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피로도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hanges of visual discomfort depending on velocity of lateral motion and motion-in-depth in stereoscopic images (양안식 영상에서 깊이 방향 모션과 수평 방향 모션 속도에 의한 시각적 불편함의 변화)

  • Lee, Seong-Il;Jung, Yong Ju;Sohn, Hosik;Ro, Yong Man;Park, Hyun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4-7
    • /
    • 2010
  • 3D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3D 시청 및 제작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3D 안정 시청 가이드 라인은 3D 시청으로 인한 시청자의 시각적 불쾌감이나 피로감을 방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최근 일본의 3DC에서는 과도한 수렴-조절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 양안 시차 $1^{\circ}$를 쾌적 시차 범위로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 쾌적 시차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며, 콘텐츠의 특성 및 시청 조건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쾌적 시차를 갖는 3D 영상 콘텐츠에서 객체의 모션으로 인해 양안시차가 시공간적으로 변할 때, 야기되는 시각적 불편함의 변화에 대하여 관찰한다. 특히, 깊이 방향 모션 및 수평 방향 모션에서 객체의 속도 변화에 대한 시각적 피로감의 정도를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측정한다.

  • PDF

Evaluation of Human Factors on Autostereoscopic 3D Viewing by Using Auditory Stimuli (청각자극을 이용한 무안경방식 3D 영상의 휴먼팩터 평가)

  • Mun, Sungchul;Cho, Sungjin;Park, Min-Ch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1
    • /
    • pp.1000-1009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behavior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watching a multi-view 3D content by using auditory stimuli based on the selective attention theory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3D visual fatigue. Twenty-one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report on their current visual and physical condition both in the pre- and post-experiment. A selective attention task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mobile 3D viewing to compare the changes in performance. After performing a Wilcoxon's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on the subjective ratings of 3D visual fatigu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unfatigued and fatigued group with a definite criterion. For the unfatigued group, no significant fatigue effects were found in behavioral response times and accuracies to specific auditory targets. In sharply contrast to the unfatigued group, the fatigu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layed response times and less response accuracie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accuracies for a working memory task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A Study on the Increasing Fatigue of Officer During Ship Navigation (선박운항중 항해자의 피로도 증가에 관한 연구)

  • Yang, Young-Hoon;Jang, Jun-Hyuk;Bae, Yong-Gi;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4-15
    • /
    • 2018
  • 선박운항중 항해자의 피로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선박운항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해자의 신체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천항에 입항하는 상황에서 도선사 및 선장 총 12명을 대상으로 플리커(Flicker) 장비를 이용한 시각 피로 변화, 자율신경검사 분석 장비를 이용한 스트레스 및 누적 피로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 PDF

Visual discomfort in stereoscopic images caused by the horizontal size of binocular visual stimulus (양안식 시각자극의 너비에 의한 시각적 불편함)

  • Lee, Seong-Il;Jung, Yong Ju;Sohn, Hosik;Ro, Yo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42-43
    • /
    • 2012
  • 최근 양안식 3D 디스플레이의 시청 안정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어떠한 요인들이 시각피로와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하는지 밝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시각적 불편함은 양안식 3D 영상에서 과도한 양안 시차, 양안 시차의 빠른 변화, 양안 불일치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 불편함은 시각시스템의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한 결과이므로 알려진 양안 시차 등의 요인 외에도 밝혀지지 않은 요인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로부터 시각적 불편함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요인으로 시각자극의 너비와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민감도를 선택하였다. 이들의 영향을 밝히기 위한 실험으로서, 편안한 양안 시차 범위 내에서 시각자극의 너비와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양안 융합 시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편안한 양안 시차 범위 내에서도 시각자극의 너비와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양안 융합 시간이 크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각자극의 너비가 주요한 시각적 불편함의 3D 콘텐츠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Influence of disparity on subjective visual comfort in stereoscopic 3D image (시각적 편안함에 대한 양안식 3D 영상의 양안 시차 영향)

  • Sohn, Hosik;Jung, Yong Ju;Lee, Seong-Il;Ro, Yo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40-41
    • /
    • 2012
  • 양안식 3D 영상 시청 안정성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지속적인 이슈는 3D 영상 시장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선결 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최근, 이를 위해 양안식 3D 영상이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함을 측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안식 3D 영상에서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 영역의 양안 시차 변화에 따른 주관적 시각적 불편함을 측정한다. 이를 통하여 양안식 3D 영상에서 시각적 불편함을 주는 문제 영역의 영상 특성이 시청자가 인지하는 시각 피로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 PDF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 반응 분석

  • Park, Sun-Gi;Lee, Chang-Geon;Kim, Jong-Hyeon;Lee, Byeong-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29-36
    • /
    • 2015
  • 최근 3차원 영상의 시각 피로를 줄이고 보다 자연스럽고 현장감을 줄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초다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주로 이용되는 다시점 기반의 3차원 디스플레이는 양안 시차만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때문에, 장시간 시청시 시각 피로와 어지러움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 중의 하나로 초다시점 디스플레이가 제안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초점 조절 요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어 차세대 3차원 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박형 디스플레이 및 투사형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구현과 더불어 초다시점 영상의 관찰 환경에 따른 인체의 반응을 살펴보는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 반응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Influence of Luminous Environments on Visual Responses and Fatigue Sensation in Art Galleries (미술관의 조명환경 변화에 따른 시각적 반응 및 피로감각 변화분석)

  • Park, Yoon-Hye;Kim, Soo-Young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3 no.1
    • /
    • pp.61-72
    • /
    • 2011
  • The influences of luminous environment on visual responses and fatigue sensation in art galleri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ield measurements and survey were performed in three galleries under various illuminance and luminous conditions. Result implies that vertical illuminance on art paintings needed to be somewhere between 200 lx and 300 lx to avoid visual discomfort. The vertical illuminance difference between consecutive paintings should not exceed 100 lx to keep visually comfortable environment. Visual comfort sensations were related to glare, visual stimulus, reflection from paintings, illuminance variation, and the sensation that subjects can clearly see the paintings. The sensation of fatigu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luminous element that caused visual stimulus and discomfort. The sensation of eye fatigue among physical fatigue wa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glare, visual stimulus and comfort. The psychological fatigue was also influenced by eye fatigue, visual comfort, brightness and satisfaction with color of light.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문화유산 데이터의 시공간상 시각화 연구)

  • Park, Narae;Jeon, M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5-57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유산 데이터의 효과적 정보 시각화 방안을 탐색한다. 문화유산 데이터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충실히 이해될 수 있기에, 지리적 평면과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시공간 큐브상에 문화유산 데이터들을 배치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통시적·공시적 조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유익한 시각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유산 컬렉션 데이터를 지도 평면과 시간 축으로 구성된 시공간 큐브 상에서 탐색·체험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AR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분석 결과 문화유산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는 데이터에 대한 총체적 시야를 제공하고 새로운 체험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한편, 낯선 형식으로 인한 인지적 피로가 뒤따를 수 있어 대상 데이터의 특성, 매체 형식의 특성, 사용자의 경험적 이해, 인간의 지각방식을 고려한 다각적 정보 체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rosstalk and 3D Visual Fatigue Along with Horizontal Position in Mobile Glassless 3D Display Having Parallax Barrier (패럴랙스 배리어를 사용한 무안경식 휴대용 3차원 디스플레이의 수평위치에 따른 크로스톡 및 3차원 시각 피로의 측정과 모형 구축)

  • Park, JongJin;Kim, ShinWoo;Li, Hyung-Chul 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9 no.2
    • /
    • pp.215-226
    • /
    • 2014
  • The 3D technology has been spread slowly and the reason w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st commercialized 3D displays require 3D glasses.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human factors of glass type 3D display. In this study we measured and modeled crosstalk as well as 3D visual fatigue induced by mobile glassless 3D display. Crosstalk as well as visual fatigue varied depending on horizontal position of the 3D mobile display. Measured crosstalk was relative low around the center of the display and it increased at the side of the display.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measurement of 3D visual fatigue and discomfort. These results imply that huma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evaluation of mobile 3D displ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