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 관계

Search Result 1,05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Real Estat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부동산 전자등기제도에 대한 고찰)

  • Park, J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91-194
    • /
    • 2019
  • 법률행위로 인한 부동산물권변동의 성립요건인 부동산등기는 부동산이라는 재산의 물권변동관계를 등록하는 매우 중요한 업무이고, 또한 부동산과 관련한 권리관계와 상황이 실체관계와 일치하도록 명확히 공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등기업무가 그동안 종이등기부에 기초한 수작업인 관계로 부동산 거래가 증가할 경우 처리기간의 장기화와 천재지변에 따른 문서훼손 등을 막기 위한 대처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에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사법부의 정보화 추진 노력으로 2002년 전자등기업무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종이등기부가 전자등기부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도 큰 사업이었고, 공간적 제약의 최소화와 대국민 서비스의 품질의 극대화 차원에서 성공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는 부동산전자등기 업무에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관계로 인한 손해, 등기공신력과 전자등기신청 시 공인인증서 보안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철저한 보안을 통한 위험성을 차단하고 국민들에게 신뢰와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는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낙동강유역 수질측정자료의 시.공간적 특성 및 수질항목간 특성 분석)

  • Park, Tae-Yang;Kim, Sung-Jae;Kim, Sung-Min;Kim, Sang-Mi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5
    • /
    • pp.117-12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data of Nakdonggang watershed which is second largest watershed in South Kore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quality items for rainy and non-rainy seasons were also analyzed for two TMDL sites which are Gumi and Namji. BOD data of two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 target sites were compared with TMDL criteria, 3-year arithmetic mean BOD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ites should not exceed the target concentration for 2 consecutive years, to figure out current water quality status. Spati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oryeong and Hyunpung was highest with the value of 0.978 followed by Hapcheon and Namji with the value of 0.874. The observed BOD data of Gumi station fluctuated around the TMDL criterion, 1.8mg/L while Namji station mostly exceed the criterion, 2.6mg/L. The criteria values for each target sites are defi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ajor factor of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a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quality items for non-rainy season showed no relation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COD and SS was high followed by COD and TP for Gumi and Namji.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도시확장강도와 건물침수의 공간적 관계성)

  • Kang, Sang Jun;Kwon, Tae J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4
    • /
    • pp.759-764
    • /
    • 2017
  • The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flooded buildings and urban expansion phenomena by employing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and hotspot analysis methods for the case of Gangneung. Two major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flooding susceptible areas are found in the regions where the highly intense development occur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 called pseudo-urbanization. Second, less flooded buildings exist in old towns whe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the lack of urban infrastructure services. This study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ighly intense development and pseudo-urbanization with a relatively short time period relate to flooded building event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leads to another issue that new developments might be increasing the flooding vulnerability worse than before, particularly, to the adjacent old town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it is desirable to have further related case studies in the near future.

Prediction for Bicycle Demand using Spatial-Temporal Graph Models (시-공간 그래프 모델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 예측)

  • Jangwoo Park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9 no.6
    • /
    • pp.111-117
    • /
    • 2023
  • 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using a combination of graph neural networks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 as a way to account for both temporal and spatial dependencies. In particular, graph neural networks are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Seoul's bicycle rental service (aka Daereungi) has rental stations all over the city of Seoul, and the rental information at each station is a time series that is faithfully recorded. The rental information of each rental station has temporal characteristics that show periodicity over tim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thought to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rental status. Regional correlations can be well understood using graph neural networks. In this study, we reconstructed the time series data of Seoul's bicycle rental service into a graph and developed a rental prediction model that combines a graph neural network and a recurrent neural network. We considered tempor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iodicity over tim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importance of each rental station.

Luminous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on Ground Viewed from Walkway of Cheonggecheon (청계천 산책로에서 바라본 지상건물의 조명환경 특성)

  • Shin, Hwa-Young;Kim, Bong-Kyun;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45-50
    • /
    • 2005
  • 최근 복원된 청계천의 야간경간조명은 야간에 도심의 새로운 미관을 창출함으로써, 5.8Km에 이르는 체계적인 야간경관을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야간에 청계천의 수변산책로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문화유산, 휴식공간, 22개의 교량,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지상건물이 시야 내에 존재한다. 특히 청계천 지상도로의 남북측면에 위치한 기존의 건물들은 청계천 복원과 관계없이 대부분 기존에 설치된 옥외조명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계천 수변공간 산책시 사람의 시야내에 나타나는 지상건물의 조명환경특성을 분석하여 청계천변 조명과의 통합된 이미지가 연출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지상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을 대체적인 용도에 따라 오피스지역, 상업지역, 주거지역 등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이 지역에 쥐치한 대표적인 지상건물 표면의 휘도, 색온도, 색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조명학적 물리량을 분석한 결과, 지상에 위치한 건물들이 산책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시각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관조명요소로서 지상건물의 조명환경을 적절히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Matter Reduction and Space Shielding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 Koo, Min-A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6
    • /
    • pp.67-7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particulate matter at the center of the urban park is reduced compared to the entrance of the park, where the particulate matter problem is serious. It also endeavor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closure rate and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rate in the center of the park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Seven flat land type urba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were measured at the same place for three day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enter of the urban neighborhood park had an average temperature 1.05℃ lower than at the entrance and an average humidity of 2.57% higher. Second, the rate of fine dust reduction was PM1- 17.09%, PM2.5- 17.65%, PM10- 14.99%. As for the reduction rate of particulate matter,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ark, the greater the reduction rate.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at the center of the park was lower on days when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based on the weather reports was low.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at the park entrance, the higher the reduction rate was. Third, a higher the rate of space closures at the center of the park resulted in a higher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Noting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the space closure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s was clearly shown. We hope to be the basis for more extensive experimental data collection.

Development of Selection Model of Interchange Influence Area in Seoul Belt Expressway Using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CHAID분석을 이용한 나들목 주변 지가의 공간분포 영향모형 개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 Kim, Tae Ho;Park, Je Jin;Kim, Young Il;Rho, Jeong 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6D
    • /
    • pp.711-717
    • /
    • 2009
  • This study develops model for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ajor node (Interchange in expressway) and land price formation of apartments along with Seoul Belt Expressway by using CHAID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regions(outer side: Gyeongido, inner side: Seoul) on the line of Seoul Belt Expressway are different and a graph generally show llinear relationships between land price and traffic node but it does not; second, CHAID analysis shows two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2.6km in the outer side, but three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1.4km and 3.8km in the inner side. In other words, traffic access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high housing price since the graphs shows land price related to composite spatial distribution. This implies that residential environments (highway noise and regional discontinuity) and traffic accessibility cause mutual interaction to generate this phenomenon. Therefore, the highway IC landprice model will be beneficial for calculation of land price in New Town which constantly is being built along the highway.

The Effects of Neighborhood Segmentation on the Adequacy of a Spatial Regression Model (인근지역 범위 설정이 공간회귀모형 적합에 미치는 영향)

  • Lee, Chang Ro;Park, Key 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6
    • /
    • pp.978-993
    • /
    • 2013
  • It can be advantage as well as disadvantage to use the spatial weight matrix in a spatial regression model; it would benefit from explicitly quantify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geographical units, but necessarily involve subjective judgment while specifying the matrix. We took Incheon City as a study area and investigated how the fitness of a spatial regression model changed by constructing various spatial weight matrices. In addition, we explored neighborhood segmentation in the study area and analyzed any influence of it on the model adequacy of two basic spatial regression models, i.e., spatial lagged and spatial error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it can help to improve the adequacy of models to specify the spatial weight matrix strictly, that is, interpreting the neighborhood as small as possible when estimating land pri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spatial error model would be preferred in the area with serious spatial heterogeneity. In such area, we found that its spatial heterogeneity can be alleviated by delineating sub-neighborhoods, and as a result, the spatial lagged model would be preferred over the spatial error model.

  • PDF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change for fish induced by river area extension (공간확대에 따른 어류 물리서식처 변화 분석)

  • Jeon, Ho Seong;Hong, Il;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3-293
    • /
    • 2017
  • 하천복원 또는 서식환경조성에 있어서 흐름영역을 통한 하천생태계 서식처 공간의 조성은 매우 중요하며 최적서식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 확보 및 복원의 기술은 가장 중요하게 개발해야할 대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확대에 따른 수환경 변화가 어류 물리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적용하였다. River2D의 구동에 필요한 지형데이터는 만경강 유역의 봉동, 소양, 하리 3개의 지점을 경계지점으로 하여 대상영역 내 저지대 상습 침수구역인 만경강 본류와 소양천 합류지점을 복원대상지로 선정 후, 이 구역의 현재하도(공간복원전)와 합류부에서 제방을 없애 공간을 확보한(공간 복원후) 하도의 지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과거 만경강 봉동일대에서 출현하였던 감돌고기를 대상어종으로 하여 감돌고기에 대한 생애주기별 서식처 적합도 지수(HSC)를 산정한 결과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유황조건은 IHA를 이용하여 산정된 5가지 유황조건을 경계조건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중가용면적-유량관계곡선의 도출을 통해서 최적유량 산정시 중요한 지표인 WUA의 산정결과 현재 하천공간보다 공간 복원후 하천공간이 더 많은 가중가용면적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동일한 유황의 조건에서 하천공간의 확보 및 복원을 통해 최소유량의 최대서식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간복원 후에 감돌고기에 대한 최대 가중가용면적은 20.4% 증가하였고, 최적유량변동은 20m3(57.1%)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돌고기의 생애주기별 복합서식처 적합도 분포결과는 복원후 전체 공간분포 중 소양천 합류부 및 복원 홍수터에서 서식처 적합도의 공간분포가 높게 나타났고 가중가용면적도 복원후 산란기(4~6월)에 57.7%, 성장기(7~8월)에 6.0%, 성어기(9~11월)에 41.9%로 가중가용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산란기와 성어기의 가중가용면적이 하천공간 확보를 통해 크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수생태계에서 하천어류의 서식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적절한 서식공간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며 복원사업에 따른 제방제거 및 하상변동으로 발생하는 유속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영향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Baseflow Parameters Estimation of Tank Model (Tank 모형의 기저유출 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연구)

  • Koo, Bo-Young;Jung, Il-W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70-1974
    • /
    • 2006
  • Tank 모형은 유역을 임의의 저류탱크로 가정하여, 유출공의 높이를 초과하는 저류고를 방출함으로써 유출량을 모의한다. 유출분석의 목적에 따라 직렬 3단 혹은 4단의 탱크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국내의 일 단위 장기유출분석 연구에서는 직렬 4단 Tank 모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Tank 모형은 유역의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는 과정에 black box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 저류탱크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들의 물리적인 의미를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일본의 Sugawara는 경험적으로 매개변수들이 결정되는 범위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저유출을 모의하는 Tank 모형의 최하단 탱크에서 이러한 매개변수 범위에서는 적합한 값을 갖으나 장기적인 모의시에 저류고 및 유출고가 계속 증가하여 물리적인 유출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장기간의 자료가 구축된 소양강댐을 적용 유역으로 선정하여 최하단탱크의 유출공계수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과 저류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매개변수가 $0.0001{\sim}0.001$의 범위에서 장기간의 지속적인 저류고와 유출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출공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저류고는 감소하고, 저류고가 증가하는 지속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치 변화분석에서는 상관계수, 평균제곱근오차, 모형효율성계수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용적오차에서도 최대 약 6% 정도 유출용적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ber)과 동일한 위치의 수온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온추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