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험망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Synthetic OD Estimation Model based on Partial Traffic Volumes and User-Equilibrium Information

  • 조성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80-183
    • /
    • 2008
  • 본 논문은 교통망에서 관측 링크 교통량, 미관측 링크의 이용자평형 정보를 이용하여 O-D행렬을 수학적으로 생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교통량이 관측되지 않은 링크로부터 이용자 평형 상태에서 추출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련의 논리적 연산을 거쳐 실제교통량에 근접하는 서브알고리듬을 유추하여 O-D행렬 추정의 정확도와 연산의 일관성을 제고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평형상태에서 새로운 정리(Theorem)와 보조정리(Lemma)를 유도하여 적용하였다. 모형의 시험은 3개의 초기 O-D 행렬과 3개의 미관측 링크 교통량 시나리오를 각각의 모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적용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된 모형은 기존의 이용자균형 접근방식의 모형emf에 비해 추정된 O-D값의 실제 값과의 차이(O-D Trip RMSE)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소방관의 요구조자 탐색을 위한 인공지능 처리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Embedded System for Rescue Requester search)

  • 라종필;박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612-1617
    • /
    • 2020
  • 최근 재난 안전 기술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재해율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재난 현장에서 구조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요구조자를 신속하게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재난 환경의 특성상 요구조자를 탐색하는 것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조자 탐색을 위한 소방관용 스마트 헬멧에서 동작 가능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적의 SoC를 선정하고 이를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개발하였으며 범용적인 인공지능 S/W를 시험 동작함으로써 향후 스마트 헬멧 연구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인공지능 S/W 운용 플랫폼으로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전파강수관측소 HSR 추정 기법 (HSR estimation method of electromagnetic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s)

  • 임상훈;윤성심;조요한;정현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7-37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형 강우레이더 관측망에 대한 동해안 지역 관측공백 해소와 집중호우에 의한 재해예방을 목적으로 운영 중인 삼척과 울진 전파강수관측소의 강우추정을 위해 빔차폐 등을 고려한 HSR(Hybrid Surface Rainfall) 추정 기법을 소개하고 지상강우량과 비교 결과를 제시한다. 전파강수관측소의 HSR 추정 기법은 1) 자료 품질관리, 2) 고도별 자료의 병합, 3) 병합 자료 기반 분포형 비차등위상차 산정, 그리고 4) HSR 강우 추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품질관리 과정은 전파강수관측소의 관측자료 중 강우추정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반사도, 차등위상차의 품질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자료 병합 과정에서는 고도별로 품질관리된 반사도와 각 고도의 차등위상차의 레이별 차이를 병합한다. 그리고 병합된 반사도와 차등위상차의 레이별 차이를 이용하여 비차등위상차를 구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하여 R-KDP 관계식을 이용하여 HSR을 산출한다 시험적용 결과 제안된 HSR 강우 추정 기법이 강한 강우가 발생한 지역의 강우강도를 잘 추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기선권현망의 연구 II - 파치망의 유체저항과 그물꼴에 관하여 - (Study on the Anchovy Boat Seine - II - On The Hydrodynamic Resistance and Performance of Patti-net)

  • 이병기;서영태;한희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4권2호
    • /
    • pp.63-68
    • /
    • 1978
  • 일본에서 멸치를 어획하는데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파치망의 성능을 알기 위하여 1/20 크기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해상에서 예인하여 실험한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1. 어구의 전저항 $R_p$(kg)과 끝자루만의 저항 $R_b$(kg)은 예망속도 v(m/sec)가 $0.3\leqv\leq0.7$의 범위에 있을 때는 $R_p=69.6 V_{I.66}$ $R_h=37 v^2$라고 표현된다. 2. 그물꼴로서는 끝자루가 구김살없이 전개되고 수비부분이 재래식과 같이 봉소마모양이 되지 않으며, 날개끝에 여분의 망지가 없는 점을 장점이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그물목줄 길이는 날개끝의 도개깊이, 뜸줄쪽 그물목줄 및 발줄쪽 그물목줄의 길이 사이에 피타고라스정리가 성립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고, 또 날개 끝에 지나치게 무거운 추를 채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 또 자루(문턱과 천장망사이)의 전개 깊이의 끝자루의 그것에 대한 비는 2:1정도이며, 어구 크기에 비하여 그 비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것 같다. 또 예인속도가 빨라지면 문턱 밭줄이 날개끝 보다 들어 올려지는데, 이것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끝자루 장력의 전달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은 韓國에 도입 된지 반세기가 넘었다. 그 동안 漁法이 引寄網에서 引廻網으로 발달하였고 漁具材料중 일부가 함성섬유로 대치되 있으며, 揚網機에 의한 날개그물의 양망등 상당한 발달을 하였다. 그러나, 漁具의 기본 형태는 引寄網시대의 원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채 그저 확대되어 온 것에 지나지 않으며, 그물그물은 여전히 人力으로서 揚網되고 있어서 省力化를 위한 漁具, 漁船, 漁撈裝備의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權現網漁業에 관한 硏究로서는 在來式漁具의 그물꼴에 관하여 李 梁 徐 孫(1971)이 1/10 크기의 模型漁具로써 연구한 것 이외는 없다. 다만 1972년 부터는 기선권 현망 수산업협동조합에서 일본식 파치망을 도입하여 실지 조업 시험을 실시한 바 있으며, 재래식의 반정도의 인력으로서 조업이 가능하므로 보편화되는가 했더니 어획성능이 좋지않아서 계속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漁具는 일본에서는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것이므로 다른형의 漁具의 개발에 앞서이 漁具의 장단점을 규명하여 새로은 漁具의 개발이 참고가 되게 하고자 그 것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의 개발이 참고가 되게 하고자 그 것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활멸치의 집약적 생산수단에 관한 연구 - I 축양조의 예인방법에 관한 실험 (Study on the Intensive Catching Method of Anchovy for Live Bait-I. An Experiment on the Towing Method of Holding Creel)

  • 이병기;양용림;서영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5권1호
    • /
    • pp.5-16
    • /
    • 1979
  • 朴.李등 (1972)이 축양 시험을 할 때에는 축양조 이외에 소형의 예인조를 따로 썼으나, 예인조에서 축양조로 이송이 번거로우므로 업계에서는 축양조를 바로 예인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축양조를 바로 예인하면 앞면의 망지가 뒤로 밀려서 축양조 내부의 용적이 작아지고, 또 예인중 축양조의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면 멸치는 유영 관성으로 말미암아 뒤로 밀린 망지 위로 올라가서, 비늘이 벗겨져서 폐사율이 높아진다. 이를 개량하기 위해 먼저 $\frac{1}{15}$크기의 모형 축양조를 만들어서, 회류수조에서 4가지 방식으로 예인시험을 실시하고, 그 중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2가지 방식을 다시 해상에서 실물시험을 실시하여, 실용상의 문제점을 규명함과 동시에, 축양조의 예인속도는 빠르게 하면서도 축양조 내부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방법도 고안했다

  • PDF

TMN체계의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TMN Architecture)

  • 정연기;서승호;김영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69-79
    • /
    • 1999
  • 대규모의 종합 정보 통신망을 운용하고 있는 공중 통신망에서는 ISO/ITU - T의 TMN (Telecommur nications Management Network) 체계를 기반으로 한 통신망 관리 기능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TMN은 다양 한 기술로 구성된 통신망, 서비스, 장비 등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TMN 체계의 망관리 기능 구현에 핵심적인 EMS (Element Management System)의 기능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서브네트워 크 관리 기능 구현을 위한 EMS 구현방안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기능 구현 및 성능 시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EMS는 관리 대상인 NE(Network Element)를 제어하기 위한 EML-Manager모율 부분과 상위 계층인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로부터의 요구를 수행하는 NML-Agent 모듈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EMS의 실제 동작을 시험하고 운영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GUI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구현했으며, NE-Agent는 본 연구설에서 설계, 구현한 TMN NE-Agent를 사용하였다 구현된 EMS는 구성관리, 성능관리, 장애관리 등의 기능올 가지며, 시험 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함올 확인하였다. 앞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EMS를 기반으로 NML - Manager기능과 SML-Agent기능을 수행하는 N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SML-Manager기능을 수행 하는 SMS(Service Management System)의 구현을 통해 SML 계층까지의 전체적인 TMN 체계의 구현이 요구된다.

  • PDF

산악 지역 내 터널 굴착 시 단열 암반 내 지하수 유동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through Fractured Rock Mass by Tunneling in a Mountainous Area)

  • 김형수;이주현;안주희;안규천;윤운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4호
    • /
    • pp.281-287
    • /
    • 2006
  • 산악 지형 내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입은 실제 암반 내 발달한 절리 및 파쇄구간을 따라 유동하는 지하수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정밀 지반조사 물리탐사 및 시추 탐사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모델영역을 선정하고 대표 절리군 1, 2 및 3을 선택하였다. 3차원 절리망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그램(FracMan)을 이용하였고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확률적 통계기법 중 하나인 Monte Carlo Simulation 을 적용하였다. 수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불연속면 수리특성 시험 양수시험 및 수압시험 결과 대표 절리군 1, 2 및 3의 투수량 계수($T_f$)는 각각 $9.60{\times}10^{-6},\;7.35{\times}10^{-6}$$1.01{\times}10^{-5}m^2/s$ 이였다. 모델 영역의 수리적 초기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지하수 연속체 프로그램(Visual MODFLOW)를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지하수 불연속체 프로그램(MAFIC)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터널내부의 단위 길이 당 유입량은 평균 $5.40{\times}10^{-1}m^3/min/km$, 표준편차 $3.04{\times}10^{-1}m^3/min/km$로 예측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터널 굴착에 따른 광역적인 지하수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8.64{\times}10^{-2}{\sim}2.30{\times}10^{-1}m^3/min/km$로 기존 및 본 설계 적용 기준인 3.00 및 $2.00m^3/min/km$의 값보다 낮은 범위로 예측되어 터널 굴착 시 지하수 유입에 따른 공극수압의 변화에 따른 응력 변화가 적어서 터널 구조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PC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프로토콜 분석장비 (A Bluetooth Protocol Analyzer including Simulation Function based on PC Environment)

  • 정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1호
    • /
    • pp.95-99
    • /
    • 2003
  • 오늘날 무선통신 기술은 기존 유선 통신방식과 더불어 매우 주꽉받고 있는 정보통신 혁명음 주도하였다 무선 통신에서 자제 피코넷흘 형성하여 음성이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기술은 이제 액세스망올 통해 공중망과 접속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UART 케이블로 접속된 PC 환경에서 블푸투스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분석장비 개발을 소개하였다 이의 개발 환경으로는 윈도우 98 OS와 MS 비주얼 C를 사용하였다 비주얼 C로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은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성장된 펌웨어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으로 실제 음성 시험을 위하여 시그널링 용으로 헤드셋을 사용하고, 파일 전달용으로 PC를 사용한 블루투스 시스템간 프로토콜 정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하드웨어인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가 설장된 PC 간의 UART 통신의 속도는 다양하게 변회가능하나 약 2 20kbps 이하의 속도를 제외하고는 성능에 영향은 거의 주지 않았으므로 한계치인 115kbps로 시험하였다 성능해석은 블루투스 시스템간 파일 전달시 치리량을, 헤드셋과의 통신은 호 섣정 시간과 해제시간용 성능 분석 파라메터로 제시하였다 이때 파일 전달은 개발된 소프트웨어에서 파연 액세스 하는 주기적인 시간이 매우 큰 의미가 있었다 액세스하는 파일의 패킷 크기는 가변이나 통상 많이 사용하는 128 바이트로 고정 하고 시험 한 결과, 주기적인 파일 액세스 시간이 0.04초일 때 약 Uk bps 처리량용 유지하든 블레이크 포인트 시간이었다 헤드셋과의 통신시 호 시간과 해제시간은 약 16.6ms가 소요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실제 블루투스 시스템이 저속의 파일전달이나 음성 정보전달을 위한 시그널링 용의 장비 개발 시 충분한 성능 검증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전 상관기의 전처리를 위한 광역 프린지 탐색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험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lobal Fringe Search Software for the Preprocess of Daejoen Correlator)

  • 오세진;노덕규;윤영주;염재환;오충식;쿠라야마 토모하루;정동규;정진승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76-1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대전상관기의 전처리를 위한 광역 프린지 탐색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VLBI 관측의 경우 전파망원경에 의해 천체를 잘 관측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측자는 관측일정에서 잘 알려져 있는 전파세기가 강하고 밝은 천체(포인터 소스, 참조천체)를 목적천체와 함께 관측을 수행한다. 상관기는 참조천체를 대상으로 상관 프린지가 잘 검출되는지 확인하는 전처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관측국을 기준으로 각 관측국 사이의 정확한 지연시각을 계산하는 GF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이 소프트웨어는 상관 전처리를 통하여 각 관측국에 위치한 수소원자시계와 GPS 시각 사이의 시각오차 정보 및 참조천체의 지연모델(상관모델)을 이용하여 정확한 지연시각을 계산한다.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 전처리 시험을 KaVA 관측망으로 관측한 참조천체와 목적천체에 대해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는 GFS 소프트웨어로 찾은 지연시각 오차를 보정한 결과와 그렇지 않은 것의 비교에 따라 매우 좋은 성능을 보여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무가선 트램용 매립형궤도 아스팔트 포장층의 부착특성 및 변형발생특성 분석 (Investigation of the Bond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an Asphalt layer and a Concrete Slab used as the Trackbed Foundation of an Embedded Rail System for Wireless Trams)

  • 조호진;강윤석;이수형;박재범;임유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24-233
    • /
    • 2016
  • 무가선 트램 궤도구조는 도심지 가로망 내에 구축되는 관계로, 포장면 레벨 및 평탄성 확보를 위하여 기존 도로포장면과 동일하게 아스팔트 포장 덧씌우기 형태로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포설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거동특성이 분명하게 파악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무가선 트램용 매립형궤도 기초구조를 구성하는 아스팔트 포장층의 복합포장단면 내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들 이질 궤도 구성층재료 사이의 인장부착강도와 전단부착강도 파악을 위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내부착강도 시험을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단 아스팔트 포장층 사이에 사용할 부착재료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부착방식을 결정하였다. 트램용 매립형궤도 구성층 사이의 인장부착강도와 전단저항 실내시험결과로부터 공용성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가장 핵심적인 설계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복합단면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층간경계부에서의 인장변형률 특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