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공간사상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stributed Rainfall-Runoff Analysis of Urban Basin with GIS Technique and Network Analysis (GIS 및 관망해석을 이용한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해석)

  • Ryu, Hee-Sang;Kim, Mun-Mo;Kim, Young-Sub;An,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143-148
    • /
    • 2010
  • In this study, the mixed model of the surface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grid data and Illudas model was applied to the urban watershed of Bulgang river. After the surface rainfall-runoff was estimated with GIS data, the runoff hydrograph was calculated using network analysis at Jeungsan bridge, which is the final output of watershed. Estimated runoff hydrograph in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observed runoff hydrograph which is converted from the water stage at Jeungsan bridge. The relative errors of total runoff volume and peak discharge showed the range values of 11.70%~16.30% and 1.10%~6.96%, and then the difference of peak times had the values of less than 1 hour for 4 storms. Therefore, the mixed model in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estimate the runoff hydrograph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urban watershed.

Effect of tunnel connection on turbid water transport: Intake control (댐간 연결터널에 의한 탁수거동 해석(1): 취수설비 운영)

  • Jung, Kwang-Wook;Jung, In-Gyun;Kang, Chang-Seok;Yoo, Dong-Bae;Koo, B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64-564
    • /
    • 2012
  • 유역내에서 발생한 고탁수는 저수지로 유입됨으로써 용수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고, 수환경 악화 및 하류지역의 정수비용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사회, 경제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다목적댐은 홍수기에 탁수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탁수문제는 수중생태계를 파괴하고, 상수원을 오염시키며, 물이 가지는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잦은 이상 집중강우 현상 때문에 탁수의 장기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댐의 연결사업은 탁수의 인위적인 외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절을 통해 그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댐에서 물의 밀도는 온도, 염도 및 탁도 등의 변화로 인하여 일정하지 않고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혼합되지 않고 밀도와 두께가 다른 층에 분리되어 존재한다. 여름철 집중 강우 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표수층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적기에 배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확산현상과 연직방향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EFDC의 댐의 수리 및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해 여름철 집중강우시 유입되는 고탁수의 도달시간과 탁수량 등을 예측 평가하였다. 댐의 취수탑이 설치되는 위치는 댐의 상류측으로 일반적인 댐 주변의 온도 및 탁수거동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반영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FDC의 댐 수리 및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여름철 댐으로 유입되는 탁수거동을 평가하고, 댐 연결터널로 유입되는 취수탑 앞의 탁수농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선택취수를 통해 댐 연결로 인한 고탁수의 댐간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수설비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총 6개의 홍수사상('99년 홍수, '02년 루사, '03년 매미, '06년 에위니아, '09년 홍수 등)을 선정하여, 홍수사상에 대한 시단위의 유입량자료를 이용하여 양 댐간 연결로 인한 탁수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Changes of Spatio-Temporal Drought Characteristics Using Three-Dimensional Drought Maps (3차원 가뭄지도를 활용한 시공간적 가뭄 특성 변화 분석)

  • Yoo, Jiyoung;Kim, Jang-Gyeong;Kwon, Hyun-Ha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2
    • /
    • pp.209-215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droughts, it is very important to interpret the spatio-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droughts. In this study,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events were defined to account for the overlap between drought duration and spatial extent in three dimensions (i.e., latitude, longitude, and timing). In other words, the spatio-temporal drough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rought characteristic factors (duration, area, depth, center). The drought ma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rought propagation can be used to find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hydrological drought which is expected to frequently occur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drought map is expected to be useful in preparing an effective drought response plan.

Soil Moisture Monitoring at a Hillslope located Sulmachun Watershed (설마천 소유역 내 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계열 관측연구)

  • Joo, Seung-Hyo;Kim, Sang-Hyun;Gwak, Yong-Seok;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93-597
    • /
    • 2008
  • 유역에서의 강우사상에 따른 일련의 수문학적 과정의 규명과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양함수량을 산정하는데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유역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소유역이다. 대상유역의 정밀측량을 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을 획득 하였다. 이 수치고도모형에 사용하여 수치지형분석을 통해 총 21지점을 선정하였다. 토양수분의 연직방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지점의 10, 30, 60cm 깊이에 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방식인 MiniTRASE를 이용하여 총 50채널을 통해 매 2시간 간격으로 토양수분의 변동을 관측하였다.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획득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의 공간 분석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 시계열에 대한 공간분석은 토양수분의 사면에서의 공간적인 분포가 사면의 지형적인 형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통계분석을 통해 평균치의 표준편차가 대상 기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대상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분포 특성이 기후나 식생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형이나 토질 같은 정적인 인자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결과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의 파악과 국내 사면에서의 수문기작들을 규명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Water Level Forecasting by Heavy Rainfall using Neural Network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집중호우시 수위예측에 관한 연구)

  • Jun, Kye-Won;Lee, H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1-291
    • /
    • 2011
  • 우리나라는 기상학적 지리학적 영향으로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하여 내리며 최근에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내리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집중호우는 하천의 수위를 증가시켜 하천범람 및 제방붕괴의 위험을 가져와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하천 수위의 예측은 기존에 물리적, 개념적 모형을 통해 강우-유출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주로 다루어 졌다. 그러나 자연현상인 강우와 유출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은 지역의 다양한 특성, 강우의 시 공간적 분포 등 복잡하고 다양한 인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와 부딪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비선형 과정들의 모형화가 가능한 인공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100mm이상의 강우가 연속해서 내린 호우사상을 훈련시켜 집중호우 발생시 수위예측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된 인공신경망 모형을 금강유역 보청천에 적용한 결과 중소하천유역인 보청천 유역의 홍수위 예측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Optimal Parameters Estimation of Diffusion Analogy-GIUH Model for Estimation of Reservoir Flood Inflow (저수지 홍수유입량 산정을 위한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최적매개변수 추정)

  • Choi, Yong-Joon;Kim, Joo-Cheol;Lee, Gi-Ha;Jeo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22-1326
    • /
    • 2010
  •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는 통계물리적인 모형으로 이론적 물리적으로 뛰어난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유역의 동적 매개변수인 특성유속과 확산계수의 산정이 어려워 실제적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보청천 산성유역을 대상으로 전역최적화 기법인 SCE-UA를 이용하여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동적 매개변수 산정하였으며, 모형의 재현성을 3개의 수문사상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최적화 결과 차수 단계별 특성유속 및 확산계수의 증감은 변동을 보이지만, 전체적인 경향성은 특성유속의 경우 하천차수가 커질수록, 즉 하류방향에 대해 증가 경향을 나타내며, 반대로 확산계수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최적화 방법에 향후 지체시간, 분산 및 왜곡도 등의 통계적인 제약조건과 동적 매개변수의 공간적 변화 등의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제약조건 등이 결합된다면 좀 더 발전된 모형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HVPM Model Using Nonlinear mapping Circuit (비선형 매핑회로를 이용한 HVPM 모델의 구현)

  • 이익수;여지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1
    • /
    • pp.22-2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HVPM (Hyperchaotic Volume Preserving Maps) 모델의 회로를 제안하고, 보드상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제안한 HVPM 모델은 3차원 이산시간(discrete-time) 연립차분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선형 사상(maps)과 모듈러(modulus) 함수를 사용하여 랜덤한 카오스 어트랙터(attractor)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HVPM 모델을 하드웨로 구현하기 위하여 연산 부분은 연산증폭기를 사용하고, 매핑(mapping) 부분은 N형 함수와 비교기를 사용하여 설계한다. 특히, N형의 비선형 함수는 CMOS 전달특성과 선형증폭기의 출력특성을 조합하여 독특하게 구현하였다. 구현한 보드상의 실험에서 카오스 시스템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는 가변저항기를 조절하여 비주기적인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킴을 입증하였다. 또한 출력된 카오스 신호들간의 오실로스코프 사진에서 위상공간(phase space)의 동적응답은 랜덤한 어트랙터를 발생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verage rainfall estimation method of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 (전파강수계 평균 강우 추정 기법)

  • Lim, Sanghun;Kim, Won;Lee, Chanjoo;Choi,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6-376
    • /
    • 2021
  • 홍수와 같은 수문 재해를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강우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뢰할 수 있는 수문재해 예보 시스템은 기존의 포인트 기반 우량계를 사용하여 달성 할 수 있는 것보다 강우량의 공간 분포를 관측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파강수계 시스템과 다중 고도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 강우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전파강수계는 K 밴드 이중 편파 기술을 사용하여 초단거리 관측을 수행하는 소형전파강수관측시스템이다. 평균 강우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매우 짧은 관측 범위와 이중 편파 정보의 다중고도 평균 관측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관측 지역의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의 고도별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제안 된 방법은 전파강수계의 관측 범위와 스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강우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가 낮다는 가정하에 개발되었다. 제안된 방법의 평가를 위해 핏게이지, 우량계 및 Parsivel disdrometer를 포함한 지상 장비와 비교하였다. 시험적용 결과 제안된 강우 추정 기법이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해 강우강도를 잘 추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Zero Trust Architecture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기반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

  • Lee, Jin Yong;cho, wonbae;Jang, Hyo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210-212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스마트워크, 원격진료, 메타버스 등 원격 접속 기반의 사회 인프라 환경이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나19는 이와 같은 원격접속 환경을 가속화하였다. 원격 접속 환경에서는 공간, 시간, 단말 등의 제약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기업 내부의 중요 자원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 생산성을 증대시킨다는 이점은 있으나, 충분히 검증받지 않은 작업 환경이기 때문에 보안적 측면에서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에서는 원격접속 환경은 허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한다는 기본 사상을 바탕으로 설계되어 있기 정보보호 전략적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보호 전략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기반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방안을 제언한다.

The Effects of Time Scale Variation on The Runoff Calculation of TOPMODEL (TOPMODEL 유출계산에서 시간 스케일에 대한 영향 분석)

  • Kim, Kyung-Hyun;Lee, Hak-Su;Kim, Won;Jung, Sung-Won;Kim, Sa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125-136
    • /
    • 2002
  • The effects of the temporal scale of input hydrological data on runoff simul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hydrological data with various time scales. TOPMODEL has been employed to explores these effects. The Genetic a1gorithm was used to calibrate model Parameters.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in various time scales provide the insight of parameter space for TOPMODEL operation of different time scale. The variation of temporal scale of input hydrological data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model efficiency, average water table depth, the ratio of the surface runoff to the total runoff and the calibrated parameters. Generally, the longer the time scale, the more surface runoff and the less average water table death were calculated. It is found that the impact of lime scale to runoff simulation results from the structure of TOPMODEL and the hydrographic morp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