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 모형

Search Result 33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Using the Geostatistical Method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변인의 시공간적 이질성 분석)

  • Kim, Jung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75-81
    • /
    • 2016
  •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and spatial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from the spatial and temporal perspective.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influence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transport, loc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conditions, popul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ere analyzed from the global and local aspect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ing patterns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First, to establish an analysis model, OLS analysis and GW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reby more efficient and proper model was selected. Secondly, to find spatial and temporal heterogeneity of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use of the selected GWR model, Local $R^2$ was used for local analysis. Thirdly, to look into spatial distribu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kriging analysis was carried ou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more microscopic housing submarket analysis and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policy on real property.

Spatial-Temporal Analysis of Flow and Suspende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Soyang River Basin using SWAT (SWAT 모형을 이용한 소양강 유역의 유출 및 부유사량 시공간 분석)

  • Kim, Jeong-Kon;Son, Kyong-Ho;Kim, Ik-Jae;Park, B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35-4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집중호우로 인해 탁수문제가 심각한 소양강 유역의 효과적인 탁수 관리를 위한 SWAT 모형 구축 및 유역의 시공간 토사유실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보정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부유사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조항천, 영실천/북천 상류, 인북천 상류 유역(서쪽) 등에서 연간 10톤/ha이 상의 부유사가 발생하여 소양강댐 유역에서의 탁수유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론천, 자운천 등은 연간 6톤/ha이상의 부유사 발생이 예측되었다. 특히 내린천의 최상류 두 유역인 조항천과 주운천 유역에서 발생하는 부유사는 소양강 전체 유역에서 발생하는 부유사의 1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유역들에 대한 토사유실 저감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유역에서 발생하는 부유사량의 시간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댐 유입부에 유입되는 부유사량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 발생한 부유사량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3년에 최고 약 1,200,000톤이 댐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5년도에 최저 40,000톤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각 소유역별로 탁수를 유발하는 토사 유실량 평가, 유역의 토사유실 저감대책 효과분석 및 저수지 모형과의 연계를 통한 유입된 탁수의 효율적인 관리 대책 수립에 이용될 것이다.

  • PDF

Hydrological Assessment of Multifractal Space-Time Rainfall Downscaling Model: Focusing on Application to the Upstream Watershed of Chungju Dam (멀티프랙탈 시·공간 격자강우량 생산기법의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 : 충주댐상류유역 중심으로)

  • Song, Ho Yong;Kim, Dong-Kyun;Kim, Byung-Sik;Hwang, Seok-Hwa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959-972
    • /
    • 2014
  • In this study, a space-time rainfall grid field generation model based on multifractal theory was verified using nine flood events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Chungju dam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KMA radar rainfall data sets were analyzed for the space-tim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Simulated rainfall fields that represent th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of observed rainfall field were reproduced using the space-time rainfall grid field generation model with log-Poisson distribution and three-dimension wavelet function. Simulated rainfall fields were applied to the S-RAT model as input data and compared with both observed rainfall fields and low-resolution rainfall field runoff. Error analyses using RMSE, RRMSE, MAE, SS, NPE and PTE indicated that the peak discharge increases about 20.03% and the time to peak decreases about 0.81%.

The Train Conflict Resolution Model Using Time-space Network (시공간 네트워크를 이용한 열차 경합해소모형)

  • Kim, Young-Hoon;Rim, Suk-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8 no.6
    • /
    • pp.619-629
    • /
    • 2015
  • The train conflict resolution problem refers to an adjustment of the train operation schedule in order to minimize the delay propagation when a train conflict is predicted or when a train conflict occurs. Previous train studies of train conflict resolutions are limited in terms of the size of the problems to be solved due to exponential increases in the variab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in conflict resolution model using a time-space network to solve the train conflict situation in the operational phase. The proposed model adjusts the size of the problem by giving only the dwell tolerance in the time-space network only for stops at the station after a train conflict. In addition, the proposed model can solve large problems using a path flow variable. The study presents a train delay propagation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rain conflict resolution assessments as well using the proposed model.

Soil Moisture Monitoring at a Hillslope located Sulmachun Watershed (설마천 소유역 내 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계열 관측연구)

  • Joo, Seung-Hyo;Kim, Sang-Hyun;Gwak, Yong-Seok;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93-597
    • /
    • 2008
  • 유역에서의 강우사상에 따른 일련의 수문학적 과정의 규명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양함수량을 산정하는데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유역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소유역이다. 대상유역의 정밀측량을 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을 획득 하였다. 이 수치고도모형에 사용하여 수치지형분석을 통해 총 21지점을 선정하였다. 토양수분의 연직방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지점의 10, 30, 60cm 깊이에 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방식인 MiniTRASE를 이용하여 총 50채널을 통해 매 2시간 간격으로 토양수분의 변동을 관측하였다.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획득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의 공간 분석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시계열에 대한 공간분석은 토양수분의 사면에서의 공간적인 분포가 사면의 지형적인 형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통계분석을 통해 평균치의 표준편차가 대상 기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대상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분포 특성이 기후나 식생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형이나 토질 같은 정적인 인자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결과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의 파악과 국내 사면에서의 수문기작들을 규명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patio-Temporal Analysis of Drought Using Mass Moment (질량모멘트를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방법 개발)

  • Kwon, Hyun-Han;So, Byung-Jin;Yoo, Ji-You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4-434
    • /
    • 2011
  • 가뭄은 홍수와는 달라서 정확한 발생시점, 지속시간, 피해반경 등을 정의하기 어렵다. 가뭄은 가뭄지수를 통해서 정의되며 정해진 지속시간에 따라서 가뭄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가뭄의 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지수로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 지속시간에 SPI 지수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 가뭄연구에서 시공간적 거동을 평가하는 연구가 중요한 연구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공간적으로 전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뭄의 시작점과 영역반경을 평가하는 것은 가뭄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뭄의 시공간적 분석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질량모멘트 개념을 도입하여 가뭄의 중심과 영역을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가뭄의 중심(centroid)은 1차모멘트를 통해서 추정되며 가뭄의 영역은 2차모멘트 즉, x방향의 공분산, y방향의 공분산, xy의 공분산을 통해서 타원(ellipse)형태로 수치적 접근이 가능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가뭄의 중심을 1차모멘트로 추정하게 되면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분산을 타원체로 표현하여 가뭄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1, 2차모멘트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Threshold 로 -2.0 이하의 값만을 이용하였으며 각 격자별 SPI 강도를 가중인자로 이용하였다. 그림과 같이 가뭄이 서해안에서 시작되어 시간에 따라 중동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모형을 통해서 추출된 1, 2차 모멘트 정보를 활용하여 가뭄의 특성을 범주화하고 이를 기상학적 특성과 연결시키면 기상특성을 고려한 가뭄 예측모형으로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tuberculosis mortality estimations in Korea (시공간 분석을 이용한 결핵 사망률추정)

  • Park, Jincheol;Kim, Changhoon;Han, Junhe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5
    • /
    • pp.1183-1191
    • /
    • 2016
  • According to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Korea ranked 1st place for TB morta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several administrative policies have been suggested and their efforts start showing some improvement. Meanwhile, those policies must be supported by solid scientific evidences by conducting appropriate statistical analyses. In particular,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uch as TB must be analyzed considering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analyzed TB mortality rates in Korea from 2000 to 2011 using one of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which is implemented as R package (R-INLA).

A Study of Temporal Characteristics From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 (다차원 강우모형의 시간적인 특성 연구)

  • Kim, Sangdan;Yoo, Chulsang;Kim, Joong-Hoon;Yoon, Yong 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783-791
    • /
    • 2000
  • A multidimensional representation for precipitation, given In the theory proposed by E. Waymire et al. (1984), is used for simulating rainfall in space and time. The model produces moving storms with realistic meso-scale meteorological features in time and space. The first- and second-order statistics derived from observed JX)int gauge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model parameters based on the Nelder-Mead algorithm of optimization. Then twelve-year traces of rainfall intensities at fixed gage stations were generated at intervals of 1 hours. First- and second-order statistics are evaluated from the above series, which are used for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one dimensional model of temporal rainfall at a point. As a result from the comparisons of one dimensional model parameters used observed and generated data from multidimensional model, we found that the multidimensional rainfall model generated visually realistic spatial patterns of rainfall as well as realistic temporal hyetographs of rainfall at a point. point.

  • PDF

Observation of spatio-temporal soil loss in soil erosion experiment using a stereo photogrammetry technique (입체사진측량 기법을 활용한 토조 내 토사유출의 시공간적 변화 관찰)

  • Kim, Youngchan;Shin, Sanghoon;Byun, Jongmi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6-306
    • /
    • 2015
  • 기존 토사유출실험 연구는 대체로 유출구에서 유사의 총량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는 총 토사유출량의 시간적 변화는 알 수 있으나, 토사유출의 공간적 분포 변화는 알 수 없기 때문에 토사유출의 취약지점을 파악하고 이를 제시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입체사진측량 기법을 도입하여 토사유출의 공간분포를 측정하고 각 지점이 총 토사유출량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토조($2m{\times}1m{\times}0.3m$)로부터 약 1.5 m 높이에서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토조 내 표면을 촬영하였고, 입체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해 토조 내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vation Models)을 추출하였다. 수치표고모형 추출 과정에서는 고도값의 오차 범위를 확인하였고 격자 해상도를 다양하게 설정하면서 최적의 격자 해상도를 평가해보았다. 최종적으로 구한 일련의 수치표고모형으로부터 토사유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토조 내 토사유출 과정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이해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Measurement Technique Based on Hyperspectral Imagery with Optical Variability (분광 다양성을 고려한 초분광 영상 기반 부유사 농도 계측 기법 개발)

  • Kwon, Siyoo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6-116
    • /
    • 2021
  • 자연 하천에서의 부유사 농도 계측은 주로 재래식 채집방식을 활용한 직접계측 방식에 의존하여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점 계측 방식으로 고해상도의 시공간 자료를 측정하기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위성영상과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된 다분광 혹은 초분광 영상을 통해 고해상도의 부유사 농도 시공간분포를 측정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하천 물리량 계측에 비해 부유사 계측 연구는 하천에 따라 부유사가 비균질적으로 분포하여 원격탐사를 통해 정확하고 전역적인 농도 분포를 재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부유사의 비균질성은 부유사의 입도분포, 광물특성, 침강성 등이 하천에서 다양하게 분포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부유사는 지역별로 다양한 분광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한 전역적인 부유사 농도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실내 실험을 통해 부유사 특성별 고유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실규모 수로에서 다양한 부유사 조건에 대한 초분광 스펙트럼과 부유사 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부유사 농도는 광학 기반 센서인 LISST-200X와 샘플링을 통한 실험실 분석을 통해 계측되었으며, 초분광 스펙트럼 자료는 초분광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서 부유사 계측 지점에 대한 픽셀의 스펙트럼을 추출하여 구축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자료들의 분광 다양성을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부유사의 입도 분포, 부유사 종류, 수온 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분광 특성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물리적 인자를 규명하였다. 더불어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계학습 기반 주요 특징 선택 알고리즘인 재귀적 특징 제거법 (Recursive Feature Elimination)과 기계학습기반 회귀 모형인 Support Vector Regression을 결합하여 초분광 영상 기반 부유사 농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 결과를 원격탐사 계측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최적 밴드비 분석 (Optimal Band Ratio Analysis; OBRA) 방법으로 도출된 회귀식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OBRA 기반 방법은 비선형성을 증가시켜도 좁은 영역의 파장대만을 고려하는 한계점으로 인해 부유사의 다양한 분광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계학습 기반 예측 모형은 420 nm~1000 nm에 걸쳐 폭 넓은 파장대를 고려함과 동시에 높은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해 다양한 유사 조건에 대한 부유사 시공간 분포를 매핑한 결과,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부유사 농도 분포를 산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