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병원균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25초

Thymol과 Carvacrol 유도체들의 합성과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In vitro and in vivo antifunal activaties of derivatives of thymol( I ) and carvacrol(II) againt phytopathogenic fungi)

  • 최원식;정찬진;장도연;차경민;엄대용;김태준;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8
    • /
    • 2006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thyme oil의 주성분인 thymol(I)과 carvacrol(II)을 출발물질로 하여 ester, sulfonyl ester, carbamate, ether와 phosphoyl ester 계열 유도체 41종을 합성하였다. IR, GC/MS 와 $^1H$-NMR spectrum을 이용하여 합성된 화합물들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을 10종의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몇가지 화합물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에 대한 in vivo실험은 오이, 토마토와 벼 작물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2-isopropyl-5-methylphenyl acetate(I-1a)가 오이 잿빛곰팡이 병균(Botrytis cinerea)과 벼도열병균(Pyrcularia oryzae)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ethyl(2-isopropyl-5-methylphenoxy)acetate(I-6d)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에서 ethyl4-(2-methyl5-isopropylphenoxy)-crotonate(I-7d)는 토마토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4-Isopropyl, 5-isopropyl-3-methylphenol 유도체들의 합성과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fungal activities for derivatives of 4-isopropyl-3-methylphenol and 5-isopropyl-3-methylphenol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최원식;장순호;장도연;최경길;이병호;김태준;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9-261
    • /
    • 2006
  • 살균활성이 있는 4-isopropyl-3-methylphenol(I)과 5-isopropyl-3-methylphenol(II)을 출발물질로 하여 ester, sulfonyl ester, carbamate, ether 및 phosphoyl ester계열의 50개 화합물들을 합성하였으며, IR, GC/MS와 $^1H$-NMR spectrum을 이용하여 합성을 확인하였다. 이 유도체들에 대한 in vitro 살균활성 실험을 10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 몇 가지 화합물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을 5가지 식물병(벼도열병, 토마토역병, 오이 잿빛곰팡이병, 벼 잎집무늬 마름병, 오이탄저병)에 대하여 in vivo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isopropyl-3-methylphenyl (2-aminothiazole-4-yl)methoxyiminoacetate(I-7a)는 벼 도열병(Pycularia oryzae)에 methyl (4-isopropyl-3-methylphenoxy)acetate(I-4d)와 methyl (5-isopropyl-3-methylphenoxy) acetate (II-4d)는 오이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에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eptotinia sp.에 의한 개나리 가지마름병(가칭) 발생 (First Report on the Shoot Blight Disease of Gaenari (Forsythia koreana) Caused by Septotinia sp. in Korea)

  • 우지혜;김미경;이건우;한상섭;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242
    • /
    • 2023
  • 이른 봄에 개나리 꽃잎과 잎에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서 조직이 괴저하며 마르고 증상이 가지까지 확산되었다. 감염된 가지에는 궤양이 생기며 5월 초부터 윗부분이 말라 죽는데, 가지 기부까지 말라 죽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마름 증상을 보이는 가지 조직으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시료로부터 같은 균이 분리되었는데,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흰색 균총을 만들었으며 23℃에서 생육이 가장 활발하였고 크기가 다양한 균핵을 많이 만들었다. 개나리의 각 기관에 균사와 균핵 현탁액을 접종한 병원성 검정에서 병원균은 꽃을 감염하며, 잎이나 가지는 감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에 나타난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잎과 가지로 확산되며 감염 조직을 고사시켰다. 병원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ITS, LSU, Tub2, CAL 등 네 가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eptotinia속으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개나리 가지마름병(가칭)에 대한 국내 첫 보고인 동시에 Septotinia속이 식물병원균임을 밝히는 국내 첫 보고이다.

$\beta$-Ketoacetoanilide 염화물의 조합 라이브러리 합성 및 주요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Synthesis of combinatorial library of $\beta$-ketoacetoanilide chloride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in plant pathogens)

  • 한호규;남기달;배수열;양범승;이선우;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5
    • /
    • 2004
  •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염화물 유도체의 합성 및 이들 화합물의 대표적인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Carousel Reaction Stations 장치를 이용하여 조합 합성 기법을 통하여 키틴 이합 체를 염소와 아닐린 유도체와 차례로 반응시켜 89종의 베타-케토아세트아닐라이드 클로라이드 유도체를 얻었다. 합성된 화합물 라이브러리의 항균력(in vivo)을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잎마름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등의 주요 식물병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페닐기의 4위치 (para) 치환체가 존재하는 화합물의 경우에 선택적으로 토마토 잎마름역병을 방제하였다.

벼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 AVR-Pita1 (Avirulence Gene AVR-Pita1 in the Rice Blast Fungus)

  • 박숙영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19
  • 벼도열병균은 벼를 재배하는 모든 지역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병이다. 또한, 벼도열병균은 기주인 벼와 유전자 대유전자설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모델이다. 재배지에 도입된 새로운 저항성 벼 품종의 빠른 저항성 상실은 병원균 집단의 레이스 변이가 주요 메커니즘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레이스 변이는 저항성 유전자에 대항하는 비병원성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 (i) 점돌연변이, (ii) 전이인자(transposon)의 삽입, (iii) frame shift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비병원성 유전자 AVR-Pita1은 이러한 다양한 변이의 원인들이 모두 보고된 대표적인 비병원성 유전자이다. 이 총설에서는 비병원성 유전자 AVR-Pita1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시하고, 상동성 유전자들인 AVR-Pita2 및 AVR-Pita3 유전자를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변이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예제를 리뷰 하였다.

차나무의 병해 III. Pestalotiopsis longiseta에 의한 차 겹둥근무늬병 (Diseases of Tea Trees III. Gray Blight of Tea Tree Caused by Pestalotiopsis longiseta)

  • 박서기;박기범;차광흥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3-465
    • /
    • 1996
  • 1992∼1994년 전남 보성지방 다원에서 2번차 수확 및 전지후의 차나무에 겹둥근무늬병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잎에는 다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의 병반 위에 겹둥근무늬가 형성되었고, 후기에는 병반 위에 겹둥근무늬의 소혹점(분생자층)이 다수 형성되었다. 이 병원균은 Pestalotiopsis longiseta (Spegazzini) Dai et Kobayashi로 분리, 동정되었고, 균 접종 11일 후에 병징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 PDF

오이 탄저병원균과 잿빛곰팡이병원균에 억제 효과가 있는 방선균 선발 (Selection of Antagonistic Soil Actinomycetes Against Both Colletotrichum orbiculare and Botrytis cinerea in Cucumber Plants)

  • 곽화숙;김지원;박진우;상미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5-5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오이 지상부에 발생하는 두 가지 병원균 B. cinerea와 C. orbiculare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유용한 방선균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 560 균주 중 두 병원균에 대해 동시 항균활성을 나타낸 7균주를 일차적으로 선발한 후, 배양여액의 항균활성 검정을 위한 대치배양과 오이 식물체 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S20-465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균주는 염기서열 비교 분석을 통해 Streptomyces sp.로 동정하였다. S20-465 균주의 배양여액은 두 병원균의 균사 생장을 60%이상 억제하였다. 배양여액의 20배, 40배 희석액을 분무 처리할 경우 오이 잎에서의 잿빛곰팡이병에 의한 병반길이를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탄저병의 발병도도 대조구에 비해 50% 이상 감소시켜 생물검정에서도 병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최종 선발한 S20-465는 앞으로 생물방제 미생물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화에 발생하는 반쪽시들음병균 Verticillium dahliae 검출용 등온 증폭법 개발 (Development of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Detection Assay for Verticillium dahliae Infection in Chrysanthemum)

  • 백창기;박미정;한경숙;박종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37-441
    • /
    • 2019
  • 국화에 발생하는 반쪽시들음병은 Veriticillium dahliae에 의해 발생하는 진균병으로 국화 재배농가에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일반 식물병원균을 동정하는 방법으로는 병원균을 진단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V. dahliae를 신속하고 특이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등온증폭기술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을 적용한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반쪽시들음병균의 cellulose-growth-specific protein partial m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4개의 특이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다. 최적 반응조건 및 시간은 60℃ 내외의 온도조건에서 60분 이내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등온증폭 검출법은 4종의 토양전염성 병원균과 기주식물의 DNA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따라서 반쪽시들음병균 등온증폭법을 활용한다면 병원균의 감염 유무를 조기에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고, 반쪽시들음병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곰취 흰비단병 (Stem Rot on Ligularia fischer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문윤기;김세원;최준근;권순배;심홍식;주호종;최인영
    • 식물병연구
    • /
    • 제21권1호
    • /
    • pp.36-39
    • /
    • 2015
  • 2012년과 2013년 6월 하순 강원도 횡성과 평창의 곰취(Ligularia fischeri) 재배포장에서 포기가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는 이상 증상이 발생하였다. 발병정도는 30-80%로 병든 식물체를 조사한 결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흰색의 곰팡이와 갈색의 작고 둥근 균핵이 관찰되었다. 병원균을 순수 분리하여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갈색의 작고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10{\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25-30^{\circ}C$이었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또한, 병원균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695 bp로 Sclerotium rolfsii와 같은 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99%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곰취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 등을 종합한 결과 S. rolfsii Saccardo로 동정되어 곰취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