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안전

Search Result 57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Environmental Evaluation Elements for Universal Design at the Museum: Focused on the Use Evaluation of Visually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eople (박물관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환경 평가요소 분석 :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 평가를 중심으로)

  • Kwon, Jungin;Kim, Sihoon;Lim, Kyungran;Kim, Kyungm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6
    • /
    • pp.125-135
    • /
    • 2015
  •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populations increase,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al design is more highlighted to form equal and secured environment. Particularly, as the desire for the cultural experience has grown, investment and construction of the cultural space are actively carried forward at the state level, but there are a lot of restrictive elements for the disadvantaged to have the cultural experience in the public facilities. To analyze these elements, investigation into the present conditions and analysis of use evaluation were conducted over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of museums, the public cultural space, in term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eopl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universal design, analyzed and reclassified the existing evaluation elements. As a result of evaluating museums in the country based on the analyzed evaluation element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supplement points in service were investigated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to tour museums and remedies were drawn.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these disadvantaged and to suggest evaluation elements and remedies for environment construction, so that everyone can do pleasant activities.

The enhanced definition of terrorism and disaster for better Counter-terrorism strategies in the future (대테러 대비 전략을 위한 테러와 재난정의 이해)

  • Oh, Hangil;Kim, D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99-301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테러는 국제적으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더 이상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 테러의 인식에 따른 시각은 다소 편협하여 성별, 나이, 직위, 장소등 많은 부분에서 갈등을 갖으며, 또한 한반도는 남북한의 갈등으로 인한 특수성은 게릴라 전을 테러라고 인식하는 시각이 있다. 국내 특수성으로 인해 테러를 전쟁의 영역으로 보고 테러대응 전략은 국가 안보로 많이 치우쳐져 있다. 역사와 정치적으로 또한 테러는 이념대립으로 인한 전쟁으로 치우쳐 전쟁의 전략에 한 부분으로 인식 되어 왔다는 것이 사실이다.(Rumyana G., 2014) 이는 전쟁의 시각에서 테러를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테러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의 안보의 개념뿐 아니라 재난의 개념에서도 찾을 수 있다. "불평등한 사회에 대한 민중의 분노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스위스 진보적 사회학자 장 징글러(Jean Ziegler) 는 말하며 무고한 사람들을 타겟으로 한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비합법적 무력 사용으로 보았다. 즉, 비합법적 무력사용으로 무고한 다중(Innocent people)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젠킨스와 라쿼르의 정의를 살펴보면 "테러리즘이란 폭력 혹은 폭력의 위협이다"라고 정하였다.(Jenkins 2004) 폭력이란 형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한다. 철학, 정치학 등의 학문에서는 다른 사람 또는 국가나 세력을 제압하는 힘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힘자랑이나 힘겨루기가 이에 속한다. 무력의 사용으로 사회에 심리적인 영향을 끼치며 사회적 파괴를 일으키는 것을 보편적 테러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테러는 국가 통치 질서와 사회질서 안정에 큰 위협과 혼란을 초래하는 파괴행위의 무력행사로 국가의 재난 상황을 유발하는 인류가 만든 재난으로 볼 수 있다. 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사회현상으로 발생하는 폭력적 파괴행위에 대한 피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의 현상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첨단기술을 이용한 폭력행위와 파괴의 두려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두려움의 전파 속도도 빨라 질 것이다. 따라서 테러행위의 극복을 위해서는 테러를 인적재난(Man-made Disaster)로 보고 재난의 범주로 포함하여 미래의 테러를 위한 대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학계의 학자들과 기관 및 민간 의 전문기관들에 따른 테러의 정의를 분석하고 재난정의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대테러 대비 전략의 방향에 기틀을 마련하고자 테러정의를 도출하였습니다.

  • PDF

WIVA : WSN Monitoring Framework based on 3D Visualization and Augmented Reality in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의 3차원 시각화와 증강현실에 기반한 센서네트워크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 Koo, Bon-Hyun;Choi, Hyo-Hyun;Shon, Tae-Sh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6 no.2
    • /
    • pp.106-113
    • /
    • 2009
  • Recently, due to many industrial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 variety of researche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of buildings are progressing. For real site application of SHM, one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has blown as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In this paper, we proposed WIVA(WSN Monitoring framework based on 3D Visualization and Augmented Reality in Mobile Devices) system that applies 3D visualization and AR technology to mobile devices with camera based on WSN in order to expand the extent of information can observe. Moreover, we performed experiments to validate effectiveness in 3D and AR mode that utilize WSN data based on IEEE 802.15.4. In real implementation scenario, we demonstrated a fire occurrence test in 3-story building miniature.

A Study on the Technique of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based on UAV and USN (UAV와 USN 기반의 건설현장관리기법 연구)

  • Yeon, Sang-h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457-467
    • /
    • 2019
  • In recent years,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visually manage the construction site efficiently, and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se a UAV or a drone in the air rather than a land on a construction site, Can be visually photographed and recorded or analyzed. In this study, the unmanned aerial photographs were taken at least three times and the USN sensors were simultaneously operated on the main structure at the time of shooting,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make the imag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vailable for efficient construction management by matching. As a result, not only professional engineers at construction sites but also administrative managers can visually confirm the detailed situation of the site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mpletion status, and can help decision making in appropriate budget input and appropriate resource support The experts in each field discussed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prevention of disaster and various factors of change which can be changed by natural environment factors.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School Zone - Focusing on policy and design cases in Korea and Sweden - (국내 어린이보호구역 개선 방향 연구 - 스웨덴의 정책 및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Young-Jun;Choi, Ju-Hee;Hong, Mi-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116-124
    • /
    • 2022
  • After the death of Min-sik Kim in A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September 2019, awareness of the school zone has been increasing, and the traffic law is being revised continuously.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mong children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indicates the need for a new direction consider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 traffic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chool zones through case analysis of school zones in Korea. In addition, we analyzed the Vision Zero policy, the concept of Home Zone, and engineering-oriented road design cases and operation methods in Sweden, an advanced country in traffic safety. In addition, the cases of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ed and organized focusing on the basic principles of disaster prevent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and policy to improve school zone problems in Korea.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future research development for the reduction of school zone fatalities in Korea.

Development of immersive flood routing model using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sualization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몰입형 홍수추적 모형 개발)

  • Son, Sangyoung;Hwang, S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6-96
    • /
    • 2022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기술은 3차원 가상공간 내에서의 높은 몰입감에 기반한 체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방훈련이나 태풍, 지진 등 재해 대응훈련과 같이 인명피해의 위험이 있는 재해에 대한 VR 기술을 활용한 방재교육은 위험성을 동반하지 않으면서도 현장감에 기반한 높은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VR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훈련을 위한 실감 소방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한 바 있으며 목동재난체험관에서는 홍수, 태풍, 지진 등 다양한 재해에 대한 안전교육을 위한 자연재해 가상현실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국 지자체 및 교육청에서는 방재교육을 목적으로 VR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VR을 활용한 수재해 방재교육은 범람의 수리학적 특성과 함께 수해지의 지형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방재교육이나 경각심을 부각하는 데엔 효과적이나 실질적인 방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몰입형 파랑해석모형인 Celeris Base를 기반으로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는 Unity3D를 이용하여 모의환경 내에 구현되었다. 강우-유출 과정의 수리학적 해석을 위해 동수역학 수치모형의 연속방정식 내에 강우와 침투에 대한 항을 추가하였다. 침투모형으로는 Horton 모형, Green-Ampt 모형과 함께 사면의 기울기를 고려한 Green-Ampt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제 유역에서의 홍수추적 모의결과는 관측값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VR 방재교육을 통해 일반인의 수재해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정확성 높은 홍수추적 모의결과에 기반한 홍수대책 마련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RFID terminal for the Blind to Voice Guide Pharmaceutical E-pedigree (시각장애인을 위한 RFID 의약품 음성안내 단말기 개발)

  • Kang, Joon-Hee;Ahn, Sung-Soo;Kim, Jin-You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7 no.3
    • /
    • pp.19-25
    • /
    • 2010
  • We developed a RFID terminal to voice guide the blind who have difficulties in reaching out to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In this work, we used RFID technology to instruct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to the blind. The voice guidance reader was made to read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drugs and announced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matching to the tag specific ID. We had the reader to obtain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from the ezDrug site operated by Korea Food & Drug Association. The voice guidance reader was fabricated as necklace type for the easy carry, and we added mp3 player as dual uses. ARM series Cortex M3 chip was used for the reader's core chip and low power MFRC523 chipset of NXP was used to construct RFID circuit. MFRC523 chip uses low power to meet the mobile application. We used VS1003B MP3 Decoder IC to make the voice generation circuit and CC2500 chipset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server. We also developed the system that can support ISO 14443A type and ISO 14443B type so that the system can be used to extend to various RFID protocols. Utilization of this system can conveniently convey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to the blind and reduce the drug abuse.

Fire Detec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ssisti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in an Emergency Situa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영상 기반 심층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화재 감지기)

  • Kong, Borasy;Won, Insu;Kwon, Jangwoo
    • 재활복지
    • /
    • v.21 no.3
    • /
    • pp.129-146
    • /
    • 2017
  • In an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fire in a building,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are prone to exposed to a level of danger that is greater than that of normal people, for they cannot be aware of it quickly. Current fire detection methods such as smoke detector is very slow and unreliable because it usually uses chemical sensor based technology to detect fire particles. But by using vision sensor instead, fire can be proven to be detected much faster as we show in our experiments. Previous studies have applied various im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detect fire, but they usually don't work very well because these techniques require hand-crafted features that do not generalize well to various scenarios. But with the help of recent advancement in the field of deep learning, this research can be conducted to help solve this problem by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or that can detect fire using images from security camera. Deep learning based approach can learn features automatically so they can usually generalize well to various scenes. In order to ensure maximum capacity, we applied the latest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such as YOLO detector in order to solve this task. Considering the trade-off between recall vs. complexity, we introduced two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th slightly different model's complexity to detect fire at different recall rate. Both models can detect fire at 99% average precision, but one model has 76% recall at 30 FPS while another has 61% recall at 50 FPS. We also compare our model memory consumption with each other and show our models robustness by testing on various real-world scenarios.

A Study on how to improve Survey of Fire Safety Management of manufacturing plants (The Medium and Small-sized Manufacturing industry) (제조 사업장의 소방안전관리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중소규모 제조사업장 중심으로))

  • Choe, Yeong-Gi;Kim, B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483-497
    • /
    • 2013
  • 현대사회가 발전 할수록 대량산업화와 도시화가 심화되어 건축물의 초고층화 및 대형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적인 건축물 보다는 건물 및 제조사업장의 시각적인 디자인에 치우쳐 화재하중이 높은 건축자재의 내 외장재 및 고급스러운 장식물을 사용함으로써 그 위험뿐 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대규모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제조사업장화재는 화재로 인한 직접적인 손실 즉 물적 손실은 물론 생산중단으로 인한 간접적인 손실은 실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지금까지 발생한 제조사업장화재의 발화요인별 분석은 부주의, 전기적, 미상 순으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고 발화열원은 작동기기, 담뱃불(라이터), 마찰 전도 복사등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고 대형화제 취약시설로는 공장 및 창고로 나타나고 있다. 소방방재청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2012년 화재 발생현황 중 발화요인에 대한 화재별 장소 건수를 검토 한 결과 비주거의 화재발생 16,009건 중 5,758건으로 (36%)부주의이고, 주거에도 화재발생 10,715건 중 5,560건으로 51.9%의 부주의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조사업장의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처우개선과 기업활동규제완화의 겸직 허용을 재검토 하여야 하며, 소방안전관라자의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소방안전관리 실무교육과정을 이론적 교육 보다는 현장 실습위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방안전관리자에 대한 법정 실무교육 횟수를 확대하여 현행 2년에 1회 에서 1년에 1회로 하고, 실무교육에 있어서도 우수송방안전관리 업체를 선정하여 화재예방에 대한 구체적인 업무를 활성화 하고, 문제 발생요소들을 분석하여 실습을 통한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문 소방안전관리자로 소방대상물의 소방교육 및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해야 할 것 이다. 한순간의 부주의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수백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수백억원대의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역량을 넓히고 화재예방 업무를 최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화재예방을 위해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개선 및 전문교육을 활성화 하여 업무능력을 향상 시켜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적인 화재예방 대책 일 것이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ne Traffic System at the Pyeong-taek Adjacent Areas (평택항 접근수역의 해상교통시스템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 Yoon, Byoung-Won;Park, Jin-Soo;Park,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5
    • /
    • pp.507-514
    • /
    • 2015
  • This study focused on the investigating of the improving measure of marine traffic system around Pyung-Taek Pilotage area. First, we analyzed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 o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expert point of view of pilot and shipmasters. Then suggested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according to the analytic results of the hazardous items on the Jangan-Seo and Ippa pilot embarking/disembarking area. We suggested to establish Mokdeok-do TSS and TSS in Ando area, and to adjust the width of Jangan-seo TSS to improve the congestion on the TSSs. Also suggest to put lightbuoys along the outer limit of the TSS. In addition, recommend to establish traffic safety specific area on the Jangan-seo/Ippa-do water, and to suggest expand the anchorage area of Ippa and Jangan-seo anchorage. It is anticipated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on the study area through the marine traffic system impr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