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도이물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1초

공기음영으로 오인될 수 있는 두경부 영역의 관통성 나무이물에 대한 컴퓨터 전산화 단층촬영의 의의 (CT in Penetrating Wooden Foreign Bodies of Head and Neck)

  • 오승철;김찬우;박병훈;강인봉;김선태;장일환;차흥억;이선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2-147
    • /
    • 1998
  • Retained wooden foreign bodies following penetrating trauma are a difficult diagnostic problem. However, penetrating wooden foreign bodies of head and neck have the potential for misinterpretation or failure to detect such foreign bodies on CT. Given the likelihood that such a miss will result in an abscess or neurovascular injury, we present the method with higher window settings, they had a higher attenuation with a unique striated internal architecture and different Hounsfield numbers readily differentiate air and non-air hypodense material such as fat, or possibly wood. Being aware of the potential appearance of wood, we may also find CT useful in excluding small retained fragments in postoperative patients with persistent symptoms. This article presents two cases in which wooden foreign bodies of head and neck were present with CT evaluation.

  • PDF

식도 손상의 치료 (Treatment of Esophageal Injury)

  • 심희제;장인석;박현오;이정은;김종우;최준영;이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05-709
    • /
    • 2010
  • 배경: 식도손상은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신속하게 알맞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식도손상의 치료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9년까지의 10년간 식도손상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병록지를 분석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식도손상의 원인, 주증상, 진단법, 치료방법, 후유증, 예후를 확인하였다. 결과: 손상의 원인은 이물질에 의한 경우가 9예(41%), 구토로 인한 손상이 5예(23%)였다. 치료는 식도일차봉합술이 12예 (55%), 절개배농술이 4예(l8%), 보존적 치료가 6예(27%) 있었다. 치료중 식도 누출이 7예 (32%)에서 있었으며, 사망은 3예(14%) 있었다. 결론: 식도 손상이 경미한 경우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도 치료성적이 우수하였으며, 식도 주위에 농양이 존재하거나 분명한 식도 손상이 있는 경우 즉시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체 동양안충 감염 1례 (A Case of Human Thelaziasis in Korea)

  • 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83-84
    • /
    • 1987
  • 1983년 10월에 15세된 여자가 내원 수일 전부터 오른쪽 눈의 이물감과 소양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며칠전 환자 자신이 오른쪽 눈에서 충체를 꺼냈으며, 내원하여 2마리를 적출하였다. 두 마리는 모두 자충이었으며 각각 길이 13.4mm, 폭 0.36mm와 길이 8.3mm, 폭 0.39mm였으며 구강의 길이는 각각 0.24mm, 0.31mm이었다. 표피의 가로주름이 식도부위에서는 1mm당 281개, 중앙부위는 172개, 후단부는 162개이었으며 충체 전단부터 질 입구까지의 길이는 0.44mm이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두마리 충체를 Thelazia callipaeda로 동정하였다. 이 동양안충 감염에는 한국에서 15번째이다.

  • PDF

C-arm 방사선 투영법을 이용한 식도 점막 하 이물 제거 (Removal of Esophageal Submucosal Foreign Body Under C-arm Fluoroscopic Guidance)

  • 김희진;김효상;차원재;성명훈;하정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18
    • /
    • 2013
  • Esophageal foreign body is common condition for visit emergency room, and most of them were successfully removed with endoscopy. However, in case of esophageal foreign body impaction, it can be difficult to localize the foreign body. We report a 29-year old man with esophageal foreign body impaction. We successfully localized and removed the esophageal submucosal foreign body using rigid endoscopy under C-arm guidance, avoiding more invasive procedure. The patient was followed up without any complication.

  • PDF

기도이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he Foreign Body in the Air Passage)

  • 조진규;안회영;홍남표;이익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3-14
    • /
    • 1983
  • 저자들은 1973년 4월부터 1983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입원치료한 기도이물환자 24 명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은 남자 17예(71%) 여자 7예 (29%)로 남자에서 2.4 : 1의 비율로 많았고, 연령별은 4세 이하 17예 (71%) 로 전체의 2/3를 차지하였다. 2) 발병후 내원까지의 기간은 24시간 이내 12예(50%), 2~3 일 5예(21%)이었으며, 5개월이 지나서 내원한 예도 1예 있었다. 3) 이물의 종류는 식물성 13예( 54 %), 프라스틱 종류 5예(21%), 어골 3예(13%), 금속성 2예(8%), 치아 1예 (4%)의 순이었다. 4) 개재부위는 기관과 우측 기관지가 각각 9예(38 %), 좌측 기관지와 성문부가 각각 3예(12%)이었다. 5) 내원시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이 19예 (79%)로 주가 되었고 그외 기침 11예(46%), 발열 9예(38%), 청색증 4예(8%)이었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도 2예 (8%) 있었다. 6) 초진시 이학적 소견은 호흡음 감소가 15예(63%) 로 가장 많았고 그외 수포음 6예(25%), 흡기성 천명 5예 (21%), 흉벽 함몰 2예 (8%) 이었고 2예 (8%)에서는 특기할만한 이학적 소견이 없었다. 7) 내원시 단순흉부 X-선 소견은 무기폐 6예(25%), 폐기종 5예 (21%), 확실한 이물음영과 폐렴이 각각 4예(17%), 심장위치의 이동이 3예(13%)이었고 10예(42%)에서는 이상소견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8) 적출방법은 ventilating bronchoscope을 이용하거나 직접후두경을 이용한 경구적적출이 17예 (21%), 기관절개창을 통한 적출이 5예( 21 %), 기관절개창을 통한 자연배출과 개흉술이 각각 1예( 4 %)이었고 적출술 시도회수는 1회로 성공한 예가 20예( 83%), 2회 이상이 4예( 17 %)이었다. 9) 적출술조작으로 인한 합병증은 기관 발거곤란증과 기흉이 각각 2예 ( 8 %)이었다.

  • PDF

테니스라켓의 안정타점 영역확장을 위한 CAD화에 관한 연구 (CAD for extension of sweet spot of the tennis racket)

  • 오재응;박호;염성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7-18 Oct. 1986
    • /
    • pp.607-612
    • /
    • 1986
  • 최근 테니스의 저변인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테니스 라켓의 제작기술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고 설계제작의 자동화에 의해서 양질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라켓에 볼이 임팩트될때 생기는 진동으로 야기되는 테니스 엘보우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아직도 남아 있다. 이와같이 테니스 라켓의 정적인 강도 뿐만아니라 동적인 특성도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감에 따라 볼 컨트롤을 용이하게 한다거나, 안정타점영역(Sweet Spot)의 확장과 그립부의 진동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엘보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다차원 스펙트럼해석 및 모우드 해석법에의해 그립부에 미치는 진동원의 동정과 라켓의 동적거동에 대해서 연구되었고, 라켓의 재질변경과 그립부의 구조변경에 의한 안정타점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모우드 파라미터(Modal Parameter)의 추정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결국 안정타점영역을 확장시키거나 테니스 엘보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테니스 라켓의 진동 모우드에 관계되는 파라미터들을 찾아서 그 모우드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르느 진동 모우드의 거동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인 모우드 해석법을 실제 테니스 라켓에 적용하여 모우드 파라미터들을 구한 다음 그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르는 안정타점영역의 변화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예측하였다. 또한 안정타점영역을 넓히고 라켓의 동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모우드 파라미터를 찾아서 테니스 라켓의 설계, 제작 단계에 정보를 제공하는 CAD(Computer Aided Design)에 좋은 자료를 얻고자 한다. 있으나 파도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므로 본 논문에서는 파도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파도는 쌍동선에 외란으로 작용하며 측정할 수 없는 양이므로 PID, LQ 제어에서는 제어모델에 포함되지 않지만 LQG 제어에서는 제어모델에 포함된다. LQG 제어의 경우 제어모델에 파도를 백색잡음으로 가정하고 제어기를 구성한 것 (LQG1)과 2차의 쉐이핑필터(shaping filter)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LQG2)으로 나누었다.져 한다.) 식도 이물에 의한, 또는 식도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식도점막열상 1례 (1.8 %), 식도 천공 1례 (1.8 %) 였으며, 기도이물에 의한, 또는 기관지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무기폐 2례 (11.1 %), 폐렴 3례 (16.7 %)로 나타났다.5예에서 소실되었다. 5 ) 청각심리검사 (Psychoacoustic evaluation)에서 폴립은 술전에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11예중 술후 10예에서 Grade 0로 되었으며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3예의 결절에서도 모두 Grade 0로 정상화되었다.>치를 측정한 결과 투여전과 차이가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볼때 Cis-platinum 사용으로 인한 이중독증은 신장기능이 정상일때는 충분한 hydration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며 동시에 금기로 알려져왔던 감음성난청이 있는 두경부악성종양환자에서도 세심한 주의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이관폐쇄술후 18시간에 최초로 삼출액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는 전실험군에서 삼출성중이염이 유발되다. 2

  • PDF

유소아 기도 이물의 임상 양상과 환기형 기관지 내시경술의 결과 : 서울대 병원의 경험 120례 (Clinical Analysis for 120 Cases with Pediatric Airway Foreign Bodies)

  • 차원재;최효근;문성중;하정훈;성명훈;김광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6-30
    • /
    • 2006
  • Backgroud and Objectives: Inhalation of foreign bodies in respiratory tract can be fatal to infants and child. After ventilating bronchoscopy technique was widelyused, most of the pediatric airway foreign bodies could be managed effectively.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clinicalfeatures and outcomes of ventilating bronchoscopic removal of pediatric airway foreign bodie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 cases of ventilating bronchoscopy for pediatric airway foreign bo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ast 15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In 120 cases, sex ratio (male: female) was 2.2:1 and mean age was 27.0 months. Most frequent type of airway foreign was peanut (60.2%). One hundred thirteen patients, in whom a foreign body was confirmed in the airway, were successfully managed by ventilating bronchoscopy. Delayed diagnosis and management made a significantly long postoperative hospital stay. Conclusion: Great care must be given when feeding young children, especially younger than 36 months, with nuts. Early intervention with ventilating bronchoscopy following a clinical suspicion is critical to successful treatment.

  • PDF

성인 식도이물의 내시경적 치료 (Endoscopie Removal of Adult Esophageal Foreign Bodies)

  • 장민희;이숭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6-50
    • /
    • 2004
  • The majority of esophageal Foreign body ingestions occur in the pediatric population. In adults, true foreign object ingestion occurs more commonly among those with psychiatric disorders, mental impairment.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foreign bodies is influenced by the age, clinical condition of ingested material, anatomic location and technical abilities of the endoscopist. Recently the therapeutic endoscopy is becoming wider and more rational in application. We evaluated the role of endoscopy for removal of esophageal foreign bodies during the period of 4 year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3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nd Gastroenterology, Seonam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age ranged from 21 to 74 years old (mean 50.5), most frequent age group was between 61-70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1.4. 2) Fish bone was the most frequent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 ($47.1\%$), food material ($23.5\%$) and meats ($17.6\%$) were next frequent foreign bodies. The most frequent site of lodgement was the first ($78.4\%$), second ($17.6\%$) and third narrowing ($3.9\%$) in order. 3) The most common symptom was foreign body sensation (28.6%). the next common symptoms were chest discomfort($23.8\%$) and dysphagia($19\%$). 4) In duration of lodgement, 49cases ($96.1\%$) were lodged for less than one day. 5) The foreign bodies of esophagus were removed successfully by flexible endoscope with basket, snare, forceps, overtube and endoscopic variceal ligation cap. There were only 3 cases of minimal complications, esophageal mucosal tearing. In conclusion, endoscopic esophageal foreign body removal is useful and safe with minimal or no complications.

  • PDF

식도이물;12년간 235례의 경험 (Esophageal Foreign Bodies : Experiences of 235 cases for 12 years)

  • 최건;고태옥;송종석;채성원;정광윤;최종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5-121
    • /
    • 1997
  • We have clinico-statically analysed the 235 cases of esophageal foreign body during the period the past 12 years from March InS to December 1996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uro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Coin was the most frequent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172 cases : 73.2%). Bone was the next frequent foreign body (21 cases 8.8%). 2) In sex distribution, 124 cases(52.8%) of patients were the female and 111 cases(47.2%) were the male, so the sex ratio was 1:1.12. 3) In the age distribution, 134 cases(56.9%) were under 5 years of age, coin was the most frequent materials in this age group(111 cases 47.2%). 4) The most common symptom was vomiting(136 cases : 57.9%). The next common symptom was dysphagia and odynophagia was 41 cases(17.4%) 5) The most prevalent site of lodgement was the first narrowing(181 cases : 77.0%), the third narrowing(31 cases : 13.2%) and the second narrowing of esophagus(23 cases 9.8%) in order. 6) In duration of lodgement, 207 cases(88.1%) were lodged for one day. 7) The foreign bodies of esophagus were removed successfully by esophagoscopic procedure under local or general anesthesia. There were 3 cases of complication, one case of esophageal bleeding and two cases of esophageal rupture.

  • PDF

식도천공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 박재홍;최창석;김대환;황상원;유병하;김한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14-219
    • /
    • 2006
  • 배경: 식도천공은 비교적 흔하지 않지만,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치료와 결과는 증상의 시간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 저자들은 식도천공 환자들을 최근의 치료방법으로 치료하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식도 파열로 치료한 환자들을 후향적 분석하였다. 28명 환자들에서(남자 22명, 여자 6명: 평균나이 51세, 최소 17세에서 최고 82세)천공의 원인을 보면 이물질 9명, 외상 7명, 자연적 파열 7명, 의인성 5명이었다. 환자중 18명은 24시간 내 진단되었으며, 10명은 24시간 이후에 진단되었다. 21명($75\%$)에서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4명에서는 식도 절제술, 3명의 환자에서는 위루술과 배농술를 시행하였다. 결과: 병원 사망률은 $18\%$이며, 그리고 의인성에서 사망률이 증가하였다(p <0.05). 천공위치, 천공 후 시간, 치료방법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수술 후 누출은 4명의 환자에서 생겼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이 되었다. 결론: 식도 파열은 진단과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아직도 위험한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발현시간에 관계없이 일차 재건술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식도파열 환자들의 성공적인 치료에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