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위치

Search Result 33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a Mobile GSIS for collect ing the data of traffic accident on the spot using PDA (PDA를 이용한 교통사고자료 현장수집 Mobile GSIS 개발)

  • 임승현;김형준;전형섭;조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629-634
    • /
    • 2004
  • 교통사고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상에서 장소와 시간 및 건수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엄정한 사고처리 및 사고방지를 위한 후속대책 수립을 위해 피해상황과 현장주변의 교통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공간적인 발생 특성과 사고조사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현재의 현장조사체계는 과학적이며 현대화된 조사방법의 도입을 통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사고 조사를 위한 'PDA용 교통사고자료 현장수집 시스템(TacGIS)' 을 개발함으로써 교통사고 현장조사 분야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으며, 사고조사의 신뢰성 및 신속성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는 최근 GSIS 분야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LBS와 Mobile GSIS 기술의 새로운 활용 사례가 될 것이다. 개발된 시스템은 PDA를 이용한 Mobile GSIS의 주요기능, 사고위치자료를 취득을 위한 GPS 수신기능 그리고 현장에서 수집된 사고자료를 실시간으로 PC서버에 유ㆍ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이루어 졌다.으로 이루어 졌다.

  • PDF

Multipurpose dam effects on flood controls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spatially propagated flood event data (홍수유출 공간 확장 자료를 활용한 홍수조절에 대한 댐의 영향 분석 - 낙동강 유역 중심)

  • Jung, Yong;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0-4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규모가 비슷한 두 개 댐의 홍수조절 경향성과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고 하류에 미친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유역의 안동댐과 임하댐을 선정하였다. 댐 하류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성주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성주 수위관측소의 시작은 1995년 3월로, 이를 기준으로 2010까지의 31개 홍수 사상에 대해 홍수조절 능력과 영향을 검토하였다. 홍수사상의 관측치를 기준으로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류함수법을 활용하였다. 관측치에 대한 모의를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자연상태의 홍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성주 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홍수 조절에 대한 댐 영향을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률의 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수위관측소의 평균저감률과 유역면적의 비와 비교하였다. 댐 운영에 따른 Resevoir Index (RI)를 활용하여 댐에 따른 하류지점에서의 영향성을 분석하였으며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한강유역에서 분석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분석의 유사성을 통해 다른 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patial-temporal attention network-based POI recommendation through graph learning (그래프 학습을 통한 시공간 Attention Network 기반 POI 추천)

  • Cao, Gang;Joe, Inwh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2.11a
    • /
    • pp.399-401
    • /
    • 2022
  • POI (Point-of-Interest) 추천은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선호도를 모델링하기 위해 과거의 체크인의 공간-시간적 관계를 추출한다. 그러나 사용자 궤적에 숨겨진 개인 방문 경향을 반영할 수 있는 structured feature 는 잘 활용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궤적 그래프를 결합한 시공간 인식 attention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개인의 선호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Dynamic GCN (Graph Convolution Network) 모듈은 POI 들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동적으로 집계할 수 있다. LBSN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데이터 세트에서 검증된 새 모델은 기존 모델보다 약 9.0% 성능이 뛰어나다.

A Study on Indexing Moving Objects using the 3D R-tree (3차원 R-트리를 이용한 이동체 색인에 관한 연구)

  • Jon, Bong-G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4 s.36
    • /
    • pp.65-75
    • /
    • 2005
  • Moving-objects databases should efficiently support database queries that refer to the trajectories and positions of continuously moving objec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se queries. an efficient indexing scheme for continuously moving objects is required. To my knowledge, range queries on current positions cannot be handled by the 3D R-tree and the TB-tree. In order to handle range queries on current and past positions. I modified the original 3D R-tree to keep the now tags. Most of spatio-temporal index structures suffer from the fact that they cannot efficiently process range queries past positions of moving objects.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n access method, called the Tagged Adaptive 3DR-tree (or just TA3DR-tree), which is based on the original 3D R-tree method. The results of our extensive experiments show that the Tagged Adaptive 3DR-tree outperforms the original 3D R-tree and the TB-tree typically by a big margin.

  • PDF

Cretaceous Pterosaur Tracks in Daegok-ri, Ulju-gun, Ulsa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terosaur in the Korean Peninsula (울산 울주군 대곡리에서 산출된 백악기 익룡 발자국: 한반도 익룡의 시공간적 분포)

  • Ha, Sujin;Chae, Yong-Un;Lim, Jong Deock;Kim, Cheong-Bin;Lim, Hyoun Soo;Kim, Kyu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5
    • /
    • pp.458-472
    • /
    • 2018
  • Pterosaur tracks were discovered recently in the Daegok-ri dinosaur tracksite (Ulsan Metropolitan City Cultural Properties No. 13), Ulju-gun, Ulsan. Those tracks were reported as being the first in the Cretaceous deposits of Ulsan area. This tracksite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Gyeongsangnam-do coastal area where pterosaur tracks were reported intensively, and there are stratigraphic differences. This study described the pterosaur tracks and trackway of the Daegok-ri tracksite and discuss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Cretaceous pterosaur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terosaur footprints founded in Daegok-ri can be classified as Pteraichnus ichnosp., followed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pterosaur tracks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Daegok-ri pterosaur tracks, it was estimated that the Cretaceous pterosaurs on the Korean Peninsula had survived approximately for 40 million years from 120 Ma (i.e., Early Cretaceous) to 80 Ma (i.e., Late Cretaceous) and inhabited in various sedimentary environments regardless of the basin size and the specific sedimentary environments.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the sauropod, ornithopod, theropod, pterosaurs, birds, and crocodyliforms tracks/trackways in the Daegok-ri area represented that the Cretaceous vertebrate ichnodiversity was fairly high.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Forest Sector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의 산림분야 활용)

  • Lee, Woo-Kyun;Kim, Moonil;Song, Cholho;Lee, Sle-gee;Cha, Sungeun;Kim, GangSu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6 no.2
    • /
    • pp.27-42
    • /
    • 2016
  • Forest accounts for almost 64 percents of total land cover in South Korea. For inventorying, monitoring, and managing such large area of forest,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S/GIS) technology is essential. On the basis of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ry, forest cover and tree species can be classified, and forest cover map can be prepared. Using three dimensional data of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tree location and tree height can be measured, and biomass and carbon stocks can be also estimated. In addition, many indices can be extracted using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 For example, the level of vegetation vitality and forest degradation can be analyzed with VI (vegetation Index) and TGSI (Top Grain Soil Index), respectively. Also, pine wilt disease and o ak w ilt d isease c an b e e arly detected and controled through understanding of change in vegetation indices. RS and GIS take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carbon storage in climate change related projects such as A/R CDM, REDD+ as well.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mpact and vulnerability can be spatio-temporally assessed for national and local level with the help of spatio-temporal data of GIS. Forest growth, tree mortality, land slide, forest fire can be spatio-temporally estimated using the models in which spatio-temporal data of GIS are added as influence variabl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dex Structure for Tracing of RFID Tag Objects (RFID 태그 객체의 위치 추적을 위한 색인 구조의 설계 및 구현)

  • Kim, Dong-Hyun;Lee, Gi-Hyoung;Hong, Bong-Hee;Ban, Chae-H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7 no.2 s.14
    • /
    • pp.67-79
    • /
    • 2005
  • For tracing tag locations, the trajectories should be modeled and indexed i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The trajectory of a tag is represented as a line that connects two spatiotemporal locations captured when the tag enters and leaves the vicinity of a reader. If a tag enters but does not leave a reader, its trajectory is represented only as a point captured at entry. Because the information that a tag stays in a reader is missing from the trajectory represented only as a point,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tag that remains in a rea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data model in which trajectories are defined as intervals and new index scheme called the Interval R-tree. We also propose new insert and split algorithms to enable efficient query processing.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ndex scheme and compare it with the R-tree and the R*-tree.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new index scheme outperforms the other two in processing queries of tags on various datasets.

  • PDF

Selectivity Estimation for Timestamp Queries (시점 질의를 위한 선택율 추정)

  • Shin, Byoung-Cheol;Lee, Jong-Yu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2
    • /
    • pp.214-223
    • /
    • 2006
  • Recently there is a need to store and process enormous spatial data in spatio-temporal databases. For effective query processing in spatio-temporal databases, selectivity estimation in query optimization techniques, which approximate query results when the precise answer is not necessary or early feedback is helpful, has been studied. There have been selectivity estimation techniques such as sampling-based techniques, histogram-based techniques, and wavelet-based techniques. However, existing techniques in spatio-temporal databases focused on selectivity estimation for future extent of moving objects.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new histogram, named T-Minskew, for query optimization of past spatio-temporal data. We also propose an effective selectivity estimation method using T-Minskew histogram and effective histogram maintenance technique to prevent frequent histogram reconstruction using threshold.

The Spatial Equalizer$^{(R)}$

  • Kim, Yang-Han;Choe, Jeong-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6 no.4
    • /
    • pp.31-45
    • /
    • 2011
  • 사용자가 원하는 3D 사운드 혹은 소리의 공간감을 원하는 대로 재현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은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가지고 싶었던 꿈의 기계였다. 그러나 과연 개인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3D 사운드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정의하여야 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것은 매우 주관적인 개념일 뿐만 아니라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그 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방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원하는 소리의 파동 전파 자체를 시공간 상에서 물리적으로 재현하는 WFS(Wave Field Synthesis)나 Ambisonics, 또는 머리전달함수(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를 기반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있다. 이렇게 재현된 음장(sound field)을 보면 이들이 인지되고 평가되는 등의 객관화를 위하여는 청취 환경에 따라 그 특성이 바뀌고 동일한 환경에서도 청취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음장 재현 방법의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는 놀랍게도 과거의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밸런스 노브(balance knob)로부터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밸런스 노브는 보편적인 최적의 소리를 찾는 대신에 청취자가 원하는 음향 효과를 얻을 때까지 직접적으로 소리를 청취하고, 스스로 조절하여 평가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밸런스 노브와 같이 청취자가 원하는 3D 사운드를 스스로 평가하고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면? 즉, 청취자가 시공간적으로 원하는 3D 사운드를 실시간으로 청취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면? 과연 그러한 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매우 좋을 것이다. 본 고는 이러한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즉, 청취자가 자유 자재로 원하는 음장을 형성할 수 있는 렌더링 기법 및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소개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현재까지 오디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 이퀄라이져(frequency equalizer)와 매우 유사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Spatial Equalizer$^{(R)}$"라는 이름을 붙여 보았다. Spatial Equalizer$^{(R)}$는 공간 상에 하나의 점 또는 다수의 점으로 표시되는 가상 음원을 사용자가 조종하여 원 소리의 공간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 상에 다수의 점 음원들의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청취자가 원하는 공간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종전의 이퀄라이져와 같이 Spatial Equalizer$^{(R)}$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이 어떤 객관적인 척도에 의해서 평가되는 대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주관적으로 평가되고, 선택된다는 점이다.

Spatial-Temporal Interpolation of Rainfall Using Rain Gauge and Radar (강우계와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의 시공간적인 활용)

  • Hong, Seung-Jin;Kim, Byung-Sik;Hahm, Chang-Hah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3
    • /
    • pp.37-4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how the rainfall field effect on a runoff simulation using grid radar rainfall data and ground gauge rainfall. The Gwangdeoksan radar and ground-gauge rainfall data were used to estimate a spatial rainfall field, and a hydrologic model was used to evaluate whether the rainfall fields created by each method reproduced a realistically valid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Pilot basin in this paper was the Naerin stream located in Inje-gun, Gangwondo, 250m grid scale digital elevation data, land cover maps, and soil maps were used to estimate geological parameters for the hydrologic model. For the rainfall input data,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QPE), adjusted radar rainfall, and gauge rainfall was us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observed runoff by inputting it into a $Vflo^{TM}$ model.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and the ground rainfall were underestimated when compared to the observed runoff, while the adjusted radar rainfall showed a similar runoff simulation with the actual observed runoff.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when weather radars and ground rainfall data are combined, they have a greater hydrological usability as input data for a hydrological model than when just radar rainfall or ground rainfall is used separ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