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지각

Search Result 49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Housewives' Perception of Time Pressure and Their Consumer Behavior: Purchase Decision-Making on Time-Saving Durables (주부의 시간압박감에 따른 소비자행동 - 시간절약형 내구재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

  • 김기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29-238
    • /
    • 1994
  • 본 연구는 시간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주부가 지각하는 시간압박 감이 점차 높아질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간압박감이 소비자행동에 어떻게 작용하고 그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지 밝혀보려는 의도에서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부 546명을 대상으로 시간압박지각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집단을 분류된 소비자 집단 사이에 인구.사회 경제적특성과 시간 절약형 내구제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 압박지각 정도에 따라 고.중.저의 세집단으로 구분되었는데 중간집단에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었고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 가장 적은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취업주부의 18.7%가 시간압박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 그리고 전업주부의 6.8%가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 분류되어 취업주부가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하는 전형적인 소비자집단이 아닐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집단별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시간절약형내구재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도 부분적으로 밝혀졌으나, 예상과 달리 시간압박감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의 시간절약형내구재의 소유와 사용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 PDF

쇼핑객 밀집도 수준과 지각된 혼잡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성무;정석진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4 no.3
    • /
    • pp.23-32
    • /
    • 2000
  • 본 연구는 점포내에 쇼핑객이 밀집해 있는 정도와 쇼핑객이 지각하는 혼잡함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밀집 상태와 혼잡함의 개념을 구분하여 각 점포유형에 따라서 혼잡함이 다르게 지각됨을 규명한다. 둘째, 밀집상태와 혼잡함에 대한 지각이 쇼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점포유형과 쇼핑객들의 쇼핑 가치관에 따라서 달라지게 됨을 밝힌다. 연구 결과 점포 유형에 따라 동일한 수준의 밀집 상태에서 쇼핑객이 지각하는 혼잡함의 수준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 지각된 혼잡과 쇼핑시간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입증하지 못하였지만, 점포유형과 쇼핑가치관에 따라 밀집도가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밝힐 수 있었다.

  • PDF

PmP파의 주행시간을 이용한 한반도 남부지역의 지각두께 연구

  • 박종찬;함인경;김우한;최광선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21
    • /
    • 2003
  • 국내 지진관측망에 기록된 지진기록으로부터 관측한 PmP파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의 지각두께를 추정한다. 모호면으로부터 반사된 파형인 PmP파의 주행시간은 지각두께와 속도구조에 의존한다. 만약 실제 지각의 평균속도와 모델속도 사이의 차이가 작다고 가정하면, 계산한 주행시간과 실제 지진기록으로부터 관측한 주행시간의 상대적인 차이는 반사점에서 지각의 상대적인 두께차이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PmP파가 반사된 지점에서의 지각두께는 주행시간의 상대적인 차이가 표본추출간격보다 작은 값을 가질 때까지 지각두께를 변화시켜줌으로서 계산되어진다. 계산결과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의 지각두께는 지리산 부근 지역이 가장 두껍고 경상분지 지역이 가장 얇으며 호남지역은 중간 두께를 나타낸다.

  • PDF

Effects of Object Size and Viewing Distance on Duration Perception (대상의 크기 및 관찰거리가 시간 지각에 미치는 영향)

  • Lee, WonSeob;Kim, ShinWoo;Li, HyungChul 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4
    • /
    • pp.91-102
    • /
    • 2018
  • Although accurate time perception is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environment, it was discovered that non-temporal features also affect time perception.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ime perception, but there was no attempt to directly investigate the possible effects of the distance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stimuli on time percep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ewing distance on time perception, by considering the retinal, physical, and perceived size of the stimuli. The viewing distance had no effect when either the physical size or the perceived size of the stimulus was the same. Viewing distance was found only to have an effect when the retinal size of the stimulus was the same. This effect might be a size effect rather than a distance effect because as the viewing distance increases the size should also increase to maintain the retinal size. These results imply that temporal perceptual constancy is preserved irrespective of the viewing distance, when distance information is not limited.

The Effect of Retinal and Perceived Motion Trajectory of Visual Motion Stimulus on Estimated Speed of Motion (운동자극의 망막상 운동거리와 지각된 운동거리가 운동속도 추정에 미치는 영향)

  • Park Jong-Jin;Hyng-Chul O. Li;ShinWoo Kim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4 no.3
    • /
    • pp.181-196
    • /
    • 2023
  • Size, velocity, and time equivalence are mechanisms that allow us to perceive objects in three-dimensional space consistently, despite errors on the two-dimensional retinal image. These mechanisms work on common cues, suggesting that the perception of motion distance, motion speed, and motion time may share common processing. This can lead to the hypothesis that, despite the spatial nature of visual stimuli distorting temporal perception, the perception of motion speed and the perception of motion duration will tend to oppose each other, as observed for objects moving in the environment. To test this hypo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perceived speed using Müller-Lyer illusion stimulu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perception consequences of motion stimuli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speed perception measured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perceived motion trajectory while controlling for the retinal motion trajectory, and Experiment 2 manipulated the retinal motion trajectory while controlling for the perceived motion trajectory. The result is that the speed of the inward stimulus, which is perceived to be shorter, i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utward stimulus, which is perceived to be longer than the actual distance traveled. Taken together with previous time perception findings, namely that time perception is expanded for outward stimuli and contracted for inward stimuli, this suggests that when the perceived trajectory of a stimulus manipulated by the Müller-Lyer illusion is controlled for, perceived speed decreases with increasing duration and increases with decreasing duration when the perceived distance of the stimulus is constant. This relationship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eed perceived by spatial cues corresponds to the properties of objects moving in the environment, i.e, an increase in time decreases speed and a decrease in time increases speed when distance remains the same.

Husband's Time Spent Structure and Husband and Wife's Perceptions of the Family Life Problem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부부의 지각)

  • 이기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45-160
    • /
    • 1994
  • 이 논문의 목적은 남편의 장시간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실정에서 남편이 직업노동과 관련해서 소비하는 시간이 어느정도나 되며 이것이 다른 생활시간배분에 어떤 영향을 주고 또 가정생활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편의 총직업노동시간의 실태를 보면 평일 11시간 43분 토요일이 8시 간 21분 일요일이 1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평일 직업노동시간을 5집단으로 나누어 다른 생 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노동시간이 긴 집단이 짧은 집단에 비 해서 다른 모든 생활시간- 생리적, 가사적, 사회문화적 시간-에 소비하는 시간이짧은 것으 로 나타났다 . 2) 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에 있어서는 남편 은 주로 자신의 피로회복문제나 스포츠.여가시간 부족문제 생활의 여유가 없다는 문제 가 족단란시간 부족문제 자녀와의 접촉시간 부족문제 등을 심각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부인은 남편의 건강염려 남편의 자녀접촉시간 부족 가족단란시간 부족 남편과 취미 스포츠를 할 시 간 부족 부부간 대화시간 부족등이 문제가 된다고 지각하였다 3)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 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은 남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내자녀연령, 직업 노동시간,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부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 내자녀연령, 남편의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 성역할태도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ize Illusion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Restriction on Time Perception (거리 정보 제한에 따른 크기 착시가 시간 지각에 미치는 영향)

  • Kim, Min-Kyu;Lee, Won-Seob;Kim, Shin-Woo;Li, Hyung-Chul 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5 no.1
    • /
    • pp.79-90
    • /
    • 2022
  • IThe perception of sub-second duration through the visual sensory system is affected by non-temporal characteristics (factors other than the duration of the stimulus).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if distance information is abundant and size constancy maintained, the duration of the target is constantly perceived.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time perception constancy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with limited distance information. A device was constructed to limit the participants' bilateral and monocular cues. This prevented participants from maintaining size constancy, resulting in size illusions that could not accurately perceive physical size. In Experiment 1, the size of the physical stimulus of reference and test stimuli were the same at all viewing dista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despite the same physical size, stimuli with close observations were perceived to be greater and lasted longer. In Experiment 2, the retinal size of the reference stimuli and test stimuli was controlled equally at all viewing distances. As a result, although the physical size of the stimuli increased as the observation increased, the perceived size of all the stimuli was the same. Therefore, the duration of the target was constantly perceived at all viewing dist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ven when distance information is limited, time perception is affected by the perceived size of the object. It also suggests that when rich distance information exists, the duration of the object can be constantly perceived even if the observation distance varies.

Factors of Interest in Computer Game (컴퓨터 게임에서의 흥미 관련 요인)

  • 김세영;한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09-213
    • /
    • 2000
  • 흥미는 학습을 비롯한 여러 인지 과제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 된다. 그러나 그 개념의 모호성이나 측정 가능성에 대한 문제 등으로 인해서 이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게임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흥미와 관련된 변인으로서 주관적 시간 지각과 flow 경험에 대한 설문을 통해서 흥미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게임에서의 흥미의 경험이 실제 시간보다 짧은 주관적 시간 지각의 왜곡으로 나타날 것이며 flow와 관계된 요인들이 결국 흥미 유발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주관적 시간 지각이 흥미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전감, 주의, 시간 왜곡감, 기술, 각성 등의 변인도 흥미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웍과 개인 조건에 따른 흥미와 시간의 왜곡감, 전략, 시간 지각의 차이도 역시 유의하였다.

  • PDF

Korean Students' Attribu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학업성취도 향상 요인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

  • Hwang, Mea-Hyang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7 no.2
    • /
    • pp.117-12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in 2003 and 2005 were analysed for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3,449 jounior-high school students and 3,125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reported the effects of class participation, private tutoring, and studying by oneself were almost same level. But the correlations of students' effort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different across the activities. Studying by oneself was regarded more effective by the students who took more efforts to participate at the clas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lass participat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st.

  • PDF

The Perc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and Home Management Performance of Housewives in Objects Specific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과 대상별 가정관리 수행)

  • 한경미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68-7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주부가 가족자원을 적정하게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주부의 가정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가족자원에 대한 적정지각이 가정관리수 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는 대인관 계자원과 주거자원에 대한 적저지각이 가장 높고, 건강자원, 지식.기술자원, 시간자원, 지역사회자원, 금전자원의 순으로 저정하게 지각하고 있다. 둘째,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력, 월평균소득, 취업유무, 하루평균 가사노동시간, 주택소유형태, 내구재소유수이다. 세째, 주부의 대상별 가정 관리수행 수준에서는 기질.성격에 대한 관리수행 수준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애정관리이며, 지식.기술에 대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네 째, 주부의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부가 지각하는 남편의 가사조력도이다. 끝으로, 전체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은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과 정적상관을 가지며, 주부가 지식.기술자원을 보다 적정하게 지각할수록 전체관리수행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