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 재배

검색결과 1,316건 처리시간 0.029초

개량형 간이시설(비가림시설)의 환경 및 구조해석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Analyses of Improved Rain Shelters)

  • 손정익;김문기;남상운;윤남규;권영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5년도 특강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43-46
    • /
    • 1995
  • 비가림 시설은 단순한 재배시설로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이며 보은-난방이 불필요한 하절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간이시설은 단순한 형태이면서도 기본적으로 실내 온도가 재배작물의 생육한계 온도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고, 강우 차단을 위하여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하절기 강풍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수한 환기특성과 적절한 작업성을 유지하면서 강우차단효과를 가질 수 있는 효율적인 간이시설의 형태 개발이 필요하다. (중략)

  • PDF

세계의 시설원예 변천사 (A history of the greenhouse management of worlds)

  • 박권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0-176
    • /
    • 1994
  •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데 비하여 서양의 시설원예는 우리보다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서양에서 시설원예의 시작은 개인의 취미생활이나 미적 탐구 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초기에는 식물재배의 한 방편으로 출발했다고 보아야겠다. 그 후 식물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시설을 이용한 재배가 서서히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시설원예의 상업적인 접근은 유럽의 경우에 19세기 초.중반부터 이루어졌는데 이 시기가 근세로 이어지면서 인구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졌던 시기이기 때문이다.(중략)

  • PDF

상향식 접근법에 의한 국내 시설재배 에너지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잠재량 분석 (Greenhouse Gas Emission and Abatement Potential Analysis for the Korean Horticulture Energy Sector Using Bottom-Up Approach)

  • 백천현;정용주
    • 에너지공학
    • /
    • 제24권4호
    • /
    • pp.146-158
    • /
    • 2015
  • 상향식 접근법을 통한 국내 농업 시설재배부분의 온실가스 배출잠재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축잠재량 및 감축한계비용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시설재배부분의 활동량을 정의하였고 국내의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이용해 시설재배부분의 에너지원별 사용량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에너지사용량을 통해 에너지원별 원단위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발생 잠재량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에서 고려하고 있는 감축수단별 감축효과 분석을 통해 감축수단별 감축잠재량 및 감축한계비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친환경농업 - 친환경 채소류에 발생하는 긴털가루응애류

  • 강택준
    • 농업기술회보
    • /
    • 제48권3호
    • /
    • pp.20-21
    • /
    • 2011
  • 친환경 농산물의 시장규모는 약 8천억 규모(2008)에 달하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09년 기준 시설채소류의 재배면적은 74,140ha이며, 그중 친환경 재배면적은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친환경 유기농시설 재배농가에서 여러 건의 긴털가루응애류(Tyrophagus spp.)에 의한 피해가 조사되었다. 가루응애과에 속하는 긴털가루응애류의 피해는 볏짚, 갈대 등 유기물을 사용한 농가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시설채소는 시금치와 오이 2종이다.

  • PDF

농업기술 - 시설채소의 병해관리는 이렇게

  • 한유경
    • 농업기술회보
    • /
    • 제47권6호
    • /
    • pp.28-29
    • /
    • 2010
  • 시설재배에 있어 재배작형 및 육종방법의 다양화와 새로운 병해, 연작에 따른 토양병해 농약의 과용과 연용으로 인한 약제내성균 출현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토양병해는 연작연수가 증가할수록 병원균의 증가와 축적을 조정하여 연중 문제가 되고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병 발생 전에 식물체를 건강하게 재배하기 위한 환경조건을 잘 조절하여 예방차원에서 합리적인 시설환경관리와 각종 작물병해에 등록되어 있는 농약을 선택한 후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병해관리의 기본이다.

  • PDF

정밀시비관리를 위한 관비재배오이의 실시간 영양진단 방법 (Real Time Diagnosis of Nutrient for Precision Fetigation of Cucumber in Protected Cultivation)

  • 김기덕;이재욱;조일환;김태영;우영회;남은영;문보흠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81
    • /
    • 2003
  • 시설재배토양은 강우가 차단된 시설이므로 시용한 비료의 용탈되기 어려워 작물이 흡수한 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토양에 집적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적된 염류는 작물의 정상적인 양수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서는 뿌리의 활력을 저하시켜 작물생산성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작물에는 필요한 염류이지만 이상적으로 집적되면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시설재배토양에서의 시비관리는 토양환경 및 작물에 맞는 적적한 시비가 이뤄져야 한다. (중략)

  • PDF

하절기 효율적인 하우스 온도 습도 관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anagement of effectiv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 at summer season)

  • 우영회;남윤일;송천호;김형준;김동억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96-97
    • /
    • 1994
  • 하절기 시설재배는 35$^{\circ}C$가 넘는 극한고온으로 인하여 작물재배가 거의 불가능하며 작물재배를 하더라도 생산한 농산물은 그 품질이 열악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낮아 문제가 되고있다. 따라서 하절기 시설작형은 대부분 휴작을 하므로 시설의 주년이용과 고도활용에 지장을 초래하고있다. 하절기에 국내의 온도하강은 주로 수동적이고 소극적이면서 비용이 적게드는 흑색차광망이나 자연환기에 주로 의존하고있으나 그 효율성은 상당히 낮아 문제가 되고있다. (중략)

  • PDF

오이 시설재배의 기계화실태 및 모델 (Survey on the cucumber cultivation system in greenhouse and development of it′s mechanized cultivation model)

  • 전종길;박원규;강창호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36-43
    • /
    • 1997
  • 국민소득 향상과 함께 식품소비구조도 변화되어 곡류의 소비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신선채소, 화훼, 육류의 소비는 크게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소비형태도 계절소비에서 연중 소비로 변화됨에 따라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전환되고 있으며, 작목별 10a당 노동투하시간도 1981년도에 벼농사는 92.8시간이 소요되던 것이'95년도에는 34.7시간으로 63%가 감소되어 그동안 기계화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시설오이는 837시간에서 724시간으로 약 13%가 감소되었다. (중략)

  • PDF

시설원예와 연작장해 (1) 연작장해의 원인과 실태조사 - 주원인 염류집적과 병해발생$\cdots$

  • 최주성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13권1호통권106호
    • /
    • pp.88-95
    • /
    • 1992
  • 하우스재배에서 수량이나 품질을 낮추는 주요한 원인 가운데에는 시설내에서 발생하는 병해나 생리장해가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과 같이 시설이 대형화되고 중장비화(重裝備化)되지는 않았지만 현재에도 하우스 재배가 전업화되고 단지화됨에 따라 자연 연작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연작장해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하우스 재배에서는 단위면적당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 밀식하는 경향인데 비해 하우스내는 고온이고 노지보다 시비량이나 관수량도 많아 비료성분인 염류(鹽類)가 쌓이고 토양 병원균도 많아지고 토양물리성이 나빠져 토양병해나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하우스 작물의 연작장해의 원인과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해보고 다음호에서는 그 대책에 대해 알아본다.

  • PDF

가지 격리상재배시 급액량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upply on the Growth and Yield in Isolated Bed Culture of Eggplant)

  • 김주;장익;최동칠;정종성;김치선;최정식;최영근;배종향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103
    • /
    • 2003
  • 우리나라의 가지 재배면적은 1970년 2,815ha이었던 것이 그 후 점차 줄어들어 2001년은 866ha가 재배되고 있고, 시설재배면적은 1970년 27ha로 전체면적의 1%도 채 안되는 매우 적은 면적이었으나 2001년에는 전체면적의 33%에 가까운 284ha가 재배되고 있다. 연간 총생산량으로 보면 1970년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다. 이는 노지재배의 10a당 수량이 적을 때는 892kg 많을 때는 2,782kg 이나 시설재배의 10a당 수량은 1,617-4,294kg으로 노지재배에 비해 시설재배의 수량이 많기 때문이다(M.A.F. 2001).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