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재배지 토양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Monitoring of Soil Pollutant Loading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오염부하 모니터링)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Kang, Moon-Seo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8-448
    • /
    • 2012
  • 농경지의 잔류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강수 또는 관개를 함에 따라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토양 내에 집적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설재배의 경우 노지재배와는 상이한 유출 및 침투 특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과다시비로 인한 오염원의 토양 내 집적이 심각한 수준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비점오염원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고 지하침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지의 비교 평가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단위 시험포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대상지역에서 토양수, 토양수분, 관개량, 기상조건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여 비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한달에 두 번 모니터링을 통하여 자료 수집 체계를 확립하였다. 시설재배지 및 관행재배지 토양 및 토양수 수질 분석 결과, 시설재배지 내 영양물질 농도가 관행재배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하부토층으로 내려갈수록 영양물질의 농도 및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향후 본 시험포장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샘플링을 통하여 시설재배지 토양내 비점오염원의 침투 과정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침투 영향 및 오염부하량 모델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or Open Field Where Flower Crops were Cultivated from 2018 to 2020 (화훼작물이 재배된 온실 또는 노지재배지의 토양 화학성 비교)

  • Kwon, Hye Sook;Heo, Se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5
    • /
    • pp.675-685
    • /
    • 2022
  •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greenhouse or open field where flower crops were grown from 2018 to 2020. The pH of greenhouse soils was kept slightly higher than the optimum range sugges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at of open field soils was maintained within the optimum range for three years.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OM) were within the optimum range without significant change every year in both soils. Available phosphate (Av. P2O5) of greenhouse soils was the highest at 560 mg/kg in 2018, but it decreased every year and fell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in 2020. The concentration of Av. P2O5 in open field soils have fluctuated for three years, no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greenhouse soils was higher every year than the standard, 2.0 dS/m, but EC of open field soils remained below the standard. The contents of exchangeable cations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years in greenhouse soils. In open field soils, other cations except exchangeable K+ were maintained higher than the optimal level and only Ca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years. In Pearson correlation matrices, the value of exchangeable Ca2+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exchangeable Mg2+ content at both greenhouse and open field soil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soils of greenhouse were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high concentrations of Av. P2O5, EC and exchangeable cations, while the soils of open field were characterized by low contents of OM and exchangeable cation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cations in greenhouse soils. It is common for the soils of open field to have a low OM content, so that organic fertilizers should be more actively applied to the soils in open field.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밭과 시설재배지 토양의 인산가용화 미생물의 특성)

  • Suh, Jang-Sun;Kwon, Jang-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1 no.5
    • /
    • pp.348-353
    • /
    • 2008
  • With the aim to explore the possible role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 we conducted a survey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colonizing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Soil EC,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cation such a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and total P of plastic film house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of upland soils.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population was higher in plastic film house soils than upland soils, but species of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was more diverse in the upland soils than the plastic film house soil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osphate solubilization and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a in soils. Bacillus, Cedecea, Brevibacillus, Paeni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spp. were isolated from upland soils and Bacillus and Cellulomonas spp. were from plastic film house soils.

Change In Soil Properties After Cucumber Cultivation Under Plastic Film House At Gunwi-Gun Area (군위지역 오이 시설 재배지의 토양특성 변화)

  • Lee, Dong-Hoon;Choi, Choong-Lyeal;Kim, Kwang-Seop;Kim, Pyoung-Yeol;Seo, Jeong-Woo;Park, M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24
    • /
    • pp.43-47
    • /
    • 2006
  • The soils of plastic film houses in which intensive cultivation takes place suffer from the serious problems such as severe salinity and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etc.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change in soil properties with repeated cucumber cultivation under plastic film house at Gunwi-Gun area. The soils were classified mainly to Danbuk and SinJung series. Clay content is lower in the soils of plastic film house than in the field soil.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cations were accumulated at the level higher than the optimum range. The content of extractable heavy metals were higher in the soils of plastic film house than in those of the field. For optimum yield, much attention should be paied to the management of soils by the pre-soil survey.

  • PDF

Soil Moisture Flow Assessment in Variably Saturated and Different Layered Soil using Richards Equation (Richards 공식을 이용한 불포화 이(異)층 토양에서의 토양수분 거동 특성 분석)

  • Choi, Soon-Kun;Nam, Won-Ho;Choi, Jin-Yong;Hur, Seung-Oh;Kim, Hak-Jin;Chung, Sun-Ok;Han, Kyu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7-107
    • /
    • 2012
  • 우리나라의 시설재배는 연중 고품질의 농산물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기대와 생산자의 경제적 목적이 부합되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시설재배면적의 31.3%는 수리시설이 완비된 관개논에 위치한다. 시설재배지에서의 수분관리는 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토양 특성을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설재배지 토양 특성을 반영한 작물근군역에서의 물수지와 수분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한다. 불포화토양에서의 수분이동은 토양-작물-대기의 연속계에서 수분의 공급과 증발산, 배수 및 유거에 의한 토양수분 장력의 변화로 이루어지며 토양수분과 토양수분 장력, 수리전도도와의 관계는 토양의 수리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다. 실험을 통한 토양수분 거동 분석은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모형에 의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토양에서의 수분이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Richards 공식을 유한차분법으로 해석하였으며 국내 논 시설재배지 이(異)층토양에 대하여 다양한 관개조건을 적용하여 토양수분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개와 작물의 수분흡수가 지속됨에 따라 근군역을 이탈한 토양수분이 유하되어 밭 토양과 논 토양의 경계에 축적됨을 확인 하였으며 과다관개가 이루어질수록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개시스템의 설계와 운영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eloidogyne spp. in Soils from Fruit and Vegetable Greenhouses in Korea (분자기법을 이용한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종 동정)

  • Kim, Se-Jong;Yu, Yong-Man;Whang, Kyung-So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3 no.1
    • /
    • pp.85-91
    • /
    • 2014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in soils from fruits and vegetables greenhouses in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 greenhouse fields in which tomato, cucumber, watermelon, and Oriental melon were being cultivated. Meloidogyne spp. were detected in all the soil samples at an average number of $72{\pm}6$ nematodes/300 g of soil to $2,898{\pm}468$ nematodes/300 g of soil.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was attempted for the second-stage juveniles (J2) of Meloidogyne spp. collected from the greenhouse soils. Twelve Meloidogyne spp. from the greenhouse soil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using HinfI digestion of mitochondrial DNA, resulting in 900, 410, 290, and 170 bp fragments (group A) and 900, 700, and 170 bp fragments (group B).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1,483-1,521 bp) showed that nine group A isolates were identified as Meloidogyne incognita (99.73-99.93%) and three group B isolates showed 99.54-99.73% similarity to Meloidogyne arenaria.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Pollutant Infiltration Load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 모니터링)

  • Yoo, Seung-Hwan;Choi, Jin-Yong;Nam, Won-Ho;Hong, Eun-Mi;Choi, Soon-Goon;Park, Na-You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5-465
    • /
    • 2011
  • 강우가 발생하거나 관개를 함에 따라 농경지의 토양침식물, 잔류 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지표수 뿐 아니라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시설재배 농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설재배 내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시설재배 농업과 관행농업의 비점오염원의 거동 및 지하침투 오염부하를 비교 평가하고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변 영향이 배제되어 시설재배와 관행재배의 비교 평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 단위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먼저 필지 단위와 광역 단위 단위에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수문 및 수질 분석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행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및 강우량, 지하수위, 토양수분, 관개 및 배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논담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설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지하수위, 토양수분 및 관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관개용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향후 본 시험 포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샘플링 실시하여 다양한 항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진 다면 시설재배지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정량화 기술개발을 통해 시설재배지에서의 비점오염에 대한 정량적 자료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농업비점오염총량 추정 기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Application Adjusted C/N Ratio of Orgaic Matter Resource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Watermelon in Plastic Film Houses (시설재배지 유기물자원 C/N율 조절 시용시 토양화학성 및 수박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Kang, Bo-Goo;Lim, Sang-Cheol;Lee, Jo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4-305
    • /
    • 2009
  • 시설재배지의 토양화학성 변화는 작물재배 기간 시비한 화학비료에서 유래된 무기성분 뿐만아니라, 가축분퇴비의 질소성분의 토양잔류량이 요소비료 보다 9.4배 많아 염류집적 주 요인이라는 보고('05 경기도)가 시사하는 봐와 같이 유기자원으로 시용하는 가축분 등의 부산물비료의 무기화에서 유래된 비료성분이 토양염류집적 및 토양환경악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설재배지의 유기물자원 시용기준이 토양의 특성에 관계 없이 작물에 따라 양적인 시험성적이 주로되어 있으며, 토양검정에 의한 시용기준도 유기물함량에 따라 볏짚, 우분, 돈분 및 계분으로 돠어 있다. 일반노지와 달리 시설재배지에서는 유기물함량이 토양의 비옥도 및 작물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 보다는 토양의 전기전도도(EC)가 더 중요한 작물생육 조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토양의 특성에 따라 물질순환에 의한 유기자원 시용기준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시설재배지의 장기적인 토양관리를 위하여 유기물자원에 의한 토양환경 개선 효과를 구명하고자. 무처리, 가축분부산 물비료 관행 시용 기준 대비 볏짚 등 5개의 유기자원을 토양의 무기태질소 함량 대비 유기자원의 탄소함량을 C/N율 10 조절량을 시용하여 시험하였고, 또한 토양의 전기전도도(EC)가 상이한 3개( <2.0 dS/m, 2.0~6.0 dS/m, 6.0 dS/m<)토양에 유기물자원(우드칩)을 C/N율 10, 20, 30 조절하여 수박을 시험작물로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후 토양의 전기전도도(EC)는 시험 전에 비하여 시험 후 토양에서 가축분부산물비료는7% 증가되었으나 유기물자원 처리는 26~33% 경감되는 효과가 있었다. 수박의 과중은 무처리를 제외하고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기물자원 C/N율 조절간에는 시험전 토양의 EC에 따라 차이가 있어 C/N 10 조절에서는 26~44%, C/N 20 조절에서는 30~51%, C/N 30 조절에서는 27~48% 경감효과가 있었으며, 3토양의 평균 토양EC 경감율은 C/N 10, 20, 30 조절에서 각각 34, 39 및 38 % 이었다. 수박의 생육 및 과중은 토양의 C/N율 조절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토양의 EC 간에는 토양의 EC가 6.0dS/m 이상 토양에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탄소원의 유기자원을 C/N율 조절에 의한 시용기준 개선으로 토양의 무기태질소와 토양의 전기전도도(EC)를 경감시켜 친환경적 토양관리와 수박의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in Croplands of JeJu Province (제주지역 농경지 이용유형별 토양 탈수소효소활성과 미생물체량)

  • Joa, Jae-Ho;Moon, Kyung-Hwan;Choi, Kyung-San;Kim, Seong-Cheol;Koh, Sang-Woo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6 no.2
    • /
    • pp.122-128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with soil type and land use in cropland of JeJu region. Soil chemical properties,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were analyzed after sampling from upland (50 sites), orchard (50 sites), paddy (30 sites), horticultural facility (30 sites) in March. Average pH values was at 6.3 in upland soil, however soil chemical properties showed a large spatial variations in both orchard and horticultural facility soil. The Zn and Cu contents increased by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pig manure compost in some citrus orchard soil. Soil dehydrogen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 were higher in non-volcanic ash than in volcanic ash soil regardless of land use type. Soil dehydrogenase activity was two to four times higher in upland than in the others. It was at 38.7 ug TPF $24^{h-1}g^{-1}$ in non-volcanic ash of upland soil. Microbial biomass C content was very high in horticultural facility soil and it showed at 216.8 $mg\;kg^{-1}$ in non-volcanic ash. Soil dehydrogenase act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r^2$=0.59), Zn ($r^2$=0.65), and Cu ($r^2$=0.66) in non-volcanic ash horticultural facility soil.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2$=0.57) between soil organic matter and dehydrogenase activity in volcanic ash upland soil.

The Comparis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for Soil Solutions Extracted in Field Capacity and Saturation-Paste (포장용수량과 포화 반죽 토양용액의 전기전도도 비교)

  • Lee, Ye-Jin;Lee, Jong-Sik;Yang, Jae-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776-781
    • /
    • 2010
  • Estimat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aturation-paste (SP) is a common method to assess soil salinity. To assess soil salinity realistically, it is important to extract soil solution under field capacity. However, few studies on salinity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for soil solution extracted under field capacity (-33 kPa; FC) moisture condition due to difficulty in soil solution extr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saturation-paste can represent field condition. Soil solutions were extracted from 22 soils in the plastic film house (PFH) and 18 soils in the reclaimed land (RL) at saturation and field capacity moisture conditions. Those were analyzed for pH, EC, cations ($K^+$, $Ca^{2+}$, $Mg^{2+}$, $Na^+$) and anions ($Cl^-$, ${NO_3}^-$, ${PO_4}^{3-}$, ${SO_4}^{2-}$). Both cations and anions of soil solution extracted from FC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ons extracted from SP in the PFH and the RL, except for ${NO_3}^-$, ${PO_4}^{3-}$ in the RL. Results of the t-test, the ECe and $EC_{FC}$ were not significant at significance level 0.05. The slopes of the equations between $EC_{FC}$ and ECe at more than sand 50% soils were higher than less than sand 50% soils, and differences of saturation percentage between SP and FC showed larger as increasing sand percentage. EC was related to soil water retention by soil texture. To determine the EC, soil texture and other soil properties which effect the soil moisture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