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

Search Result 8,17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kewed Data Handling Technique Using an Enhanced Spatial Hash Join Algorithm (개선된 공간 해쉬 조인 알고리즘을 이용한 편중 데이터 처리 기법)

  • Shim Young-Bok;Lee Jong-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2 s.98
    • /
    • pp.179-188
    • /
    • 2005
  • Much research for spatial joi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filtering step of candidate objects for spatial join operations on the input tables that none of the inputs is indexed. In this case, many algorithms has presented and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over most spatial data. However, if data sets of input table for the spatial join ale skewed, the join performance is dramatically degraded. Also, little research on solving the problem in the presence of skewed data has been attempted. Therefore, we propose a spatial hash strip join (SHSJ) algorithm that combines properties of the existing spatial hash join (SHJ) algorithm based on spatial partition for input data set's distribution and SSSJ algorithm. Finally, in order to show SHSJ the outperform in uniform/skew cases, we experiment SHSJ using the Tiger/line data sets and compare it with the SHJ algorithm.

Analysis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Potential of the Neighboring Areas of Sejong City Using the Accessibility Model (Accessibility 모델을 활용한 세종시 인접 지역의 인구잠재력 변화 분석)

  • Kim, Ho-Yong;Yun, Jeong-M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4
    • /
    • pp.167-178
    • /
    • 2014
  • As large-scale housing sites are being developed rapidly in Sejong City, which was launched in 2012 for resolving the adverse effects of overconcentration in the capital area, promoting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reinfor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are expected in the surrounding areas. For setting the directions of urban planning,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This study purpo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neighboring areas resulting from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by approaching from the aspect of spatial interaction. In the analysis, we calculated population potential for future spatial interaction using the accessibility model, and interpre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outcomes of spatial interaction among neighboring area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using population potential as an indicat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act range of the population potential of the subject areas had been shrinking continuously since 1995, and in 2013 population potential dispersed as the population concentrated on and around Cheonan City. Although Sejong City, as a new area of population potential, was not found to play the role of a pivotal point for the surrounding areas, it is probably because the analysis was made just after people began to move to Sejong City. Accordingly, along with the effort of Sejong City to reach the planned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monitoring changes in related factors and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surrounding cities resulting from the growth of population.

A Study on the Governanc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한국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연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26
    • /
    • 2019
  •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 정부가 선정한 다수의 도시재생사업 중 수변공간 관련 사업을 선별하여 세부내용을 살펴보고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특성을 분석한다. 도시재생사업에서 거버넌스는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협업을 통한 민간 커뮤니티의 역할과 주민참여는 더욱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Tallon(2013)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네 가지 형태-관주도(top-down), 주민주도(bottom-up), 시장주도(market-led), 지주주도(property-led) 재생을 기준으로 도시재생사업 활성화계획의 세부내용을 분석한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및 시행단계에서 거버넌스의 역할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수변공간을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총 20개의 도시재생사업이 도심 내 하천변과 해안가를 활용하여 추진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업의 형태로는 (1) 생태하천복원, (2)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수변관광지 개발, (3) 수변네트워크 녹지 산책로 조성 (4) 항구 기반 수변도시개발 및 도심재생, (5) 섬의 이점을 활용한 수변경관사업, (6) 조선업 침체지역재생 등이 있었다.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은 가장 일반적인 도시재생방식인 '관주도'로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역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은 우선시되고 있었다. 또한, 관계부처 및 공공기관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었다. 특히, 부산시 영도구와 경상남도 통영시의 도시재생사업에서 협업의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을만들기'와 같은 주민주도의 도시재생방식은 '주민참여협의체'를 통하여 일부 반영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서울시 도봉 노원구, 인천시 부평구,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시 영도구 등이 해당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한 주민주도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구축하는데는 부족함을 보였다. 더불어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시장주도의 도시재생 접근은 찾아볼 수 없었다. 도시재생사업의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안정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시.공간 상관성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연구

  • Im, Gi-Yeong;Lee, S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858-863
    • /
    • 2000
  • 동영상은 시간 및 공간적으로 많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움직임추정 방법에서 움직임의 시 공간 상관성을 이용하면 정확한 움직임 추정과 성능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Zafar와 Zhang은 웨이브릿 변환 영역에서 가변 블록 (variable block-size)을 이용한 다해상도 움직임 추정(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녹지네트워크계획을 위한 녹지유형구분의 한일비교 연구

  • 강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2-84
    • /
    • 2003
  • 도시생태환경복원을 위한 녹지기본계획에서 취급되어질 수 있는 녹지유형 구분에 관한 한일비교연구로, 한국의 환경부, 서울시, 울산시의 계획과 일본의 동경도, 오사카부, 아오모리현, 효고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의 녹의 기본계획을 참고로, 녹지공간의 구분기준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그 결과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의 녹화공간의 구분은 녹지 공간배치를 중심으로하는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공간 위계질서 체계를 구축함에 유용한 구분으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일본에서의 녹화 공간구분은 관련법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행정적인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실현성 높은 공간 구분으로 행정적인 관리체계에까지 일괄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도시공간의 동일한 지역구분을 하고 있으나, 그 지역 내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세부지역을 구분하여 지역성을 남길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비록 법적인 체계 정립이 미비한 한국이지만, 녹화의 계획적인 면보다는 행정적으로 실질성을 가질 수 있는 녹지계획의 관련법규 및 규제 등을 고려한 공간유형구분이 보다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Network System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in Gwangju -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Ji-Hun Park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8
    • /
    • pp.67-78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status, and role of public libraries in our country, and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status according to the inter-cooperation system of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ferenced the required space and area standards according to the status and role presented in the 202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 Floor plan analysis and spatial compo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entral libraries of the five distri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redundancies and inefficienci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with similar purposes. It was found that securing the area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s necessary to provide smooth librar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Additionally, with the opening of the representative librar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central library spaces was deemed necessar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지하공간의 방재설비 적용기준

  • Kim, Dong-Il
    • 방재와보험
    • /
    • s.109
    • /
    • pp.23-29
    • /
    • 2005
  • 지하공간은 지상과는 달리 공간의 특성상 밀폐된 구조가 많아 화재 발생시 피난형태나 화염 및 연기의 움직임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지상공간에 비하여 방재설비나 적용기준이 많이 강화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지하공간 화재의 특성 및 방재설비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알아본다.

  • PD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Choi, Hyun-Ah;Lee, Woo-Kyun;Kwak, Han-Bin;Choi, Sung-Ho;Byun, Jae-Gyun;Yoo, Sung-Jin;Cui, Guisha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3
    • /
    • pp.63-69
    • /
    • 2009
  • Climate change has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ecosystem, water resource, natural hazards and health and so on. Thus, it is essential to more accurately assess climate change impact and prepare adaptation strate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for climate change impact on various sectors with integrated form due to various data format by sectors. In this study, we prepared criteria and indicator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and integrated GIS based data which in correspond to indicators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using GIS. Finally we suggest a guideline to assess vulnerability of each sectors to climate change based on integrated spatio-temporal information.

  • PDF

Estimation of $PM_{10}$ Source Contribution in the Seoul Subway Stations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 $PM_{10}$ 오염원의 기여도 추정)

  • 차재두;장철순;황인조;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5-346
    • /
    • 2003
  • 서울시 지하철은 1974년 1호선을 시작으로 현재 8호선까지 운행되고 있으며, 40 %이상의 높은 수송 분담율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용 승객의 증가와 함에 주변의 지하상가와 역세권을 형성하여, 주요 교통수단 및 서울시민의 중요한 생활공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한근혁, 2002). 그러나 서울시 지하철의 지하역사는 실외공간과 달리 공간적 밀폐성으로 공기질 악화문제에 직면하고 있다(환경부, 2002). (중략)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uron-Clinton Metropark System in the United States (미국 Huron-Clinton 대도시 공원체계외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현중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4
    • /
    • pp.12-28
    • /
    • 1992
  • 본 연구는 미국의 Huron-Clinton 대구시의 공원체계의 공간적 특 성의 구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분석한다. 첫째 13개의 지역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Huron-Clinton 대구시 공원체계 의 전체의 구성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공원체계의 입지의 지역공간 적, 생태적 인자를 분석한다. 둘째, 공원체계를 구성하는 각 공원의 개별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각 공원내의 시설의 유형, 크기, 다양성을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대상지역의 인구의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인구의 특성과 공 원체계의 공간적 특성을 상호대조 함으로써 그 지역의 인구와 공원체계간 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25인 조경전문가를 통해 평가함으로써 향 후 대도시 공원체계의 계획과 개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의 설정과 구성의 합리적 지표를 설정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