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거주 노인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6초

ERG 이론을 바탕으로 한 바이마장족(白馬藏族)지역사회 환경의 고령친화적 개선 방안 연구 (Study on the Aging Transformation Scheme of Baima Tibetan Community Environment Based on ERG theory)

  • 유경윤;왕록명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1호
    • /
    • pp.175-184
    • /
    • 2023
  • 농촌 지역 노인들은 거주 환경이 열악하고 사회성이 떨어지며 노후지식이 부족한 곤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부족한 사회보장시설 및 의료시설의 문제로 인해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자살률은 도시보다 훨씬 높다. 편안한 지역사회 환경을 통해 농촌 지역 노인들이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이를 통해 날로 심각해지는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간쑤성 톄러우향(甘肅省鐵樓鄕) 바이마장족(白馬藏族) 노인들의 지역사회 환경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 방안을 연구했다. 선행연구로써 농촌 지역사회 환경의 고령친화적 개선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론적 배경으로써 ERG 이론을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써 현지 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바이마장족 거주 지역의 독거노인 수를 조사하고 국가 표준을 근거로 분류했다. 그리고 노인들의 현재사회 환경 현황이 드러난 사진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파악된 문제를 종합했다. 마지막으로 ERG 이론의 세가지 욕구인 생존 욕구, 관계 욕구, 성장 욕구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노인들의 지역사회 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고령친화적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환경의 고령친화적 개선을 통해 노인의 생활환경, 사회성 및 생존력을 향상 시키며 이를 통해 노인들의 노후 생활에 즐거움을 더하는 데에 있다.

노인주거복지시설 계획방향설정을 위한 수요자 요구조사 및 분석 - 경기도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 (Study of a Residential Desire Survey for Planning Criteria of an Old Aged Residence - Focused on the Old Aged in Gyeonggi Province -)

  • 은민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7-36
    • /
    • 2009
  • A person's residence is the primary environment which affects physical and emotional-gratifi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very important to a person's quality of life. Because the age of society has rapidly increased, we must take a profound interest in the welfare and residences of the aged. While the government has begun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the aged has not been fully considered. Because the welfare of the aged begins in the house, the term 'residence for the aged'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space. Because residences for the old aged are included in various social policies such as family relations, social security, health care, safety etc, relevant policies for these residences must be prepared as rapidly as possible. This study-focused on both the importance of residences for the aged and the residential desires of the aged, and aims to propose planning criteria for the residences of the aged.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Sleep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장은경;박희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3-14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sleep of the elderly who are institution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onized design with data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6. The subjects were from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D city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4 subjects) and a control group (25 subject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gree of musculoskeletal pain on time ($x^2=23.89$, p<.001) and degree of depression on time and group ($x^2=37.42$, p<.001, U=122.0, p<001) and degree of sleep on time ($x^2=33.62$, p<.001). Thus, the suggested hypothesis is partially supported. Conclusion: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and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institution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Space Organizatio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 최지혜;함욱;이낙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7-57
    • /
    • 2004
  • Recently the elderly care facilitie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eeds of the elderly care. However architectural studies of elderly facilities still leave much to be desired.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There are three types of residential unit for elderly care facility such as the linear-type, and loop-type, the hall-type. 2)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staffs' affairs are not separated distinctively, instead all of them join the service for the elders. 3) Since both case being easy and being difficult to find a way for elders are decided by the type of the building, space organization should be planned to be recognized the way for elders and organized straightly with joint area between building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movement and the moving line of elders and staffs for the estimation of each residential space un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esidential space organizatio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 PDF

치매노인 전문요양시설 거주공간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Guidance for the Residential Space in the Specialized Caring Facilities for Elderly Dementia Patients - Centering on the actual cases in the capital area)

  • 정여주;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0-78
    • /
    • 2005
  • The considerable increa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expected annually and when we think about the family members' and the patients' suffering, it could be painful. Above all things, it imposes heavy economic burdens on the family members that have patients who suffer from diseases of age like dementia or paralysis that caring them at home and also, it is not desirable for those old people in point of physical or environmental circumstances for medical care. Thus, it is needed urgently that the expansion of specified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services for these old people. Under this present condition, it is the special feature that the subject of research is people/facilities that offer services, not the elderly with dementia-the main user of those facilities. Thus, it is the time that we need various accessing plans that can grasp the patiences' activities and specialties and solve these problems in view of designing interior space. So, I tried to make designs that manage the elderly with dementia effectively and adequate to run facilities with considerations on the state of domestic specialized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researched guiding principles on physical healing surroundings with analysis that focused on the patients' activities, especially.

노년기 근린환경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 강은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69-68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이 어떠한 근린환경 구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이 실제 거주하는 근린환경 유형들이 노인의 삶의 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에 수행한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대리응답을 제외한 본인이 직접 응답한 10,28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근린환경 유형을 판단하기 위해 식료품 가게, 의료기관, 행정기관, 복지시설, 대중교통(정류장, 지하철역) 등의 지역사회기관이나 장소까지 도보로 걸리는 시간(분 단위)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근린환경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이 생활하는 근린환경 유형은 여가 복지 도보제한형(20.3%), 여가 복지 원거리형(15.5%), 균형근접형(7.8%), 상점 교통형(35.0%), 교통근접형(10.1%), 격리형(11.3%)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앞의 네 개 유형은 도시형에 가까우며 교통근접형과 격리형은 농어촌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근린환경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균형근접형에 비해 상점 교통형과 격리형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과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배우자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만성질환개수, 기능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그리고 친구나 이웃과의 연락빈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을 둘러싼 근린환경의 구조가 노인의 삶의 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로서 물리적 근린환경의 구조적인 측면도 고령친화적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 김문실;이승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2-100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condi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18 subjects (146 males and 472 females; mean age $79.9{\pm}8.4$ yr; range 65-102 yr) of 30 nursing homes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by using the SPSS/PC ver 12.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UI was 64.7% (64.6% in women; 65.1% in men). After adjustment for each of the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six potential factor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UI: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orbidity, age, cognition, specialty of the facility, and a bladder training program. Conclusion: Our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promo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o provide a bladder training program to prevent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한국형 근거기반 연하장애 간호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Dysphagia Nursing Care Protocol for Nursing Home Residents)

  • 방활란;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4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dysphagia nursing care protocol for nursing home (NH) residents in Korea. Methods: The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literatures. After testing content validity by experts, the protocol was appli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35) for 4 weeks at one NH in December, 2011, whereas the control group (n=34) received routine care. Results: The protocol was composed of one-page algorithm and detailed guidelines. Algorithm pathway was organized in 3 parts, including screening dysphagia risk, grouping by dysphagia risk level, and assigning nursing care into each group. The nursing care included positioning, oral care, meal time care, diet modification, providing exercise and maneuver, and checking dysphagia signs and symptoms. The expert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Protocol was revised to fit NH practice after the participant observation. Clinical validity was established upon evaluating usefulness, appropriateness, and convenience of the protocol by NH nurses. Dysphagia risk of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Developed protocol will improve the quality of dysphagia care in nursing homes as it can serve as a consistent and integrated standard for nursing care of residents with dysphagia.

일도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들에서 우울증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ers in a City)

  • 신애린;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33-139
    • /
    • 2016
  • 연구목적 노인 우울증의 증가에 따라 예방 및 관리 대책이 시급한 상태이나 초기 우울증의 선별이 어려워 조기 발견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일도시지역에 노인 복지 시설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PHQ-9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파악하고 더 나아가 노인 우울증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일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PHQ-9의 검사와 면담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나이, 주거형태, 자녀 수, 동거인 유무, 교육 수준, 질병 상태)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PHQ-9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PHQ-9의 우울증 진단의 절단값인 10점을 기준으로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주거 형태(자가 vs. 비자가)와 교육 수준(초등학교 졸업 미만 vs. 초등학교 졸업 이상)에 따른 PHQ-9 점수평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사하게 PHQ-9 점수 10점을 기준으로 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비교에서도 비자가에서 거주하는 경우, 그리고 초등학교 졸업 미만인 경우 PHQ-9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이 연구는 노인 우울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이해와 노인 우울증의 조기 평가 및 개입을 통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의료복지시설 화재 시 와상노인의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피난허용시간 연장과 소방기관으로의 통보시간 연구 (A Study on ASET Elongation & Notification Time to Fire Stations for the Escape Safety of Aged Bedridden Patients in Elderly Long-term Medical Care)

  • 박형주;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50-59
    • /
    • 2018
  • 고령화 추세에 따라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에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거주하고 있는 와상노인에 대한 피난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대규모 인명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시설에 거주하는 와상노인에 대한 피난안전성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비화재구역의 피난허용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키면서 발코니 등의 일시피난안전구역에 차례로 피난시키고, 소방기관에 통보하는 화재속보설비를 통해 소방대의 출동에 의한 외부 조력피난유도방법이 최선의 대책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력피난을 수행하는데 있어 반드시 적용해야할 요소기술을 방화 소방공학적으로 개발하여 4가지로 분류 제시하였다. 방화공학적 요소기술로는 구조 구획의 내화성능확보와 구획의 소규모화 규제 조항과 마감재의 난연 불연성능의 확보 규제 조항인 2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방공학적 요소기술로는 스프링클러에 의한 냉각효과 부과 규제 조항과 소방기관으로의 자동화재속보기능의 부여 규제 조항인 2가지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규제 조항에 대하여 일본과 국내의 법조문을 상세히 비교분석하여 국내에서 개정한 법조문상 미흡한 부분을 고찰하고, 국내의 노인복지시설의 피난안전성의 제고를 위해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안전기준 개정(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