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비량

검색결과 1,215건 처리시간 0.027초

시비처리 방법에 따른 낙엽송 용기묘의 생장 및 생리 특성 (Effects of Fertilization Method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Seedlings in the Container Nursery System)

  • 조민석;이수원;박병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상토의 화학적 특성, 생장 특성 및 생리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최소 시비량에 대한 최대 생장 효과와 적정 시비 방법 적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 상토의 화학적 특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H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였는데 시비량이 적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산성도는 가장 낮고, 시비량이 높은 Constant와 Three stage 처리에서 산성도가 높아, 시비에 따른 산성화가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근원경과 간장 생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세 시비 처리구 모두에서 낙엽송 용기묘 규격 이상의 우수한 생장을 나타냈다. H/D율과 T/R율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반면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는 Constant 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광화학 효율과 엽록소 함량은 Constant 처리구에서 높았지만, 세 처리구 모두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비량을 생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시비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비슷한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Exponential 처리구는 50% 시비량으로 생장, 묘목품질지수 및 생리적특성에서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규격묘 생산이 가능했다. 이는 낙엽송 용기묘 100만본 생산 시 비료량을 약 200kg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시설양묘과정에서 다른 시비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양묘장 토양 및 계류수의 오염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Exponential 시비 방법은 생산 비용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 효과 얻어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 시비방법이라 판단된다.

질소시비수준과 시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s and Treatmen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 권병선;박희진;성낙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3-418
    • /
    • 1992
  • 질소시비수준과 추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비량과, 추비 횟수가 증가할수록 초장, 엽수, 주당경수, 정립비율, 1$\ell$중, 100립중, 10a당 종실중의 수량형질은 질소 14kg / 10a의 적은 량을 기비로 40%, 1차 추비로 30%, 2차 추비로 20%, 그리고 3차로 10%를 시용했거나 180kg / 10a의 많은 량을 전량기비로 시용했을 때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분산분석에서도 시비량간, 시비방법간, 시비량과 시비방법간의 교호작용에서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은행나무 묘목(苗木)에 대(對)한 시비(施肥)가 생장(生長) 및 엽내(葉內) 양분(養分)과 유용(有用) 추출물(抽出物)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Foliar Nutri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in Ginkgo Seedlings)

  • 손요환;김진수;황재홍;박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98-105
    • /
    • 1998
  • 은행나무 3년생 묘목에 각기 다른 수준의 질소, 인, 질소와 인 복합비료를 시비하고, 묘목의 생장 및 엽내 양분과 유용 추출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비 후 묘목의 잎, 줄기, 뿌리의 생체량은 고농도 질소와 인 복합비료 처리구 이외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엽내 질소와 인 농도의 변화 정도는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엽내 질소와 인의 농도는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질소 시비량이 400kg/ha인 경우와 인 시비량이 100kg/ha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묘목 생장량과 엽내 양분 농도를 고려할 때 묘목은 질소와 인이 결핍된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시비 후 엽내 이차 대사 물질인 Ginkgo flavon glycosides와 terpene lactones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은행나무 묘목에서 생체량과 이차 대사 물질량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 (r=-0.739, p=0.03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답리작 소맥의 파종 기계화 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eding Mechanized Culture of Wheat in Paddy Field)

  • 박문수;장민식;이강세;박노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42
    • /
    • 1979
  • 조광을 답리작에 공시하여 휴립로타리 파종기계(동력경운기부착용)에 의한 파종작업의 성력화 정도와 이에 따른 적정파종량 및 시비량을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습윤정도에 따른 휴립로타리 파종기계 재배시험 가) 휴립로타리 파종기계를 이용할 경우 10a당 파종작업에 소요되는 노동시간은 건답상태에서는 72분(1977) 및 73분(1978) 소요되어 66% 및 77%의 성력효과가 있었다. 나) 반습답상태에서는 100분으로 비하여 83%의 절감효과를 보여 건답상태보다 성력효율이 높았다. 2. 휴립로타리 파종기계 재배시의 시비량대 파종량시험 가) 10a당 3요소를 12~8~8kg 시용한 구보다 증비구에서 월동율이 다소 양호하였으나 파종량 간에는 $30\ell$ /10a 구서 약간 불량한 것을 제외하면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나) 도복 및 수병발생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며, 같은 시비량 조건에서는 파종량이 과다한 구에서 도복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다) 유효경비율은 시비량 간에는 62~66%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량 간에는 10a당 $10\ell$에서 $30\ell$로 증가됨에 따라 80%에서 53%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라) 풀수기의 엽면적지수는 표준비 6.7에 비하여 1.5배비 및 2배비는 9.3~9.4로 많았으며 파종량이 많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마) $\textrm{m}^2$당 수수는 시비량 및 파종량이 많을수록 뚜렷이 증가되었으나 1수립수는 파종량이 많은 구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1수립수는 파종량이 많은 구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천립중은 이와 반대로 2배비 < 1.5배비=표준비, 10=15=20 < 25=30$\ell$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바) 답리작에서 휴립로타리 파종기를 이용할 경우, 일정 면적당 수수를 확보하기 위한 과정파종량은 표준비시는 10a당, 20l내외, 1.5배비 및 2배비시는 $15\ell$내외이며, 시비량은 증수 및 안전재배면을 고려하여 18~12~12kg로 시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국내 주요 벼 품종의 수량 및 품질 반응 (Response of Yield and Quality in Major Domestic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according to the Nitrogen Application Levels)

  • 최종서;이진석;강신구;이대우;양운호;이석기;신수현;김민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342-361
    • /
    • 2022
  • 우리나라 주요 재배 벼 품종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최적 질소 시비량을 제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벼 21품종을 공시하여 질소 시비량에 따른 수량과 품질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간 평균수량은 표준 질소 시비량 9 kg/10a으로 재배했을 때와 비교하여 질소 시비량 0, 3, 5, 7 kg/10a으로 재배했을 때 각각 28%, 22%, 11%, 8% 감소하였으며, 수량성과 질소 시비량 감소에 따른 수량 감소 경향은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2. 주당수수는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수랑립수와 천립중에는 큰 변화가 없었고, 수당립수는 다른 수량구성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차변이가 적었으며, 질소 시비량에 따른 수량구성요소의 변화는 품종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완전미율은 질소 시비량의 증가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싸라기 비율은 약간 감소하였으며, 분상질립은 증가하였다. 4. 쌀의 단백질 함량은 2018과 2019년의 경우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질소 시비량 7 kg/10a에서 가장 낮았고, 9 kg/10a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2020년의 경우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품종별로 표준 질소 시비량 9 kg/10a에서 시험기간 중 2회 이상 쌀 단백질 함량 6.0%를 초과한 품종은 해담 등 13품종으로 이중 질소 시비량을 7 kg/10a으로 감비하여 재배한 경우, 시험기간 중 2회 이상 쌀 단백질 함량이 6.0%이하로 낮아진 품종은 해담, 진수미, 호품, 호평, 현품, 새누리, 영호진미 등 7품종이었다.

습답도작기술향상에 관한 연구 III. 배수조건별 시비량 대 재식밀도가 수도실용제형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Rice Cultivation in the Ill-drained Paddy Field III. The Effect of the Various Agronomic Characteristics on the Fertilization and Planting Density under Different Drainage Control Part.)

  • 노승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67
    • /
    • 1978
  • (1) 배수조건별 시비량과 재식밀도를 증가함에 따라 수수, 일수입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암거배수가 무배수보다 수수는 적었으나 일수입수는 많았다. (2) 등숙비율, 등숙도, LWR도 암 영배수에서 좋았고 시비량과 재식밀도를 높일수록 단위면적당 높은 경향이었다. (3) $\alpha$-Na산화력은 암 배수가 각처리 모두 높았고 일정면적당 근활력은 다비밀식일수록 증가 경향이었으며 무배수구는 N 30kg에 80주처리에서 높았다. (4) 1일 32mm의 수직배수로 인한 양분용설로 암거 배수구가 무배수구에 비하여 초기생육은 부진했으나 후기 생육상에 호전을 보여 동화물질의 축적, 엽면적등에 높은 수치을 보였고 시비량을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재식밀도를 높여줌에 따라선 주당묘수간에는 낮았으나 $m^2$당간에는 높았다. (5) 이상의 결과 10a당 수량은 암거배수가 무배수보다 8% 증수하였고 시비량 및 재식밀도를 증가함에 따라 증수하였다.

  • PDF

토성과 시비량에 따른 강활(羌活)의 생육과 수량변화 (Effect of Soil Texture and NPK Fertilizers Application Level on Growth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 허봉구;김주현;오오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1-6
    • /
    • 2010
  • 강활의 재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다섯 종류의 토성과 및 3요소 시용량을 표준, 1/2량, 1.5배량을 달리하여 포트시험으로 강활의 생육상황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재배기간 중 월별 평균기온은 평년에 비해 5, 6, 8, 10월만 높았으며 그 외는 같거나 낮았다. 그 결과 토성별 시비량에 있어서는 3요소 시비량이 많을수록 생육이나 수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토양 이화학성중 유기물, 인산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다른 화학성분들은 시비량과 유의성 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강활의 수량은 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며 식토에서 가장 적었으므로 강활의 노두로 재배하는 북강활의 적정 재배 토성은 양토임이 밝혀졌다.

벼 엽록소 측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hlorophyll Measuring System)

  • 성제훈;정선옥;박우풍;정인규;김상철;서상룡;이충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9
    • /
    • 2002
  • 시비작업은 농업작업 중에서도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에 속한다. 엽색, 무성정도를 육안으로 보면서 과거의 경험, 논과 포장별 이력, 품종,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시비시기, 시비량을 적기에 판단ㆍ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다가 비료주기에서는 포장내 생육을 고려하여 위치에 따라 필요한 만큼 적정량을 살포해야 한다. 넓은 포장 안에서는 위치별로 생육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생육변이에 따라 시비량을 가감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조작을 포함하고 있다. (중략)

  • PDF

청예 사초용 유채의 춘파성 시비량 반응 (Effects of Fertilize Levels on Growth Characters,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in Spring Sowing)

  • 권병선;신정식;신동영;현규환;김학진;임준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83-86
    • /
    • 2003
  • 최근 단경기 사료작물로 사초용 유채가 관심을 끌게 되어서(김등, 1986; 안등, 1989 ; 조등, 1988). 사초용 유채의 재배 면적 확대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어 춘파성 시비량 구명시험을 실시하여 3요소 시비수준이 사초용 유채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3월2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량에 있어서는 3요소중 질소의 비효가 가장 컸으며, 인산과 가리는 증비(기준량 6kg/10a초과)의 효과가 거의 없었다. 2. 질소의 시용은 16kg/10a까지 직선적인 증수를 나타냈다. 3. 3요소의 적정 시비 수준은 N-P$_2$O$_{5}$-K$_2$O = 16-6-6 kg/10a 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고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등 조섬유 함량이 가장 낮으며, IVDMD 가 높고 건물수량이나 가소화 건물 수량이 가장 높아서 유의차가 인정 되었다 ( P 〈0.05 ).

  • PDF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얼비 시비량 (Optimum N Topdressing for Tillering i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ving Cultural System)

  • 최원영;김상수;송동석;최선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80
    • /
    • 2001
  •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적정 질소 분얼비 시비량을 알아보고자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을 60kg/ha과 100kg으로 하고 질소 분얼비 시비량을 ha당 48kg(표준구), 60kg, 72kg, 84kg 및 96kg을 시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엽면적지수와 지상부 건물중은 분얼비 시비량이 많을수록 약간 높았고, 파종량간에는 100kg/ha이 60 kg/ha보다 높았다. 시비절소 이용율은 표준 분얼비 대비 50~75%증시에서 높았고 100% 증시에서는 낮았으며, 질소 시비효율은 표준 시비량에서 높았다. 분얼비 시비량 및 파종량간에 출수기는 같았고 m$^2$당 수수와 당 립수는 분얼비 75% 증시(84kg/ha)에서 많았으며,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다. 쌀 수량은 (60kg/ha 파종시 질소 분얼비 48kg/ha 시용) 보다 50~75% 증시(84kg/ha)한 처리에서 파종량 60kg/ha에서는 5%, 100kg/ha에서는 16~1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얼비는 표준 대비 50~75% 증시한 72~84kg/ha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