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농업

Search Result 1,1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농업기술 - 시설채소의 세균병 방제는 이렇게

  • Han, Yu-Gyeong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3
    • /
    • pp.33-33
    • /
    • 2011
  • 시설 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온기가 되면 세균성 병해가 기승을 부리게 된다. 일단 발병이 되면 방제가 불가능하므로 병 발병 후 '치료'보다는 '예방'위주의 관리를 해야 한다.

  • PDF

Extended Benefit-Cost Analysis of Irrigation and Drainage Project (관개배수사업의 확장편익비용분석)

  • Lim Jae Hwan;Koo Seung me
    • KCID journal
    • /
    • v.8 no.1
    • /
    • pp.115-124
    • /
    • 2001
  • 농업부문이 사회에 제공하는 다양한 긍정적 외부효과가 인정됨에 따라, 대부분의 농업생산기반시설은 국부를 증진시키는 사회간접자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과거에는 수리시설을 비롯한 기반시설이 단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회적 투자로 간주되었으며 따라서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 또한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에 대한 편익비용분석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농업 및 생산기반시설이 제공하는 비시장적 가치가 점차 인정됨에 따라 그러한 가치 또한 경제성분석에 포함될 수 있다

  • PDF

Survey on the Insect Smart Farm Breeding Farm (곤충 스마트팜 사육농가 실태조사)

  • Kwak, Kang-Su;Rho, Si-Young;Won, Jin-Ho;Kim, Tae-Hyun;Baek, Jeong-Hyun;Lee, Sang-Gyu;Lee, Jae-Su;Seok, Young-Seek;Choi, In-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77-57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흰점박이꽃무지 사육농가 및 사육환경에 대해 일반농가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식용곤충 사육시설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에 곤충사육 농가로 등록한 업체 중에서 흰점박이꽃무지를 사육하는 농가 17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농장운영 및 시설·장치 현황 등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곤충사육 농가는 대부분 농가형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생산업, 유통업 및 가공업 등으로 신고하여 곤충사육 농가에서 직접 생산, 가공 및 제품 개발 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곤충사육 농가는 판넬 형식의 건축물 내에서 냉·난방기를 가동하여 곤충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IoT 기반의 사양관리 장치 및 운영관리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식용곤충 대량생산을 위한 사양관리 장치 및 생산 기반시설 구축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으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 PDF

The trend of Energy ICT in automated agriculture and EMS system for cooling water application in power plant (시설농업에서 에너지 ICT 와 발전소 온배수 활용을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

  • Hwang, Woo-jeong;Kim, Kwa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623-625
    • /
    • 2015
  • Recently, the cooling water of power plant was included in RPS(Renewable Portpolio Standard) as water heat energy. Thus the trend of cooling water application is growing bigger for agriculture and fishing industry. Especially as energy consumption cost in agriculture and fishing industry is a vital element, the interests for energy efficiency is growing bigger. The advanced agriculture country like Netherlands is distributing diagnosis software to the farmers based on ICT diagnostic system for the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demand amounts depend on crops of cultivation in automated horticulture. Hereafter, in the preparation of the expansion of the automated agriculture domestically by the cooling water of power plant,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nergy application case(Greenery) in the advanced countries abroad in agriculture and EMS system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cooling water in power plant.

  • PDF

Strategy and Basic Planning for Creat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ocusing on Gosangol Village in Daegu City-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 Lee, Jong-Il;Kwon,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4
    • /
    • pp.23-34
    • /
    • 2017
  •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wo perspectives: firstly, suggesting development strategies to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as a theme park, and secondly, presenting guidelines for spatial programs and facilities to be introduced for actual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ills a role as a local community space prompted by the demand-oriented evolution of urban parks, and agricultural behaviors to be incorporated in the theme. In this context,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space focusing on sustainability', 'constructing green space systems focusing on agricultural landscape', and 'structuring leisure spaces for communications in the community' are presented as development strategies. Secondly, key functions that an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have include production and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roduction side, soil preservation, resource cycling and green space provision on the environmental side, leisure and experience, community vitalization, education, and social security on the social and cultural side, and entertainment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protective functions as urban park functionality. Thirdly, key facilities need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include urban agricultural facilities other than park management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family gardens as the key facility of the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be scal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urposes and behaviors of their us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subject site was limited to a specific area bu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 planning model for the spatial structuring of park-type urban agricultur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rrigation Systems for Greenhouse (시설농업의 관수시설 이용실태 조사분석)

  • 이남호;황한철;남상운;홍성구;전우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11a
    • /
    • pp.77-82
    • /
    • 1997
  • 시설재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시설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시설재배의 양적인 증가에 맞추어 질 높은 생산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온실 내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가장 집약적인 농업생산활동의 하나이고 이의 생산기반은 거의 인공적이거나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는 특성을 갖고있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Agricultural Water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of Precipitation (강수의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영향 평가)

  • Shin, Hyung Jin;Kim, Hae Do;Lee, Jae Nam;Kang, Seok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7-227
    • /
    • 2017
  •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제47조의 2 신설로 기후변화가 농업 농촌에 미치는 영향, 취약성을 5년마다 조사 평가 공표하고 실태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2014년 5월 마련되었다.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농업 농촌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국가 수자원 총 이용량의 48%가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논면적(964천ha) 수리안전답은 575천ha에 불과하고, 19.4%(187천ha)는 별도 용수공급시설이 없어 자연강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140천ha로 전국 밭면적의 18.5% 수준('15.7월 행정조사)에 그쳐 논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의 영향분석 및 취약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IPCC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가장 취약한 부분은 강수패턴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다. 강수패턴의 변화 의미는 강수 공간, 기간 및 강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강수에 민감한 농업분야가 기후에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관점에서 강수의 패턴 변화(공간, 강도, 기간)를 분석하여 농업용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