사토 혼용토의 경우,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 절간장은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포트당 마디수와 엽수는 증가하였으나, 1립 파종묘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4립 파종묘(44.4%)가 1, 2, 6립 파종묘(20.8~25.0%)보다 높았다. 육묘용기별 생육은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던 162구 생산묘가 정식 후 재배에도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꼬리풀의 최적의 분화재배를 위해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162구 트레이에 포트당 엽수와 개화율이 높은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토양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던 마사토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음효과가 죽절초(Chloranthus glaber thunb. Mak.) 생장에 미치는 영향

  • Son, Seok-Gyu;Byeon, Gwang-Ok;Kim, Mi-Jeong;Je, Seon-Mi;U, Su-Yeong;Kim, Chan-S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5.11a
    • /
    • pp.141-143
    • /
    • 2005
  • 죽절초는 높은 광도 보다는 낮은 광도에서 생육이 건전하게 유지되고 광합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죽절초가 최적으로 생육할 수 있는 조건은 전광의 약 70%정도로 낮은 광도인 실내환경에서 잘 적응할 것으로 추정되어 실내 조경 식물소재로 도입한다면 좋은 관상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 생장의 중요 조건 중 하나인 기공전도도 또한 70% 비음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실내 조경식물로 죽절초가 생육하는 경우에 실내의 낮은 광도에서도 원활한 기공개폐가 이루어져서 실내공기 오염도를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Selection of Native Plants for Mixed Planting with 'Damogy' Cultivar of Gomchwi as Wild Vegetable on Landscape Agriculture in Highland Area (고랭지 산채류 경관농업을 위한 곰취 '다목이'와 혼식용 자생식물 선발)

  • Yoo, Dong-Lim;Kim, Ki-Deog;Suh, Jong-Teak;Lee, Yeong-Gyu;Baek, Gye-Lyeong;Lee, Gye-Jun;Kwon, Min;Yu, Hong-Seob;Nam, Ju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58-58
    • /
    • 2018
  • '다목이'는 일반 곰취를 모본으로 한대리곰취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병에 강하고 수량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진 곰취 신품종으로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육성하였다. 경관농업은 청정 농산물의 생산, 가공과 서비스가 연계된 농업의 6차산업화를 대표하는 농업형태이다. 곰취를 이용한 산채류 경관농업을 구현하기 위해 '다목이'와 자생식물의 혼식을 통한 친환경 생산기술을 개발코자 하였다. 인공상토로 채운 화분에 곤달비와 삼백초, 백리향, 라벤더 등 국내 외 자생식물을 혼식하여 각 식물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조사하였다. 삼백초, 라벤더, 이질풀, 웜우드, 어성초는 '다목이'와 혼식하여 지상부 생체중 214.1~362.4g, 지하부 생체중 171.0~258.5g으로 생육이 대등하거나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생강과 박하는 '다목이'의 생육량을 지상부 생체중 90.9~123.6g, 지하부 생체중 54.0~110.3g으로 현저히 감소시켰다. 백리향과 좀씀바귀, 제충국, 옥잠화는 '다목이'에 의해 생육이 극도로 저하되거나 고사하였다. 배초향은 '다목이'와 서로의 생육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목이'와의 혼식은 경관농업의 목적에 따라 삼백초, 라벤더, 이질풀, 웜우드, 어성초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Several Cultivation Factors Affecting Seedling Growth of Veronica rotunda Nakai. (둥근산꼬리풀의 유묘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재배 요인)

  • Lee, Sang In;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0-50
    • /
    • 2018
  • 최근 생태 조경용 관상식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적응성이 강하며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는 자생식물들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둥근산꼬리풀(Veronica rotunda Nakai)은 화기가 길며, 꽃이 만개하였을 때 관상가치가 높아 정원의 지피식물 및 실내 분화식물로 이용 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둥근산꼬리풀의 육묘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8년 5월 8일에서 6월 30일까지 약 8주간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공통사항은 200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후 셀당 4립씩 종자를 파종하였다. 이후 무차광 조건에서 육묘하였으며, 추비는 hyponex $500mg{\cdot}L^{-1}$를 잎이 충분히 젖도록 2, 4주차에 엽면시비 하였다. 파종 용기별 실험은 162, 200, 288구 트레이를 사용하였고, 파종립수별 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구 트레이에 셀 당 1, 2, 4 및 6립을 파종하였다. 토양종류는 원예상토,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의 혼용토를 육묘에 이용하였다. 각 혼용토의 비료 농도는 한아름상토(N:P:K, $300-200-200mg{\cdot}L^{-1}$)를 기준으로 0, 100 및 200%로 조성하였다. 추비는 hyponex (6.5-6-19)를 물에 희석하여 0, 500, 및 $1000mg{\cdot}L^{-1}$로 파종 후 2, 4주차 총 2회 잎이 충분히 젖을 정도로 엽면시비 하였으며, 차광실험은 0, 55 및 75% 차광막이 설치된 곳에 재배하였다. 8주간 육묘 실험을 수행한 결과, 파종 용기별로는 162구 트레이에서 생육한 유묘에서 각 측정 항목별로 유의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셀 당 파종립수 별로는 1립 파종구에서 가장 우수한 유묘의 생장을 보였으며, 파종립수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토양조성을 달리하였을 때 원예상토 단용 처리에서 가장 생육이 우수하였고, 피트모스가 혼합된 토양에서는 생육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Hyponex의 농도를 달리하여 추비하였을 때 $1000mg{\cdot}L^{-1}$에서 유묘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추비농도가 감소할수록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정도에 따른 생육을 관찰한 결과 55% 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75% 차광의 경우에는 무차광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각 처리별 결과를 토대로 둥근산꼬리풀을 육묘시 162구 트레이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후 셀 당 1립 파종하여, 55% 차광에서 재배하며, 추비는 Hyponex $1000mg{\cdot}L^{-1}$를 잎이 충분히 젖을 정도로 엽면시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ison of Plant's Growth in Wall Greening Depending on Orientations (방위에 따른 벽면녹화식물의 생육 비교)

  • Kim, Da-Yoon;Cho, Yong-Hyeon;Son, In-Ki;Kim, Yoo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5
    • /
    • pp.71-78
    • /
    • 2021
  • Green areas and the area of available horizontal surfaces are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overcrowding of buildings. It is adversely affecting the urban climate and ecosystem. However,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green area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wall greening using vertical surfaces is growing.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domestic wall greening guidelin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orientations restrict planting. there was no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ctual differences in plant growth due to orien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by orientations to apply actual wall greening to c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2020. First of all, three octave walls were construct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illumination, and the length of the plants once a week. The plants include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Hedera rhombea, and 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pl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henocissus tricuspidata was prolific in the north, and Hedera rhombea, and 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plants were prolific in the south. All three types of plants were prolific in June-July, and the Parthenocissus tricuspidata was prolific in grass-growing, and in August, all the walls were 100% covered. Hedera rhombea had the lowest rate of herbaceous growth, and the vertical coverate was also lower at an average of 45%, but among the three plants, the sheath of the horizontal surface coverate was the highest. Euonymus radicans cv. Aueonmarinata Rehd was low in the speed of herbaceous growth, and finally, the walls were 100% covered except for the north and northwest directions. It was found that not all plants used for wall greening show the same growth, and the difference in growth varies more depending on plants than the effect of orientations. Therefore, it is bett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and plant suitable plants for ea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