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슬개골 골절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소아에서 발생한 슬개골 상단부 소매형 골절 - 증례 보고 - (Superior Pole Sleeve Fracture of the Patella in Children - A Case Report -)

  • 김기철;안길영;남일현;문기혁;이영현;이재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24
    • /
    • 2009
  • 소아에서의 슬개골 골절은 성인을 포함한 전체 슬개골 골절의 약 2% 미만에서 발생하고, 모든 소아 골절의 약 1% 정도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성장중인 슬개골은 성인에서의 슬개골 골절과는 달리 골연골 골절 또는 견열 골절의 형태로 흔히 발생하며, 그 형태는 주로 소매형 골절로 나타난다. 소아 슬개골의 견열 골절 또는 소매형 골절은 슬개골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서 발생하나, 대부분 슬개골 하단부가 주를 이루며, 상단부에 생긴 경우는 드물다. 저자들은 16세 소아에서 슬개골 상단부의 소매형 골절 1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최소 침습 기법 슬개건 부하 분산 봉합술과 유관 나사못을 이용한 슬개골 횡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Transverse Patella Fracture with Minimally Invasive Load-Sharing Patellar Tendon Suture and Cannulated Screws)

  • 이범석;박병문;양봉석;김규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40-545
    • /
    • 2021
  • 슬개골 횡골절은 수술이 필요한 전위된 슬개골 골절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러한 슬개골 횡골절은 골절선을 지나 평행하게 삽입된 Kirschner-강선이나 나사못에 장력대 강선을 추가적으로 고정한 기법이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고식적인 고정 방법의 경우 삽입된 강선이나 핀의 돌출에 의한 합병증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내고정물의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수술을 필요로 하고, 의료비 상승 및 슬관절의 기능 제한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슬개골 횡골절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고 수술 시 연부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여 골절부 혈류를 보존하고 수술 후 통증을 감소시키며, 내고정물에 의한 자극과 그에 따른 통증을 감소시켜 관절 운동 제한 발생 위험을 감소 시키는 최소 침습 부하 분산 경피적 슬개건 봉합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사례들을 수술 술기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운동선수에서 횡방향 나사 고정 후 발생한 슬개골의 골절 - 증례 보고 - (Patellar fracture after transverse screw fixation in sports athletes - A case report -)

  • 라호종;김성태;하정구;김진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2
    • /
    • 2011
  • 전위성 슬개골 골절에 있어서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고정은 슬관절 기능과 강도, 그리고 조기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을 위해서 필요하다. 골절의 형태와 다양한 수술 기법에 따라서, 수술 후 많은 합병증들이 보고 되어져 왔다. 본 저자들은 운동 선수들에게서 발생한 종골절 1예와 이분성 슬개골의 골편 전위 골절 1예에서 유관 나사못 횡 고정술을 시행한 뒤 새로운 횡골절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내고정한 슬개골 골절에서 슬와공을 통한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의 슬와부로의 이동 - 증례보고 - (Migration of Early Broken Wire into the Popliteal Fossa through Popliteal Hiatus in Internally fixed Fracture of Patella - A Case Report -)

  • 전호승;전승주;문찬삼;노행기;정형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0-173
    • /
    • 2009
  • 슬개골 골절의 고정 방법에 있어 강선 고정술은 흔히 사용되는 수술 방법중 하나이다. 슬관절의 조기 재활을 위해서는 견고한 고정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슬개골 골절의 수술적 내고정술 후 장기간 제거하지 않을 경우, 강선의 파절이 흔히 발생하며, 파절된 강선 조각은 관절막 외부의 연부조직 내에서 이동한다. 그러나, 저자들은 슬개골 골절의 수술 후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이 관절강내의 슬와공을 통하여 슬와부로 이동한 64세 남자를 관절경적 및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으며,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슬개골 골절 치료에서 초음파의 유용성 (Usefulness of Ultrasound in Treatment of Patella Fracture)

  • 김정만;남호진;라기항;박세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6-31
    • /
    • 2010
  • 목적: 방사선 소견에서 슬개골 골절이 발견되었을 때 치료 방침 결정에 초음파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슬개골 골절로 치료받은 20명 2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예, 여자가 12예였고, 우측이 13예, 좌측이 7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3세(14~72세)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굴곡-신전시 슬개 지대 파열 여부를 보는 Drayer 검사와 연계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 하였다. 횡 골절이 10예, 종 골절이 8예, 분쇄 골절이 2예가 있었으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슬개 지대의 파열 유무와 Drayer 검사가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보았다. 결과: 슬개 지대가 파열되지 않은 12예의 경우 전예에서 Dray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별도의 고정 없이 보행을 허용하여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슬개 지대가 완전 파열된 4예는 Drayer 검사가 양성이었으므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고, 슬개 지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되어 Drayer 검사가 음성이었지만, 골절의 전위가 2 mm 이상인 2예는 비관혈적 나사 고정술로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개골 골절에서 초음파는 방사선 소견, Drayer 검사와 연계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 하는데 유용한 검사 방법 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슬개골 탈구에 동반된 골연골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Osteochondral Fractures Associated with Patella Dislocation)

  • 이병일;민경대;최형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4-110
    • /
    • 2001
  • 목적 : 슬개골 탈구에 동반된 골연골 골절의 양상을 분석하고 관절경적 치료에 따른 임상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8년 4월까지 경험한 슬개골 탈구 환자 중 골연골 골절을 동반하여 관절경적으로 치료한 14례를 대상으로 평균 32개월 추시하였다. 전례에서 관절경적 시술을 하였으며 수술시 골절편의 위치와 크기를 기록하였다. 결과는 Larsen과 Lauridson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골연골 골절의 위치는 슬개골의 내측면이 8례, 외측면이 1례, 대퇴외과의 외측면이 5례였다. 각 골연골 골편의 최대 직경의 범위는 1cm에서 4.2cm이었고 치료는 절제술만 시행한 경우가 6례, 절제술과 내측지대 봉합술을 병행한 경우가 2례, 절제술과 내측지대 봉합술, 외측지대 이완술을 같이 한 경우가 3례, 고정술만 시행한 경우가 3례 있었다. 기능적 결과는 우수 5례, 양호 6례 보통 1례, 그리고 불량이 2례였다. 결론 : 슬개골 탈구에 동반된 골연골 골절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는 최소한의 절개와 철저한 관절내 병변의 파악을 통한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으로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라 사료된다.

  • PDF

전위성 경골 과간 융기부 골절의 슬개골 하단을 통한 삽관 나사못 고정술 (Transpatellar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Displaced Tibial Intercondylar Eminence Fractures)

  • 나경욱;정병현;서진수;석승엽;박규원;채동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02
  • 목적 : 전위된 경골 과간 융기부 골절시 슬개골 하단을 통한 삽관 나사못 고정술의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2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성인에서 전위된 경골 과간 융기부 골절을 관절경의 도움 하에 슬개골 하단을 통한 삽관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방사선적 골유합은 평균 9.2주였다 최종 추시시 전방 전위는 전방 stress 방사선상 평균 1.8 mm를 보였으며 KT-2000 arthrometer에서는 평균 1.1 mm였다. 신전 제한은 평균 4.1도를 보였다. 기능적 결과는 우수가 7예, 양호가 3예로 모두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성인에서 전위된 경골 과간 융기부 골절시 관절경적 수술 방법인 슬개골 하단을 통한 삽관 나사못 고정술은 슬개골 하단의 비관절면을 통하여 삽관 나사못을 고정함으로서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술 후 조기에 능동적 관절 운동을 허용할 수 있어 간편하면서도 유용한 수술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스포츠와 관련된 과사용 증후군 - 슬관절 -

  • 경희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3
    • /
    • 2008
  • 과사용 증후군은 정상적인 조직에 최대하 부하(submaximal stress)가 지속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연부조직의 접합부(junction)에서 주로 일어나며 힘의 전달이 집중되는 곳, 조직의 역학적 성질이 변화되는 곳, 그리고 성장시 빨리 변화하는 성질이 있는 곳에 주로 생긴다. 근육의 불균형이 과사용 증후군의 가장 많은 원인이다. 과거의 부상 이후 부적절한 재활치료 및 각형성 또는 회전 부정정렬(angular and rotational malalignment) 등이 과사용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포츠 훈련 방법의 실수로도 과사용 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전방 슬관절 동통시 감별해야 할 질환들은 jumper's knee, 슬개건염 혹은 대퇴 사두건염, Osgood-Schlatter 병, Sinding-Larsen-Johansson 병, 슬개골 연골 연화증, 슬개골 전(prepatellar) 혹은 슬개골 하(infrapatellar) 점액낭염, Hoffa's fat pad의 염증, 그리고 특발성 전방 슬관절 동통 증후군(idiopathic anterior knee pain syndrome)등이 있다. 후방 슬관절 통증의 원인 질환으로는 만성 슬와근 염좌, 슬괵건 점액낭염, 경골 골간단의 피로 골절 등이 포함되며 외측 슬관절 통증의 원인으로는 장경대 충돌 증후군(i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외 과사용 증후군과 관련된 슬관절 통증의 원인으로 다분 슬개골(multipartite patella),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박리성 골연골염,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 과사용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의 일반적인 접근법은 다섯가지 단계의 프로그램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원인 요소를 확인하고, 둘째, 요소를 변경시키고, 셋째, 통증을 조절하고, 넷째, 능동적 재활을 시키고, 그리고 다섯째, 유지시키는 것이다.

  • PDF

슬관절 주위 글격의 기초과학 및 스포츠 손상 (KNEE: Basic Science and Injury of Bone)

  • 김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7-81
    • /
    • 2003
  • 목적: 슬관절 주위 골격의 기초과학을 생체역학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빈도가 높은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해부 밀 운동학: 슬관절은 순수한 경첩 관절이 아니며 적합하지 않으므로 여섯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다. 경골대퇴간 운동역학: 슬관절의 굴곡-신전 축은 시상면에 수직이 아닐 뿐 아니라, 관상면상 관절선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경골대퇴관절은 굴곡 시 내반과 내회전이 동반되고 신전 시에는 외반과 외회전이 동반된다. 슬개대퇴 관절: 슬개대퇴 관절 압박력은 슬관절의 굴곡 각도와 사두고근력에 비례한다 슬개골은 신전기전의 moment arm을 증가시켜 신전기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지렛대 역할을 한다. 슬개골 골절: 비전위성 골절이면서 하지 직거상 운동이 보존된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며 수술적 치료 시 고정 방법의 선택은 골절 양상에 따라 결정되겠으나 어느 술식을 선택하여도 신전지대의 봉합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슬개골 불안정성: 선행 해부학적 이상을 조사해야 하며 급성 탈구에서도 골연골 골절편이 있거나 재발의 위험이 높은 운동선수에서 인대 봉합을 고려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및 재활에도 불수하고 계속되는 재발성 아탈구나 탈구는 수술이 필요하다 학령기 스포츠 손상: Idiopathic Adolescent Anterior Knee Pain, Osgood-Schlatter Disease, 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등이 흔하다

  • PDF

흡수성 반월상 연골나사를 사용한 얇은 골연골 골절의 치료 - 증례 보고 - (Biodegradable Meniscus Screw Fixation of Thin Flap Osteochondral Fracture - Two Case Report -)

  • 전재균;선두훈;송인수;김영우;정재용;이봉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4
    • /
    • 2010
  • 관절내 골연골 골절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골관절염을 초래하여 통증과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골 연골 골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금속고정 수술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골편의 두께가 2mm 이하로 얇은 경우 튼튼한 고정력을 얻기 어려워 제거 하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들은 대퇴 내과에 발생한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와 슬개골 골절로 골편의 두께가 2mm이하인 환자에서 흡수성 반월상 연골나사를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