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테로이드 호르몬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2초

여포성숙의 대사에 관한 생화학적인 연구 II. 돼지 난소내 중여포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조성 및 동일여포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 (Biochemical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follicular maturation II. Protein composition and stenoid concentration in individually isolated medium-sized follicular fluid of pig ovary)

  • 윤용달;이창주;도병록;김종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69
    • /
    • 1990
  • 포유류의 난소내 여포의 폐쇄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정상과 폐쇄를 형태적으로 판정한 돼지의 난소내 개개 중여포의 여표액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단백질을 방사면역측정법과 SDS-전기영동으로 각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rogesterone은 여포성숙기의 여포액내 폐쇄여포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testosterone의 경우 황체기의 정상여포 및 여포성숙기의 폐쇄여포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estradiol은 여포성숙기의 폐쇄여포에서 정상여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여포액내 존재하는 단백질의 SDS-PAGE 결과, 혈청에 존재하지 않는 4종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난소주기에 따라 112K, 141K의 단백질이 확인되었고, 폐쇄여포액내 특이하게 존재하는 23K, 24K의 단백질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난소주기에 따라 여포액재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단백질의 조성이 서로 같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포의 폐쇄기작에 있어서도 난소주기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폐쇄여포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의 생리적인 역할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체외순환시 스테로이드의 심근보호효과에 관한 혈청내 TNF-alpha 측정의 의의 (Detection of TNF-alpha in Serum as the Effect of Corticosteroid to the Myocardial Protection in Cardiopulmonary Bypass)

  • 최영호;김욱진;김태식;조원민;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502-508
    • /
    • 1998
  • 인공 심폐기를 이용한 체외순환은 우리 몸에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키므로 수술후에 여러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할수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은 체외순환후 체액성, 세포성 및 보체계등의 면역계가 활성화 되어 전체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일부연구에서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염증반응에는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를 비롯한, Interleukin-1, Interleukin-6, Interleukin-8 등의 cytokine등 이 전구물질로써 중요한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교실에서는 이러한 cytokine의 유리를 억제함으로 체외순환후 염증반응을 줄일수 있다는 가정하에 항염증작용이 있는 부신피질 호르몬을 체외순환전에 투여함으로서 염증반응이 현저히 감소하는지를 혈청내 TNF-$\alpha$를 측정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1996년 6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심장수술환자 20명에서 전향적 연구를 했다. 10명의 비교군은 수술 하루전, 마취전, 체외순환 시작 5분후, 대동맥 차단시작 5분후, 대동맥 차단 끝나기 5분전, 체외순환 끝나기 5분전, 재관류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별로 10cc씩 채혈하여 TNF-$\alpha$의 수치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10명의 스테로이드군은 마취 1시간전에 부신피질 호르몬(Dexamethasone 1mg/Kg)을 정맥주사하고 채혈은 비교군과 같게 했다. 그리고 양군에서 수술전 심전도 및 혈청내 LDH, CPK 효소치와 백혈구 수치를 측정하고 수술후 1일째, 3일째 재측정하였으며, 수술후 3일째내에 환자의 혈압동태 ,폐기능 상태 및 회복상태를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환자군 간에 LDH 및 백혈구 수치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CPK 수치가 수술후 첫째날/세째날 비교군이 1122$\pm$456/864 $\pm$42 이고 스테로이드군은 567$\pm$471/325$\pm$87로 큰 차이를 보였고(P=0.002), CPK-MB 효소는 술후 1일째 비교군이 106.4, 스테로이드군이 29.5로 이의있는 차이를 보여주었으나(P=0.02) 수술후 3일째에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수술후 72시간 관찰기간중 비교군에서 4명의 환자가 3번 이상의 저혈압으로 처치가 필요했고 38$^{\circ}C$ 이상의 발열은 3명의 환자에서 있었다. 환자군 간에 대동맥 차단시간과 체외순환 시간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고, 인공호흡기 부착시간과 중환자실 체류기간, 입원기간 비교에 있어 스테로이드군이 적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TNF-$\alpha$는 대동맥 차단 5분후부터 체외순환 끝나기 5분전까지 양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비교군은 체외순환 끝나기 5분 전에 측정한 수치의 평균은 22.3$\pm$6.8 pg/ml였고, 스테로이드군은 대동맥 차단 끝나기 5분 전에 측정한 수치의 평균은 11.9$\pm$4.7 pg/ml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수술전 부신피질 호르몬을 정주함으로 체외순환시 Cytokine의 분비를 억제하여, cytokine으로 인한 심장수술후 발생할수있는 전신적 염증반응을 감소시킬것으로 기대되므로 수술후 환자의 중환자실 체류기간, 입원기간 및 합병증률을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스테로이드 호르몬계 신약개발 (Discovery of New Steroid Hormonal Drugs)

  • Lee, Jae-W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제2회 추계심포지움
    • /
    • pp.93-98
    • /
    • 1994
  • Most drug discovery has focused in recent years on the development of molecules that either interact with or block receptors, proteins that act as on-off switches for genetic activity, on the surfaces of human cells. Now, we hav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targets “receptors inside the cell” (intracellular receptors), opening a new and compelling avenue for drug discovery. Our receptor-based small molecule drugs can be catagorized in two ways: 1) receptor agonists, or molecules that activate a receptor; and 2) receptor antagonists, or drugs that inactivate a receptor.

  • PDF

스테로이드 성호르몬이 암, 수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from Female and Male Pigs)

  • 김원영;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17-22
    • /
    • 2010
  • 본 연구는 스테로이드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및 노르테스토스테론(19-nortestosterone)이 암, 수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지방전구세포는 암, 수 갓 난 돼지의 등지방 조직을 떼어 내어 collagenase를 처리한 후 분리해서 $CO_2$ 배양기에서 배양했다. 세포 배양 중에 $10^{-7}M$$10^{-6}M$의 스테로이드 성호르몬을 처리했다. 먼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암퇘지에서 분리한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높은 농도의 스테로이드 성호르몬 모두가 촉진했다. 수퇘지에서 분리한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은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만이 촉진했다.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보면, 세 호르몬 모두, 농도에 관계없이 암수 성별에 관계없이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촉진했다. 촉진 정도는 증식보다 분화에 더 크게 나타났다.

결핵성 흉막염에서 스테로이드의 치료 효과 - 전향적, 임의추출법에 의한 비교 - (Evaluation of Steroid Therapy in Tuberculous Pleurisy -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

  • 방제소;김명식;곽승민;조철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52-58
    • /
    • 1997
  • 목 적 : 결핵성 흉막염치료에 부신피질호르몬제재 - 화학요법이 보편화되었고, 이러한 복합요법에서 스테로이드가 임상증상의 호전, 삼출액의 조기 흡수 및 흉막유착의 진행에 대해 일부 저자들은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으나, 일부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는 등 논란이 되어왔다. 이에 저 자등은 결핵성 흉막염환자의 스테로이드치료가 임상증상의 호전, 삼출액의 흡수 촉진, 흉막 유착의 방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및 이의 통상적 적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6월부터 1994년 9월까지 인하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하였던 84명의 결핵성 흉막염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임의추출방법에의하여 스테로이드군과 비스테로이드군으로 나눠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발열감, 흉통, 호흡곤란 등의 임상증상은 스테로이드군에서 평균 3.8 일, 비스테로이드군에서 7.4 일에 증상 호전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특히 발열감, 흉통, 가래, 체중감소 등에는 스테로이드 투여군에서 효과적이었지만, 허약감, 취침시 발한, 호흡곤란 등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2) 흉막저류액의 완전 흡수는 스테로이드군에서 평균 88일, 비스테로이드군에서 101일로 스테로이드군에서 기간이 더 단축된 것을 볼 수 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 흉막유착은 스테로이드군에서 51.5%(17/33), 비스테로이드군에서 64 %(32/50)으로 스테로이드군에서 감소되어 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4) 스테로이드군 중 한명의 환자에서 상복부동통을 호소하는 것 이외에는 주목할만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에서 스테로이드투여는 임상증상의 기간을 단축시키지만, 저류액의 흡수촉진, 흉막유착에는 뚜렷한 효과가 없어서 이의 통상적 적용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쥐의 난소내 스테로이드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gamma}$-선의 영향 (${\gamma}-ray$ Effects on Steroid Hormone Concentration of Mouse Ovarian Follicles)

  • 이영근;김진규;윤용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79-188
    • /
    • 1994
  • 생쥐의 난소에 미치는 방사선의 조직학적 및 기능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88Gy 및 7.2Gy의 방사선(Co-60)을 전신조사하였다. $7{\mu}m$ 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조직학적 관찰을 하였고, 방사면역측정 법을 이용하여 난소마쇄현탁액내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라디올을 정량하였다. 방사선조사로 유강소난포 및 무강소난포가 공히 높은 폐쇄율을 보였고, 난포내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증가되었으며 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는 감소되었다. 즉,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난소내 난포세포인 협막세포에 영향이 미친 결과 $3{\beta}-HSD(3{\beta}-hydroxysteroid\;dehydrogenase) $ 및 isomerase의 활성이 억제 혹은 둔화되어 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라디올의 합성이 저하되었고 그 결과 난포의 폐쇄가 가속화되었다고 사료된다.

  • PD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에 관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Steroid Hormones for Sexual Reproduction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 이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2-67
    • /
    • 2019
  • 본 연구는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을 유도하기 위해 효과적인 매개물질로 몇 가지 성 steroid hormone (serotonin, progesterone 및 ${\beta}$-estradiol)을 선정하여 농도별(Low, 30 mg/L 및 High, 300 mg/L)로 내구란 생산효과를 6일 동안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배양 3일째 ${\beta}$-estradiol ($E_2$) 처리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성생식률이 2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 6일째 내구란 생산수(106 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serotonin이 높게 나타났다. 더하여, 위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몇 가지 유성생식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NrbP, SRY, Cyclin 및 MrpmB 유전자가 처리한 모든 hormone에 대해 up-regulation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B. rotundiformis의 내구란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steroid hormone은 ${\beta}$-estradiol인 것으로 판단되며 유성생식 관련 유전자로 NrbP, SRY, MrpmrB 및 Cyclin을 제안할 수 있다. 차후 효과적인 내구란 생산을 위한 $E_2$의 최적 처리농도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성숙 돼지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 (Follicular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Steroid Concentrations in the Immature Gilt Ovary)

  • 이창주;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3호
    • /
    • pp.199-206
    • /
    • 2005
  • 연구목적: 난포가 폐쇄되는 동안의 생화학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성숙 돼지의 정상 및 폐쇄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도 변화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난포액 (FF), 과립세포 (GC), 협막세포 (TC) 내 LDH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난포액 내 progesterone ($P_4$), testosterone (T), estradiol ($E_2$)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결 과: 정상 및 폐쇄 난포에서 $P_4$의 농도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쇄 난포액 내 T의 농도($3.85{\pm}1.50ng/ml$)는 정상 난포 ($1.29{\pm}0.54ng/ml$)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난포 내 $E_2$의 농도 ($43.29{\pm}19.51ng/ml$) 는 폐쇄 난포 ($18.82{\pm}7.27ng/ml$)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난포액 내 $P_4$의 농도는 난포의 크기에 정의 상관관계 (r=0.75)를 보였다. 정상 난포 내 T:$P_4$의 비율 ($8.14{\pm}3.35$)은 폐쇄 난포 ($1.39{\pm}0.60$)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TC ($433.63{\pm}102.40{\mu}U/{\mu}g$ DNA) 및 FF ($246.86{\pm}58.96{\mu}U/{\mu}l$) 내 LDH 활성도는 폐쇄 난포 (각각 $83.7{\pm}10.5$$38.71{\pm}9.00$)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정상 난포의 GC 및 FF 내 LDH 활성도는 $E_2$의 농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폐쇄 난포의 TC 내 LDH 활성도는 $P_4$, T, $E_2$의 농도에 대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실험의 결과, 미성숙 돼지 난포의 폐쇄는 TC 내 LDH 활성도 감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시 학교환경개선 컬러컨설팅 효과성 평가 용역 결과보고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olor Consulting Services to 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 Seoul Report Results)

  • 김선현;김용현
    • 교육시설
    • /
    • 제24권2호
    • /
    • pp.18-2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를 보기위한 연구로 컬러 컨설팅 환경개선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를 연구하였다. 청소년 스트레스 연구들에 따르면, 아동이나 청소년도 성인만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고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는 정서적 부적응과 신체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부신피질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코티솔도 분비하는 근거를 통해 환경변화로 생긴 코티솔 분비를 측정하였다. 코티솔 분비를 통한 스트레스 반응 정도 측정은 침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간편한 방법인 타액검사로 실시하였으며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특별한 장비나 도움이 없이 수집할 수 있었고 부작용이 적은 효율적 검사였다. 연구 결과 전체 학생(46명)의 코티솔은 환경개선 사전($0.121{\pm}0.087{\mu}g/dL$)에 비해 사후($0.096{\pm}0.058{\mu}g/dL$)에 감소하였고(t=1.718, p=.093) 중고등학생(36명)의 코디솔은 사전($0.137{\pm}0.092{\mu}g/dL$)에 비해 사후($0.104{\pm}0.062{\mu}g/dL$)에 감소하였으며,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750, p=.089). 따라서 환경 개선 전에 비해 환경 개선 후 청소년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10명)의 코티솔은 사전($0.064{\pm}0.023{\mu}g/dL$)에 비해 사후($0.065{\pm}0.016{\mu}g/dL$)에 변화를 보이지 않아,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t=-0.121, p=0.906). 따라서 후두엽이 발달하는 중학생 시기는 환경 변화에 민감하며 색채 자극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시기인 만큼 본 연구에서 환경전후로 검사한 코티솔 분비의 측정값도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환경 변화에 코티솔 분비량에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초등학생들은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환경변화의 자극이 없었다고 볼 수는 없다.

  • PDF

자궁근종 성장에 있어서 내인성 성호르몬의 역할 (Urinary Profiles of the Endogenous Steroids in Pre-Menopausal Women with Uterine Leiomyoma)

  • 정병화;배상욱;정봉철;김세광;박기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1호
    • /
    • pp.23-29
    • /
    • 2003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인성 성호르몬이 자궁근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폐경전 자궁근종 환자 27명과 같은 연령대의 정상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의 여성에서 24시간 소변을 모아서 소변내 estrogen, androgen의 대사체들을 GC-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두 군에서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소변내 $17{\beta}$-estradiol, 5-androstene-$3{\beta}$, $16{\beta}$, $17{\beta}$-triol, 11-keto-ethiocholanolone, $11{\beta}$-hydroxy-androsterone, THS, THA, THE, a-cortolone, a-cortol 및 $\beta$-cortol가 환자군에서 의의있게 증가하였으며 $17{\beta}$estradiol/estrone 및 $11{\beta}$-hydroxy-ethiocholanolone/$11{\beta}$-hydroxy-androsterone도 환자군에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결 론: 자궁근종의 성장은 요중 estrogen과 androgen의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