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패머 탐지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관계 기반 특징을 이용한 트위터 스패머 탐지 (Spammer Detection using Features based on User Relationships in Twitter)

  • 이찬식;김준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0호
    • /
    • pp.785-791
    • /
    • 2014
  • 트위터는 페이스북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이다. 트위터에서 이메일 인증 방식을 악용하여 대량 생성된 스패머 계정은 유해한 콘텐츠로 트위터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관계 기반 특징을 이용한 스패머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관계 기반 특징이란 사용자의 호감 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친구 관계 특징과 사용자 간의 유사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형 관계 특징들을 의미한다. 기존의 스패머 탐지 기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탐지 기법의 성능을 스패머의 비율을 3%에서 30%까지 변화시키면서 비교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이 Naive Bayesian Classifier와 Decision Tree 모두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의 재귀적 네트워크 구조 특성을 활용한 스팸탐지 기법 (Social Network Spam Detection using Recursive Structure Features)

  • 장보연;정시현;김종권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1호
    • /
    • pp.1231-1235
    • /
    • 2017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는 정보전파의 용이성 및 파급 영향력이 높지만 이를 악의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스패머들이 다수 활동 중이다. 이러한 스패머를 식별하기 위한 스팸 탐지기법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스패머들 또한 스팸 내용이나 스팸링크, 활동 주기 등의 특성을 변경하여 탐지를 피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특성들과 달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고유 네트워크 특성인 링크 특성은 쉽게 변화시키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스패머를 일반사용자와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일반사용자 노드가 주변 노드와 비슷한 네트워크 특성을 갖는 점에 주목하여 인접 노드를 활용한 재귀적인 구조적 특성을 생성하여 활용함으로써 스패머의 식별확률을 높이고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은 트위터의 실제 데이터셋을 Weka 프로그램에 탑재된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재귀적인 특성을 활용하지 않는 방법과 기존 제안 알고리즘에 비해 탐지율이 0.82에서 0.90으로 향상됨으로써 제안하는 방법이 스패머를 탐지하는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소셜 복마킹 시스템의 스패머 탐지를 위한 기계학습 기술의 성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Spammer Detection in Social Bookmarking Systems)

  • 김찬주;황규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5호
    • /
    • pp.345-349
    • /
    • 2009
  • 소결 북마킹(social bookmarking) 시스템은 사용자가 북마크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웹 기반(web-based) 시스템으로 폭소노미(folksonomy)를 이용한 대표적인 웹2.0 서비스이다. 소셜 북마킹 시스템에서의 스패머(spammer)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시스템을 고의적으로 악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스패머는 많은 양의 잘못된 정보를 시스템에 포스팅(posting)하기 때문에 전체 소셜 북마킹 시스템의 리소스(resource)를 쓸모없게 만들어 버린다. 따라서, 스패머를 빠른 시간 안에 탐지하고 그들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시스템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한 태그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스패머 인지 아닌지를 예측하는 모델을 기계학습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후 그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결정테이블 (decision table, DT), 결정트리(decision tree, ID3),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 TAN(tree-augmented $na{\ddot{i}}ve$ Bayes) 분류기,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AUC(area under the ROC curve)와 모델 생성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가 가장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였다.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의 분류 결과가 가장 좋았던 이유는 성능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 AUC가 결정트리 계열의 방법(ID3 등)보다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에서 일반적으로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는 것과, 스패머 탐지 문제가 선형으로 분리 가능한 경우(lineally separable)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국내 웹 분석을 통한 웹 스팸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Web Spam through the Korean Web Analysis)

  • 최승진;김성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D)
    • /
    • pp.333-338
    • /
    • 2007
  • 웹 스팸(Web Spam)은 스패머가 원하는 페이지를 검색 결과 상단에 올리는 기술이다. 이러한 웹 스팸에 의해 상위 랭크된 페이지는 사용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해 주지 않는다. 해외에서는 웹 스팸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아직 웹 스팸에 대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해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웹 스팸 탐지 기술들은 국내의 웹에 적용시키기 힘들다. 그래서 본 논문은 다양한 방식으로 국내 웹과 검색 사이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해외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이 차이점을 통해 국내 웹에서 나타날 수 있는 웹 스팸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향상된 Multi Gray-Leveling을 통한 VoIP 스팸 탐지 기법 (A Scheme of VoIP Spam Detection Using Improved Multi Gray-Leveling)

  • 채강석;정수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8B호
    • /
    • pp.630-636
    • /
    • 2012
  • 본 논문은 VoIP 환경에서 Call 스팸 대응 방법으로 제안된 Multi Gray-Leveling 기법에서 존재하는 오류를 감소시킨 향상된 Multi Gray-Leveling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Multi Gray-Leveling 기법은 두 개의 다른 시간 주기를 두고 송신자의 호 연결시간 간격을 체크하여 스팸 가능성을 판단함으로 공격자의 호 연결시간 간격 조절을 통한 탐지 회피 가능성을 제한하는 장점이 있으나, 긴 주기의 설정에 따라서 정상 사용자도 스패머로 오판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발신자의 행동 패턴뿐만 아니라 수신자의 행동 패턴까지 활용한 향상된 Multi Gray-Level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하지 않고, VoIP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베이스의 수신자 통화 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계산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VoIP 스팸 탐지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앙상블 머신러닝 모델 기반 유튜브 스팸 댓글 탐지 (Ensemble Machine Learning Model Based YouTube Spam Comment Detection)

  • 정민철;이지현;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576-583
    • /
    • 2020
  • 이 논문은 최근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유튜브의 댓글 중 스팸 댓글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튜브에서는 광고를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기 동영상에서 자신의 채널이나 동영상을 홍보하거나 영상과 관련 없는 댓글을 남기는 스패머(spammer)들이 나타났다. 유튜브에서는 자체적으로 스팸 댓글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대로 차단하지 못한 스팸 댓글들이 있다. 따라서, 유튜브 스팸 댓글 판별에 대한 관련 연구들을 살펴 보고 인기 동영상인 싸이, 케이티 페리, LMFAO, 에미넴, 샤키라의 뮤직비디오 댓글 데이터에 6가지 머신러닝 기법(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 회귀분석, 베르누이 나이브 베이즈, 랜덤 포레스트, 선형 커널을 이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 가우시안 커널을 이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과 이들을 결합한 앙상블 모델로 스팸 탐지 실험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