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적응

Search Result 24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their self-reli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 Shin, Jee Hae;Kang, Hy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8
    • /
    • pp.77-102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eliance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institutional care, foster care, and group home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13 to 19 years) were recruited among adolescents in care nationwid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 bootstrapping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pital of the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was not directly related to self-reliance. However, complete mediation was found through school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eliance. This indicates that social capital of the adolescents in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reliance only through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levels of social capital, school adjustment, and self-reliance of adolescents in care were discussed.

Evaluation on Drought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future water supply stability (기후변화와 미래 용수공급 안정성을 고려한 한반도 가뭄 위험도 평가)

  • Na, Byeong-Chan;Lee, Hyun-Ju;Sur, Chanyang;Choi, Si-Jung;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2-122
    • /
    • 2019
  • 가뭄위험도(Drought Risk)는 위해성(Hazard), 취약성(Vulnerability), 민감도(Sensitivity) 및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 등 여러 가지의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가 가능하다. 가용한 자료와 분석기법에 따라서 위해성과 취약성만으로도 평가가 가능하며, 유역내의 가용한 수자원인프라에 의한 적응능력을 포함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가뭄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학적 인자인 가뭄 위해성과 사회 경제적 인자인 취약성 인자 그리고 유역내의 수자원 인프라시설(용수공급 시설)에 의한 적응능력과 관련된 지표를 조합하였다. 특히, 물수요와 공급가능량을 고려한 물수지분석을 통하여 미래 용수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가뭄 위해성 인자를 Rating 기법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취약성의 경우 인구밀도, 농경지 면적 등의 민감도와 적응능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용수 부족량을 시나리오별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한반도의 미래 가뭄위험도 평가 결과는 유역별 가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과채류의 양액에 따른 품질 반응

  • 정현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11a
    • /
    • pp.36-47
    • /
    • 1994
  • Ⅰ. 고추의 양액재배에서 양액조성 및 환경조건에 따른 양액중 질소원의 관리요령 최근 한국 농촌에 보급되기 시작한 온실양액재배가 아직 초보적인 단계로서 양액재배기 미흡으로 첨단농업 시설원예의 확대에 장해요인으로 남아있다. 또한 현재 증가하고 있는 재배 시설과 재배기술은 거의가 외국에서 그대로 도입되어 환경 및 기후조건이 다른 한국은 그대로 적응하기 곤란한 점이 많다. (중략)

  • PDF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improving techniques for watershed water cycle to adapt climate change (Gyeongan-Cheon) (기후변화 적응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 적용 및 평가 (경안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1-461
    • /
    • 2017
  • 기후변화 적응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은 기후변화가 진행 중에 있거나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강우-유출수를 지연, 저류, 침투시켜 지속가능한 물순환체계를 유지 회복하도록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유역의 특성 및 기후를 반영하기 수월한 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유역 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은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되고 사업화에 성공한 바 있는 유역 물순환 평가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수정 및 개선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실무적인 소프트웨어이다. 침투트렌치, 식생침투트렌치, 습지, 저류지, 빗물탱크 등의 물순환개선시설에 대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별시설의 제원에 따른 물순환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으로는 팔당댐 상류의 경안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경안천 유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물순환 개선 기술 적용을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는 기상청 수원 측후소의 1976~2099년 FGOALS-s2, HadGEM-ES, INM-CM4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분석기간은 2020s(2010~2039), 2050s(2040~2069), 2080s(2070~2099)로 구분하였다. Baseline은 수원 측후소 과거 30년 1971~2000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각 시나리오별 수문성분 및 구조적 물순환 개선기술 적용에 따른 수문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물순환 개선기술 시나리오 중 침투시설 시나리오는 도시 면적의 20%, 설계침투량은 일본 우수저류침투기술협회 기준인 단위면적($1m^2$)당 10mm 적용하였고, 빗물저장시설 시나리오의 저장시설의 용량은 수도법시행규칙(2011)의 빗물 이용시설기준(도시면적 ${\times}0.05$)을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별 강우량은 HadGEM-ES가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고 INM-CM4는 2080s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증발산량은 거의 모든 시나리오에서 대부분 감소하였고, 개선기술 적용에 따라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직접유출량 및 중간유출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강우증가분에 따른 미세한 증가 양상을 보였고, 개선기술 적용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하수유출량의 경우 침투시설 적용으로 함양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증가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 PDF

Predictors of Facility Adap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시설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Hye-Kyung;Lee, Hyang-Yeon;Lee, Ji-A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39 no.2
    • /
    • pp.177-18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iency, nursing home care quality and nursing home adaptation,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home adap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8 older adults without dementia by interview from six nursing homes in three cities from February 1, 2008 to February 28, 2008. Results: Levels of nursing home adaptation in older adult residents were different by type of decision maker of nursing home admission, reason of nursing home admission, type of payment and length of nursing home stay. The nursing home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iency and nursing home care quality. The strongest predictor of nursing home adaptation was type of decision maker of nursing home admission followed by the self-efficiency.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during the decision making period of nursing home admission, older adults should have enough time and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ir families to decide by themselves in positive ways. Nursing home staff should be able to identify reasons of nursing home admission and demands or expectations of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the Adjustment of Older Adults to Nursing Home Life (요양시설 노인의 시설적응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 Chang, Ae-Kyung;Park, Yeon-Hw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2 no.4
    • /
    • pp.559-56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mpowerment intervention on the level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to nursing home life of the Korean nursing home residents. Methods: Participants (n=47) whose period of stay was less than one year were purposefully selected from 3 nursing homes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21) attended 10 weekly hour-long empowerment sessions. The empowerment program comprised two components; group education and group discussion. The control group (n=26) received a two-hour education about health management.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of selfesteem (t=5.51,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2.73, p=.009) and adjustment to nursing home life (t=2.10, p=.041).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owerment interventions may be effective in enhancing nursing home residents'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to nursing home lif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if such an empowerment program could be used with newly institutionalized elders to speed as well as enhance their adjustment to nursing hom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