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승정원일기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와 조선정조시대(朝鮮正禮時代)의 천문관측기록(天文觀測記錄) (ON THE ASTRONOMICAL RECORDS MADE IN THE DAYS OF KING JEONGJO OF YI DYNASTY)

  • 나일성
    • 천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1979
  • Astronomical records in the days of King Jeongjo of Yi dynasty, 1777-1800, are examined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meteors and comets. The books used for this investigation are Sung Jeong Won Il Gi, which are the original daily records written in the court. The records found in these Sung Jeong Won Il Gi are tabulated according to the four astronomical phenomena above, and they were cross checked with the records in the book, Jung Bo Mun Heon Bi Go. Although Jung Bo Mun Heon Bi Go has most frequently been used as the original records to those who work for the ancient Korean records, the inaccuracy and the deficiency are found.

  • PDF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타난 고려시대 피휘와 천문도의 기원

  • 안상현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32.1-32.1
    • /
    • 2009
  •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제작된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그 원본이 고구려에서 기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천문도의 원석을 조사한 결과 고려 태조 왕건(王建)에 대한 피휘(避諱)가 적용된 별자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원본이 고구려가 아닌 고려에서 기원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고구려 기원설에 대한 연구의 역사를 재점검함으로써 그 학설의 근거가 잘못된 단정에 기인함을 알아냈고, 기존 학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은 물론이고 일본과 중국의 다양한 천문도들과 조선의 보천가, 천문류초, 누주통의 등의 문헌, 그리고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역사 기록을 전면적으로 조사하여 이러한 피휘(避諱)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원본 성도는 고려시대의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 for Korean Astronomical Records

  • Kim, Sang Hyuk;Mihn, Byeong-Hee;Seo, Yoon Kyung;Choi, Young-Sil;Lee, Ki-Won;Ahn, Young Sook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49.2-49.2
    • /
    • 2018
  •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동아시아 천문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획연구"의 일환으로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수행한 천문사료 연구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사 및 개인문집에 수록된 방대한 한국의 천문기록자료를 집대성하는 것이다. 우선적으로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정사에 수록된 천문 기록들을 일정한 형식으로 수집하려고 한다. 이들을 다른 관찬 문헌 및 사찬 문집 등과 비교 연구를 통해 e-science 기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 단계 총 5년간의 연구기간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open science platform 형식의 천문 아카이브로 제공할 계획이다.

  • PDF

『승정원일기』를 통해 살펴본 조선 왕실의 아시혈(阿是穴) 활용 (The utilization of the Joseon royal family's Asi-acupoint therapy in the 『Seungjeongwon Ilgi』)

  • 정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2
    • /
    • 2021
  • Through articles published in the 『Seungjeongwon Ilgi』,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analyzing how the Joseon royal family used Asi-acupoint therapy. Various Asi-acupoints were used in the Joseon royal family to treat diseases; King Sukjong was the king who was treated the most with Asi-acupoint therapy, followed by King Yeongjo, King Hyeonjong, King Hyojong and King Injo. The body parts with the most Asi-acupoint therapy are lower extremities, followed by interbody, upper extremities, other parts, and head. Asi-acupoint therapy was treated evenly throughout the body. The most common disease using Asi-acupoint therapy is pain, followed by abscesses, other symptom, internal damage, and external infections. When Asi-accupoint was executed, the ratio of acupunture and moxiubustion was 65:35, indicating that acupuncture was somewhat frequently used.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AT WHAT TIME A DAY BEGINS IN THE KOREAN HISTORY?)

  • 안상현;박종우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05-528
    • /
    • 2004
  • [ ${\ll}$삼국사기${\gg},\;{\ll}$고려사${\gg},\;{\ll}$조선왕조실록${\gg},\;{\ll}$승정원일기${\gg}$ ]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 가운데 특히 달가림(lunar occultation) 기록을 분석하여 당시의 시간제도와 하루의 시작점을 알아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계산할 때는 백각법(百刻法)과 12진각법(十二辰刻法)이 사용되었고 하루의 시작점은 자정이었으나, 일상생활과 특히 천문관측에서는 경점법(更點法)이 사용되었는데, 하루의 시작점은, 최소한 고려시대부터는, 해 뜰 무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한 혼명(昏明)의 시간은 현대의 항해박명(nautical twilight)을 뜻함을 알아냈다. 우리의 결과는 현재 일상생활의 시간관념이 옛날 시간제도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농경사회에서 해의 뜨고 짐에 따라 일상생활이 정해지고 또한 천문 관측상 편리하기 때문에 경점법을 쓴 것이라고 해석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대 천문 관측 기록의 시간을 정확하게 미루어 계산하고, 그것을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조선후기 기록물 편찬과 관리 (Compilation of records and Management of those material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신병주
    • 기록학연구
    • /
    • 제17호
    • /
    • pp.39-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기록물의 편찬과 관리의 측면을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의궤(儀軌)의 편찬과, 사고 및 외규장각의 설치, 실록청의궤와 실록형지안의 작성을 중심 소재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후기에는 고문서, 문집, 지리지 등 다양한 국가기록물을 편찬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로 시기적으로 연속해서 간행된 거질의 편찬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조선후기에 왕실이 중심이 되어 철저하게 기록물을 편찬, 보관, 관리했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가 있었다. 국왕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에 담은 것은 무엇보다 정치의 공개성과 투명성을 강조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당대에 그치지 않고 영원히 기록물이 보존되는 전통을 확립하기 위하여 험준한 산간 지역에 사고를 설치하고, 강화도와 같은 국방상 안전하다고 판단한 지역에 외사고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왕명을 받은 사관이 정기적으로 사고에 가서 서책을 점검하는 작업을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기록물 점검의 전 과정을 실록형지안으로 작성하기도 하였다. 기록물에 대한 영구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왕명을 받은 사관이 포쇄 작업을 정기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철저하게 기록물을 보존하고 관리한 결과 현재에도 거의 완전한 형태로 옛 문헌을 접할 수가 있다. 선조들이 남겨준 뛰어난 기록문화와 그 기록물을 철저히 보존한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 현재에도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현황과 특징 (A Study on Personal Diaries in the Joseon Period)

  • 이종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142-153
    • /
    • 2019
  • 조선시대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각종 『의궤』 등 공식 기록과 함께 각 개인이 남긴 문집이나 편지, 일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록유산이 있다. 그 가운데 독자를 염두에 두지 않은 개인 일기는 그 어떤 기록보다 솔직하고 생생한 현장감이 담겨 있기에 일찍부터 그 가치를 주목받아왔다. 그런데 이순신의 『난중일기』,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과 같은 유명한 몇몇 일기를 제외하고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세상에 쉽게 드러나지도 않고 제대로 정리되지도 못한 채 기록유산 보존·관리의 사각지대에서 훼손·유실되고 있다.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으로 작성 당시부터 좋은 품질의 종이를 사용한 경우가 드물다. 또한 작성자 사후(死後)에는 대부분 집안 후손에서 후손으로 전해지면서 보관되다보니 동시대에 제작된 실록, 의궤와 같은 기록유산보다 상태가 양호하지 못했던 역사적 환경이 있다. 또 간혹 보존 상태가 양호한 개인 일기를 접하게 되더라도 대부분이 정형화(整形化)된 활자본이 아니라 행·초서(行·草書)로 기록된 한문필사본(漢文筆寫本)이기 때문에 한글 전용 세대인 우리들이 정리하기에는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조선시대 관찬사료(官撰史料)의 방증사료(傍證史料)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대장금(大長今)>과 같은 사극의 콘텐츠로 활용도가 커질수록 조선시대 개인 일기에 대한 연구와 보존·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본고는 최근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조사한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현황을 분석하고 내용 분류와 시기별 특징에 대하여 개괄적인 검토를 하였다. 이들 검토 내용이 향후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연구 방향과 보존·관리에 일조되기를 기대한다.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장희빈 의안 관련 연구 (A Study on the Medical Records of Heebin Jang in Seungjeongwon Ilgi)

  • 방성혜;김남일;안상우;차웅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3-6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edical records written in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about Heebin Jang (張禧嬪), who was the mother of King Kyeongjong. She was one of the royal concubines of King Sukjong and later became the queen and then was demoted back to the concubine. The method to do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records of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from Sukjong 15th year (A.D. 1689) to 20th year (A.D. 1694) on the website databased and servic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website search, Heebin Jang (張禧嬪) suffered from three kinds of diseases. The first was a mastitis right after her delivery. The second was an abscess on the back of her head. The third was a relapse of phlegmturbidity and heat, which was her chronic disease. Also, three features could be found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Royal medicine. The first was how the queens were taken care of before and after their delivery. The second was who lanced the queen's abscess. The third was how the Royal medicine and people's medicine interchanged.

조선 인조(仁祖)의 질병기록에 대한 고찰 - 승정원일기 기록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disease records of King-Injo of Chosun Dynasty - based on the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Chosun Dynasty -)

  • 김혁규;김남일;강도현;차웅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41
    • /
    • 2012
  •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Chosun Dynasty' is a record created in Seung-jeong-won, a secretariat for kings of Chosun, and is a government record which holds conversations between kings and their vassals as it is. General affairs in terms of the royal family and national administration are recorded, but what is more important is the records on diseases of kings and how they were treated. This study is to look into diseases from which King Injo(1959-1649) had suffered based on the records written during the time of his reign, which was from 1623 to 1649. Also, the "curse incident" and the death of prince Sohyeon, son of King Injo, both of which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ealth of the king, wer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disease records.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 진료기록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Records of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Chosun Dynasty』)

  • 홍세영;차웅석;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
    • /
    • 2008
  • "承政院日記" is a journal written by the scribes belonging to the Royal Secretariat and consists of objective and detailed records about events, dialogs, and actions that happened in the presence of the king and also collections of all the documents output by the Royal Secretariat. The medicine-related records in "承政院日記" are mainly records of the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of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and related documents of operation. Of the many different entries involved with clinical practi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of the king. Through the case studies displayed in the clinical records of "承政院日記", trial and error of its time as well as clinical results can be verified. Sorting out of affirmative tradition that could not be handed down due to institutional interruption is also made possible through comparison of effective treatment methods of late Chosun dynasty including patterns or distinctive methods of treating specific diseases against their counterpart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f tod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